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nosaur Track-Bearing Deposits at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cheon Stream, Ulju (National Treasure No. 285): Occurrences, Paleoenvironments, and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의 공룡발자국 화석층 : 산상, 고환경 및 자연사적 가치

  • Kim, Hyun Jo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ik, In Sung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im, Jong-Deock (Research Division of Natural Heritag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s)
  • 김현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백인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Received : 2014.02.25
  • Accepted : 2014.05.21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Dinosaur track-bearing deposits recently found at Bangudae Petroglyph site in Ulju (National Treasure No. 285) have been studied in the aspects of sedimentology, paleoenvironments, and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The dinosaur tracks occur in the Daegu Formation (late Early Cretaceous), and over 80 footprints including 43 ornithopod footprints, 36 sauropod footprints, and 2 theropod footprints are preserved in this tracksite. The track-bearing deposits consist of irregularly interlaminated siltstone and mudstone, calcareous sandy to silty mudstone, thin-bedded tuffaceous sandstone, planar- to cross-laminated sandstone, and thin- to medium-bedded graded sandstone, and they are interpreted to be sheetflood deposits on an alluvial plain. Diverse types of ripples and mudcracks, rainprints, and invertebrate trace fossils are observed in these deposits, and the crest-lines of wave ripples do not show preferred orientation. Dinosaur footprints occur as true prints, underprints, overtracks, and casts on the bedding surfaces, and the orientation of trackways are scattered. It is interpreted that paleoclimatic condition of the track-bearing deposits were semiarid with alternation of wetting and drying periods, and that dinosaurs frequented small and shallow ponds during wetting periods and recorded their tracks on an alluvial plain. The frequent occurrence of dinosaur tracks in study area indicates that the Cretaceous deposits around Daegokcheon Stream are very useful sedimentological and paleontological records to understand the paleoecology and paleoenvironments during the dinosaur age in Korean Peninsula. Consequently the dinosaur track-bearing deposits around Daegokcheon Stream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sedimentary geology and paleontology in order to enhance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as the World Heritage.

국보 제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서 새로이 확인된 공룡발자국 화석층의 퇴적특성과 고환경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이 화석층의 자연사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반구대 화석층은 전기백악기 말의 대구층에 해당하며, 연구지역의 화석층에서는 20여 개 층준에서 조각류 발자국 43개, 용각류 발자국 36개, 수각류 발자국 2개 등 80여 개의 공룡발자국이 확인되었다. 공룡발자국 화석층은 불규칙한 엽층리를 이루는 실트스톤과 이암의 교호층, 석회질의 사질 내지 실트질이암, 얇은층으로 발달한 응회질사암, 수평 내지 사엽층리가 발달한 사암, 얇은층 내지 중간층의 점이층리가 발달한 사암 등 5개의 퇴적상으로 구분되며, 이들 퇴적상은 충적평원의 층상범람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이들 퇴적층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연흔과 건열, 우흔, 무척추동물의 생흔 등이 관찰되며, 파랑연흔들의 연흔정선 방향이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공룡발자국은 성층면에서 진흔, 하흔, 상흔, 캐스트 등 다양한 상태로 나타나며, 퇴적층 단면에서는 눌림구조의 형태로 나타난다. 성층면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들의 보행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지 않고 분산되어 나타남이 특징이다. 반구대 암각화 지역에 공룡이 서식하였던 백악기 당시, 이 일대의 기후는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달하는 아건조성의 기후 조건이었으며, 간헐적으로 오랜 가뭄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공룡발자국은 우기 시의 범람 이후에 평원에 형성된 작고 얕은 웅덩이들 주변에 공룡들이 모여들면서 반복적으로 보존된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지역 퇴적암층 내에서의 공룡발자국 화석의 높은 산출빈도는 대곡천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층이 한반도 공룡시대의 고생태와 고환경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지질 및 고생물학적 기록임을 지시해주는 것으로, 반구대 암각화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제고를 위해 대곡천 일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층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복합적인 퇴적지질 및 고생물학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