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Customer Oriented Public Service: A Case of Local Government Public Officials

지방공무원 셀프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김성종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 Received : 2014.06.16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of local public officials on the customer-oriented public service provi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ed public service attitude. Positiv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customer-oriented attitude was confirmed from empirical analysis. While variable job-satisfaction took intermediating role between self-leadership and customer-oriented attitude. The result implies that behavioral approach might be a more effective policy measure to improve citizen's satisfaction for public services. For a extended periods,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various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for public service. However, the result was not satisfactor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behavioral approach to improve public 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그동안 행정서비스를 국민의 필요와 욕구에 맞춰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적 방법이 도입되어 왔지만 만족할 만한 얻지 못했다. 제도적 접근만으로는 관료들이 직무수행 행태를 고객지향적 행동으로 바꾸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오랜 공무원들의 서비스 공급자 중심의 역할인식과 직무수행방식을 수요자 중심으로 바뀌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셀프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 행동을 통한 내적에너지를 업무수행에 활용하는 능력으로 조직목표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이 공무원의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직무만족도가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도 제시하였다. 행정서비스의 고객지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통제를 받지 않아도 자기 스스로 자신의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 방향으로 바꿀 수 있도록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는 정책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희, "지방자치단체 행정서비스헌장제의 고객 지향성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제4호, pp.361-384, 2005.
  2. 박중훈, "민원서비스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한국행정연구, 제10권, 제1호, pp.46-49, 2001.
  3. 박천오, "고객지향적 행정: 실천상의 의문점과 한국관료의 시각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제31권, 제2호, pp.1-19, 1997.
  4. 백현.김용순, "여행사 종업원의 셀프리더십, 태도 및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398-406, 2010.
  5. 성도경, "행정서비스의 고객지향성 평가",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4권, 제4호, pp.97-122, 2004.
  6. 이상철, 유근환, 장우진, 김용득,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제4호, pp.97-120, 2005.
  7. 이승종, 오영균, 국민행복과 정부 3.0: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3.
  8. 이종범, "고객지향적 정부의 이념과 가치", 국민 고충처리위원회 '고객지향적 정부 구축을 위한 민관합동 대토론회' 자료, 1996.
  9. 제갈돈, "지방공무원 직무만족 결정요인", 한국행정학회보, 제36권, 제4호, pp.263-281, 2002.
  10. 조헌주, 김성종, "일선 공무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국가정책연구, 제26권, 제1호, pp.78-103, 2012.
  11. 최준호, "공공서비스정책의 주민만족을 위한 행정 대응성 연구",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97(12).
  12. 하혜수, "행정서비스헌장의 고객지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연구, 제4권, pp.29-31, 1999.
  13. 홍순복, "세무공무원의 셀프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326-333,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326
  14. Ayeni, Victor, Empowering the Customer: The Citizen in Public Sector Reform, London: Commonwealth Secretariat. 2001.
  15. B. J. Dunlap, M. J. Dotson, and T. M. Chambers, "Perceptions of Real-Estate Brokers and Buyers: A Sales-Orientation, Customer- Orientation Approach,"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17(September), 1988.
  16. J. Hackman and R. Oldham,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 of Applied Psychology, Vol.60, No.2, pp.159-170, 1975. https://doi.org/10.1037/h0076546
  17. E. Lock,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M.D. Dunette, ed.) pp.1239-1349, Chicago: Rand Mcnally, 1976.
  18. C. Manz, Mastering Self 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1992.
  19. C. Manz and C. Neck, Mastering Self 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3rd ed., Pearson Prentice-Hall, Saddle River, N.Y., 2004.
  20. P. Smith, L. M. Kendall, and C. L. Hulin, Measurement of Satisfaction in Work and Retirement, Chicago: Rand Hill, 1969.

Cited by

  1.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Innovative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