DOI QR코드

DOI QR Code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말총공예 전통의 지속과 변화

The Continuance and Changes of Horsehair Handicraft Tradition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황경순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 Hwang, Kyeong-soon (Planning and Coordination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4.06.30
  • 심사 : 2014.08.08
  • 발행 : 2014.09.30

초록

국가에서는 수작업에 따른 높은 가격과 수요가 없어 작품판매가 부진한 중요무형문화재 종목의 전통공예품 제작 활성화와 활용정책을 펼치고 있다. 전승자들의 작품을 구입하고, 전통공예품관리 시스템 마련과 전통공예품은행 설치, 국내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설 전시관 운영 등 전통공예품 활용과 관리체계 구축 등이 그것이다. 전통공예품 지원책은 전통공예품의 체계적 관리, 무형문화재에 관심제고, 해외에 한국의 전통적 아름다움을 전파하는 기대효과를 가져온 반면, '전승단절 위기에 처한 무형문화재에 대한 관심확대를 통하여 이수자 확보, 보유자 지원, 종목 활성화 등 협력적 관계망 구성'이라는 성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것은 지역사회와 전승자가 자부심을 가지고 지역자원으로서 문화적 전통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무형문화재의 전승을 활성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토대임에도 불구하고, 전통공예가 처한 지역적 상황에 대한 고려와 전승현장, 그리고 전승자를 포함한 전승집단과 공동체에서 찾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생활과 유리되어 사회적 수요부족 등으로 인해 제작기술의 단절이 우려되는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취약 종목인 '갓일', '탕건장', '망건장' 등 말총공예분야의 전통의 지속과 변화를 국가의 보호정책을 통해 살폈다. 아울러 무형문화유산으로서 말총공예의 전승활성화를 위해서는 말총공예 제작기술의 전수, 원재료 수급과 수요창출은 물론, 지역사회와 전승자가 자부심을 가지고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확보하고 이를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provision of support for the art of making these items needs to be considered with the focus on the following factors: the local situation of the areas where such traditional handicrafts are still made, the craftspeople involved in their production, and their communities. So far, discussion about how to reinvigorate traditional handicrafts, including those mentioned above,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measures taken to promote them as part of the handicrafts industry and the allocation of the government's budget for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 government runs a traditional handicrafts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s financial support for the craftspeople and spaces for exhibiting their work. This form of support has led to systematic management of traditional handicrafts and heightened public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publicizing the country's traditional crafts, but has made little progress in the following areas: the fostering of young people willing to learn traditional skills, diversification of the types of skills to be maintained, or establishment of the networks of collaboration among the craftspeople. The most important aspect among the efforts mentioned above is to maintain cultural traditions that are unique to each region by encouraging local craftspeople to engage in their work with a solid sense of pride backed up by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need to reinvigorate the art of making tanggeon (horsehair crown), manggeon (horsehair headband), and gat (black horsehair hat), which few people wear as they are used only for ornamental purposes nowadays. This study examine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artisans engaged in the production of horsehair handicrafts prior to their designation as a cultural heritage, and the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loc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their production after the designation, in order to assess the status of inheritance of this tradi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