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Impact for Housing Occupied Form of HouseNomad

'하우스노마드족'의 주거점유형태에 미치는 요인 분석

  • 윤진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오종열 (서원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According to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2010", announc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ouse Nomad group" was increased by more than 70% compared to 2005. Emergence of House Nomad tribe about the cause of the increase of influence and House Nomad tribe give the housing market, but prior to the discussion often, there is no place that still it became clearly evident in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looking for the emergence and increasing cause of House Nomad group in terms of consumption behavior of the house. For this reason, We use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1% of the data 2010.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is a useful method that can be utilized when there is no rank and order the consumer cho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ouse Nomad group was found to be higher probability of living place and goo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that has been expressed in the properties of the housing. Also appeared to have a relatively longer time commuting. And that residential mobility is high.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하우스노마드족'1은 2005년에 비해 70%이상 증가하였다. 하우스노마드족의 출현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하우스노마드족의 증가 원인에 대해 선험적인 논의는 많지만 아직까지 연구로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우스노마드족의 출현 및 증가원인을 가구의 주거소비행태 측면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1%자료와 다항로짓모델을 활용하였다. 다항로짓모델은 소비자의 선택에 위계와 순서가 없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분석결과 하우스노마드족은 주택속성으로 표현된 주거환경특성이 좋은 곳에 거주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 통근통행을 했고 주거이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1%, 2011.
  2.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06.
  3. 이성우 외, 로짓.프라빗모형 응용, 박영사, 2008.
  4. 이희연, 노승철, 고급통계분석론-이론과 실습, 법문사, 2012.
  5. 여윤경, 윤지영, "소비자의 주택 점유형태 선택의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5호, pp.27-36, 2003.
  6. 김정수, 김주형,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9권, 제1호, pp.191-204, 2004.
  7. 안준기, 류한얼, 유지호, 민영일, "한국의 주택 소유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공공정책연구, 제23권, 제2호, pp.61-73, 2007.
  8. 이채성, "가구주 특성에 따른 주택점유형태차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3권, 제2호, pp.119-127, 2007.
  9. 김준형, 주거이동가구의 주거소비행태 변화와 지역주택가격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0. 강은택, 마강래, "주택점유 및 보유형태선택의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제17권, 제1호, pp.5-22, 2009.
  11. 김준형, 최막중, "지역주택가격이 임차가구의 점유형태와 주거입지 이동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제44권, 제4호, pp.109-118, 2009.
  12. 이주형, 임종현, 이천기,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 의 점유형태 및 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4권, 제3호, pp.79-93, 2009.
  13. 강창덕, "부동산개발 예측모형의 적용방안 연구: 서울시 강북지역을 사례로", 국토연구, 제65권, pp.53-74, 2010.
  14. 강동우, 수도권 자가율 변화의 특성분석, 1980-2005: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5. 박종훈, 이성우, "수도권에 거주하는 자가 가구주의 거소불일치 선택 요인",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1호, pp.1-22, 2013.
  16. 정일호, 주택정책과 교통정책의 연계성 강화방안, 국토연구원, 2010.
  17. 홍성조, 안건혁, "소득계층별 주거이동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3호, pp.91-100, 2011.
  18. 임영진, 최막중,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제36권, 제6호, pp.69-81, 2001.
  19. 조준우, 최창규, "자산축적 및 금융지식에 따른 임차인의 전월세 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6권, 제2호, pp.153-168, 2011.
  20. 김유연, 소비자 자산 및 주거선호가 전월세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21. 조성희, 이은주,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이동 동기와 주거환경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제7권, 제2호, pp.69-77, 1996.
  22. 정성훈, 김주영, "신도시 가구의 주거선호와 주거이동특성", 한국주거환경학회, 제6권, 제2호, pp.15-23, 2008.
  23. 이정수, 도시저소득층의 주거이동 행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4. 양세화, 김묘정, "자가 거주 가구와 임차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3호, pp.13-22, 2011.
  25. 최열, 김영민, 조승호,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0권, 제3호, pp.313-321. 2010.
  26. 임미화,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 이동발생 요인", 부동산연구, 제23권, 제2호, pp.79-94, 2013.
  27. 마강래, 강은택, 김형태, "자가보유 전.월세 가구의 특성과 주거이동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57-172, 2012.
  28. 주택산업연구원, 자가보유 전월세 거주가구의 주거실태, 2012a.
  29.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점유형태 전환 특성 분석, 2012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