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D. Goleman,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London: Bloomsbury, 1995.
- 이혜련, 최보가, "학령전 아동의 정서 이해와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아동 정서수용태도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0권, 제10호, pp.103-112, 2002.
- K. MacDonald and R. D. Parke, "Bridging the gap: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peer interactive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Vol.55, pp.1265-1277, 1984. https://doi.org/10.2307/1129996
- M. Putallaz, "Maternal behavior and children's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Vol.58, pp.324-340, 1987. https://doi.org/10.2307/1130510
- 김문신, 김광웅,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제6권, 제1호, pp.3-13, 2003.
- 김은경, 송영혜,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 양식,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능력과의 관계",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4권, 제1호, pp.43-64, 2008.
- 안라리,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발달, 사회적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조수정, 도현심, 김상원,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 태도, 유아의 정서지능 및 문제행동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1권, 제6호, pp.167-183, 2010.
- 박영애, 최영희, 박인전, "모-자녀 성격조화 유형에 따른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29-41, 2004.
- 강민수,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김순녀,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양경수,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유아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5권, 제1호, pp.361-371, 2002.
- W. Roberts and J. Strayer,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Vol.67, pp.449-470, 1996. https://doi.org/10.2307/1131826
- 권희정,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부모효능감 간의 상관연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노민자, 조혜정,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유아의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제11권, 제4호, pp.17-27, 2013.
- P. Salovey and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pp.185-211, 1990.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 문용린, 곽윤정, "정서지능과 직위의 관계에 관한 종단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12권, 제4호, pp.19-31, 2005.
- R. Bar-On,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EQ-I): Technical manual. Toronto: Multi-Health Systems, 1997.
- G. Matthews and M. Zeidner,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Emotional intelligence: Science & Myth]. 문용린, 곽윤정, 강민수, 최경아 옮김, 서울: 학지사, 2010(원서 2002 출판).
- M. A. Rahim and C. Psenicka,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of stress,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psychiatric symptoms, and propensity to leave a job," J. of Social Psychology, Vol.136, pp.69-84, 1996. https://doi.org/10.1080/00224545.1996.9923030
- J. Ciarrochi, J. P. Forgas, and J. D. Mayer, 정서지능 [Emotional intelligence], 박재현, 장승민, 권성우 옮김,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원서 2001 출판).
- 백지희, 유아기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경험을 위한 목표, 피드백, 동기: 양육플로우 경험의 매개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5호, pp.165-183, 2007.
- 이효림, 신은정,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정서 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제23권, 제1호, pp.247-262, 2014.
- M. Laupa and E. Turiel, "Children's concepts of authority and social contexts," J.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5, pp.191-197, 1993. https://doi.org/10.1037/0022-0663.85.1.191
- G. F. Melson, "The development of metasocializ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J.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0, pp.241-266, 1989.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07-5
-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T. Luster and L. Okagaki,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3.
- 박응임, 영아-어머니간의 애착 유형과 관련 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R. R. Abidi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9, No.2, pp.298-301, 1992.
- 김미숙, 문혁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제43권, 제8호, pp.141-152, 2011.
- 김사라형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공감 증진 및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자녀양육코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 권, 제5호, pp.62-82, 2003.
- 이상희, "母-兒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공감능력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제8권, 제2호, pp.62-82, 2003.
- C. Letoumeau, "Empathy and stress: How they affect parental aggression," Social Work, Vol.26, pp.383-389, 1981.
- C. Johnson and E. J. Mash,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No.2, pp.167-175, 1989.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1802_8
- 문혁준,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 능감이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7권, 제6호, pp.1-11, 1999.
- D. M. Tei and D. M. Gelfand, "Behavior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Mediation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Vol.62, No.5, pp.918-929, 1991. https://doi.org/10.2307/1131143
- S. Mondell and F. B. Tyler,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ern," Developmental Psychology, Vol.17, pp.73-83, 1981. https://doi.org/10.1037/0012-1649.17.1.73
- A. Bandur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Vol.32, No.2, pp.122-147, 1982.
- R. Levy-Shiff, L. Dimitrovsky, S. Shulman, and D. Har-Even, "Cognitive appraisal,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resources as correlates of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4, No.6, pp.1417-1427, 1998. https://doi.org/10.1037/0012-1649.34.6.1417
- M. H. Bornstein, O. M. Haynes, L. Pasual, and K. M. Painter, "Competence and satisfaction in parenting young children: An ecological, multivariate comparison of expression and sources of self-evalu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Argentina," In U. P. Gielen, and J. L. Roopnarine(Eds.), Childhood and Adolescence: Cross-cultural perspective and application(pp. 166-194), Westport, CT: Greenwood Press.
- 조현주, 박경애, "교사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251-270, 2007.
- D. W. Chan, "Perceiv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among Chinese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Hong Ko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36, pp.1781-1795, 2004. https://doi.org/10.1016/j.paid.2003.07.007
- 이미향,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자아개념 및 부모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배은주,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부모역할지능과의 관계,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문용린, 종합적성진로진단검사, 서울: 대교출판사, 1997.
- 안지영,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이양순, 정영숙, 이기영,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유능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2권, 제1호, pp.41-63, 2006.
- R. E. Boyatzis, D. Goleman, and K. Rhee, "Clustering compet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Insights from the Emotional Competence Inventory(ECI)," In R. Bar-On, and J. D. A. Parker(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development, assessment, and application at home, school, and in the workplace(pp. 343-362), San Francisco: Jossy-Bass.
- D. C. McClenlland, "Identifying competencies with behavioral-event interviews," Psychological Science, Vol.9, No.5, pp.331-340, 1998. https://doi.org/10.1111/1467-9280.00065
- 문용린, 강민수, 최경아, "EQ 생활태도검사의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11권, 제3호, pp.1-16, 2004.
- C. Chernis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the workplace," In R. Bar-On, and J. D. A. Parker(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Jossy-Bass.
- S. L. Goleman, D. T. Kraemer, and P. Salovey,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41, No.2, pp.115-128, 1996. https://doi.org/10.1016/0022-3999(96)00119-5
- 심경희, 부성숙,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540-54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