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yle Study for Reissued Gongsin-Gyoseo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재발급(再發給) 공신교서(功臣敎書) 양식 연구

  • Sim, Young-hwa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
  • Lee, Ji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Yewon Arts University)
  • 심영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장서각연구실) ;
  • 이진희 (예원예술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Received : 2013.09.30
  • Accepted : 2014.05.09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In Joseon dynasty, Gongsin-Gyoseo(Royal Edicts rewarding meritorious vassals) was issued for the reward of the contribution to the specific event of the nation. The family decided as vassals succeeded this Gongsin-Gyoseo as the family treasure to later generations. When one happened to lose this caused by an unavoidable situation such as war in this process, there were a few cases of reissuing of Gongsin-gyoseo by the nation. The confirmative reissued Gongsin-gyoseo among Gongsin-gyoseo that descended down by now are three pieces which is Park dongnyang Hoseong Gongsin-Gyoseo, Gu goeng Jeongsa Gongsin-Gyoseo, and Park jung Jeongsa Gongsin-Gyoseo.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form and mounting about these three pieces. It was indicated that the reissued Gongsin-Gyoseo was produced following the same form with the original Gongsin-Gyoseo, that is pyeongchul(moving to next lines) and daedu (writing one or two letters ahead compared to the first letter) and so on. But, it was indicated that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assals in the reissued time was reflected compared to position of the original Gongsin-Gyoseo. In case of Jeonsa Gongsin-Gyoseo, it was indicated that it was 'Wonjongdaewang-whi' since the original Gongsin-Gyoseo was 'Jeongwongun-bu' and the reissued time he became the father of King Injo.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ase of deprivation because of conspiracy such as 'Kim jajeom, Kim ryeon, Sim kiwon, Sim kisung' was produced as the original document and deleted with black ink stick. It was newly confirmed while the original Gongsin-Gyoseo was produced by a designated writer from the nation, the reissuance was written by a writer from the family of the vassals. Since the mounting of Gongsin-Gyoseo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avor and technique of the craftsman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production such as Baezeopjang and economical situation of the country supplying the material, the mounting of these three Gongsin-Gyoseo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ounting, especially because of the loss of the original by the Manchu war of 1636. The comparison result of Gongsin-Gyoseo produced in the same period with the original issued one in the record of the related Uigwe (a collection of document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reissued one seems to be larger in the form or ratio of the mounting compared to the first issued one. First of all, the width of Byunah was expanded as twice bigger, center and both side Hoejang also was bigger as over 2cm, and the below Hoejang was expanded as 10cm, and the ratio of the upper Hoejang and the below Hoejang was wider as 1.5 times and the reissuance was 1:1 ratio. The bisect of upper shaft in Park dongnyang Hoseong Gongsin-Gyoseo is assumed as the form of an equilateral triangle, not a half-moon shape of the present, and Gu goeng and Park jung Jeongsa Gongsin-Gyoseo will be the form whose bisection form is same but the size is smaller. Chuksu is confirmed that the size is not changed significantly. Osaekdahoe can be assumed that the width was smaller compared to the first issued one. The 3 pieces of the reissued versions provide the clue of the verification for the form of the mounting of Bosa Gongsin-Gyoseo in the same production period. In the situation that the mounting of the production time was not confirmed among the currently descended Bosa Gongsin-Gyoseo, they can be very important materials.

조선시대 공신교서는 국가의 특정한 사건에 공을 세운 공신을 포상하기 위하여 발급하였다. 공신으로 녹훈(錄勳)된 가문에서는 이 공신교서를 가보(家寶)로서 후대에 전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전란 등의 피치 못할 상황 속에서 소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국가에서 다시 교서를 발급해 준 사례가 남아있다. 현전하는 공신교서 중에서 확인되는 재발급 교서는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구굉 정사공신교서, 박정 정사공신교서 3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 3점에 대한 문서양식과 장황에 대해 검토하였다. 재발급 공신교서는 원본 공신교서와 동일한 양식, 곧 평출(平出)과 대두(擡頭) 등을 준수하여 작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원본 공신교서와는 달리 재발급된 시점에서 공신의 신분에 변화가 있을 때는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사공신교서의 경우는 원본 공신교서는 '정원군 부(定遠君 ?)'가 재발급된 시점에는 인조의 아버지가 되었기 때문에 '원종대왕휘(元宗大王諱)'로 나타났다. 또 재발급 정사공신교서의 경우 '김자점(金自點), 김련(金鍊), 심기원(沈器遠), 심기성(沈器成)'과 같이 역모에 의해 삭훈된 경우는 원본 문서대로 작성을 하고 먹으로 검게 삭거(削去)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사자의 경우도 원본 공신교서는 국가에서 지정한 선서자가 작성하는 반면에, 재발급의 경우는 그 공신 가문의 선서자가 문서를 필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신교서의 장황(粧?)은 물자를 조달해야 하는 조정의 경제적 상황, 배접장 등 실제 제작에 관여한 장인의 기호와 기술 등에 따라 시대적으로 변모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3점의 경우 모두 병자호란으로 그 원형이 소실된 상황이었으므로, 재발급본과 최초 발급본의 장황이 달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해서 교서 제작과정에 대한 의궤의 기록, 최초 발급본과 같은 시기에 제작된 공신교서와 비교해 본 결과, 재발급본은 최초 발급본에 비하여 장황의 형태나 비율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변아(邊兒)의 폭은 2배 정도 넓어지고, 중앙좌우회장(中央左右回粧) 역시 평균 2cm이상 커진 형태이고, 하회장(下回粧)의 경우도 평균 10cm 넓어졌다. 상회장(上回粧)과 하회장(下回粧)의 비율은 최초 발급본의 경우 상회장이 하회장에 비해 1.5배 정도 넓고, 재발급본의 경우 거의 1:1의 비율을 갖추고 있었다. 상축(上軸)의 단면은 박동량 호성공신교서의 경우 현재의 반달형태가 아닌 부등변삼각형의 형태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구굉과 박정 정사공신교서 축(軸)은 단면의 모양은 같지만 크기가 작아진 형태일 것이다. 축수(軸首)는 크기에 큰 변화가 없고, 오색다회(五色多繪)는 최초 발급본이 재발급본에 비해 그 폭이 훨씬 좁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발급본 3점은 제작시기가 같은 보사공신교서(保社功臣敎書)의 장황 형태를 고증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현전하는 보사공신교서 중에 제작당시의 장황을 갖추고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