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ervation status assessment of archaeological bone from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histological Analysis

적외선 분광 분석과 조직 분석을 통한 출토 인골의 보존 상태 평가

  • Lee, Jeongw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Sue Hoo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Yun-Ji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o, Eun M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ang, Soyeong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정원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수훈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김윤지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조은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ATR) was applied to chemical analysis for conservation status of 10 human bone remains from Joseon Dynasty. The result of crystallinity index (CI) is $4.25{\pm}0.78$, carbonate to carbonate ratio (C/C) is $0.91{\pm}0.04$ and cabonate content (C/P) is $0.19{\pm}0.06$. The higher histological index (HI) confirmed CI and C/P value was increased and C/C value was reduced. While C/C or C/P values analysis is possible. While DNA analysis can be extracted from the bone, C/C values are lower or C/P values are higher was found to the analysis is possible. Chemical assessment of FTIR and histological index consequence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as a basi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servation status excavated bones.

뼈의 보존 상태를 화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인골 10점을 대상으로 감쇠전반사법을 활용한 적외선 분광분석(FTIR-ATR)을 실시하였다. FTIR-ATR 스펙트럼을 통해 결정화 지수(crystallinity index; CI), 탄산염간의 비(C/C), 탄산염과 인산염의 비(C/P)를 계산한 결과 CI는 $4.25{\pm}0.78$, C/C는 $0.91{\pm}0.04$, C/P 는 $0.19{\pm}0.06$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적 평가 결과 조직학 지수가 높을수록 CI와 C/P 값이 증가하며, C/C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뼈에서 추출한 DNA 분석 가능 여부는 C/C가 낮고 C/P가 높을수록 분석이 가능 하였다. 이를 통해 FTIR을 이용한 화학적 평가와 조직 분석 결과가 출토 인골의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