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재난관련 공공 앱의 활성화 방안 연구

Activation Strategies of the Disaster Public-Apps in Korea

  • 신동희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 사이언스학과) ;
  • 김용문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투고 : 2014.07.23
  • 심사 : 2014.09.11
  • 발행 : 2014.11.28

초록

최근 들어 이어지는 대형 안전사고는 공공 및 민간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가운데, 초동 대처의 부실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부지불식간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신고 접수 및 정확한 현장 상황 전파와 같은 초기 대응만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와 재난 재해로부터 선제적 대응 및 예방에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재난관련 앱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개발된 국내 재난관련 공공 앱서비스의 현황 및 이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재난 안전 분야 공공 앱은 보급 초창기로 사용자들에게 어떠한 요인이 앱 서비스의 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운용중인 재난관련 공공 앱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개발되어질 공공 앱의 서비스 방향과 이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자 측면의 신속성과 콘텐츠 측면의 신뢰도가 재난앱 활성화를 위해 가장 시급하고도 중요도 높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In recent years, a series of large-scale disastrous accidents have been occurred frequently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 Such disasters become catastrophe due to poor early response and delayed prompt rescue. Damage from catastrophe could have been drastically reduced or minimized with effective response and recovery management. The smart phone-based mobile applications have important potentials in providing solutions for the effective response and recovery management. Mobile applications can greatly improve risk communication in case of disasters by integrating process of exchange information and data on risk among risk evaluators, risk manager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In this light of potentia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sures and management to better manage early responses and to effectively deal with domestic disaster-related of the status of public applications service, and utiliz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disaster applications can be better used and how effective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applications could help the post-disaster management process. Based on this findings, it proposes a guideline of effective disaster-related applications by public sector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ctual services and activation solutions. The results show that "User Promptness Side" and "Content Believability Side" factors found to be the two most significant factors in the disaster-related applications by public sector.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Fixed and Wireless Subscribers Statistics, Annual Report, 2013.
  2. 김윤희, 이재범, 김영준, 윤동근, "우리나라 재난 안전분야 공공앱의 기능과 활용도 분석",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1호, pp.247-255, 2014.
  3. A. Moses, "Haitian Survivor saved by first-aid iPhone app," Sydney Morning Herald, DigitalLife, http://www.smh.com.au/digital-ife /haiti-survivor-saved-by-firstaid-iphone-app-20100121-mmzw.html, 2010.
  4. Y. Nakajima, "Disaster Evacuation Guide: Using a Massively Multiagent Server and GPS Mobile Phones," IEEE Computer Society, pp.1-7, 2007.
  5. C. M. White, "Social Media, Crisis Communication, And Emergency Management: Leveraging Web 2.0 Technologies," CRC Press, pp.191-220, 2011.
  6. 서현범, 한영미, "모바일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스마트 시대의 재난재해 대응 선진 사례 분석", IT & Society, 제36권, 제7호, pp.1-29, 2011.
  7. W. Shan, J. Feng, J. Chang, and F. Yang, Z. Li, "Collecting Earthquake Disaster Area Information Using Smart Phone," IEEE, pp.310-314, 2012.
  8. J. T. B. Fajardo and C. M. Oppus, "A Mobil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Android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 No.3, pp.77-86, 2009.
  9. A. Monares, S. F. Ochoa, J. A. Pino, V. Herskovic, J. R. Covili, and A. Neyem, "mobile computing in urban emergency situations improving the support to firefighters in the field,"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38, pp.1255-1267, 2011. https://doi.org/10.1016/j.eswa.2010.05.018
  10. B. Melvin and W. John, "Personal Emergency Preparedness Plan(PEPP) Facebook App: Using Cloud Computing, Mobile Technology,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to Decompress Traditional Channels of Communication during Emergencies and Disasters," IEEE, pp.494-498, 2012.
  11. 이중기, 김창수, "스마트폰 앱기반 재난정보 서비스 및 검색기능 구현",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15, No.2, pp.273-280, 2012. https://doi.org/10.9717/kmms.2012.15.2.273
  12. L. K. Laskowski, G. Cruz, S. W. Smith, "Emergent Communication Networks During Disaster: An App for That,"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Vol.7, No.4, pp.346-347, 2013. https://doi.org/10.1017/dmp.2013.12
  13. 김혜진, 고영진, "스마트폰의 재난관련 어플리케이션 사례연구", 한국디자인학회, No.10, pp.46-47, 2011.
  14. 고윤환, 신창호, 강시내, 남기현, 김종규, 윤익수, "재난 취약자 대상 재난안전 콘텐츠 모바일 앱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pp.1-151, 2012.
  15. 류현숙, Ines Mergel, 홍승희, "스마트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관리 민간역할 확대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pp.1-505, 2012.
  16. 김경남, 박상용, 박봉원, 이원학, "올림픽 대비 스마트형 재난정보 공유 환경 구축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pp.1-131, 2012.
  17. 조희정, 이승현, "공공앱 현황과 발전방안", 국회 입법조사처, 제141호, 2011.
  18. 김현곤, 박정은, 박선주, 김윤희, 김은성, 류현숙, 정지범, "재난안전 부문의 소셜미디어 활용 선진 사례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pp.67-70, 2011.
  19. 이명훈, 스마트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난정보체계 기본구상 : 풍수해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2.
  20. T. J. Gordon, "The Delphi Method", AC/UNU Millennium Project, pp.1-30, 1994.
  21. 채진, 효과적 재난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04.
  22. 권미수, 김기환, 송영웅, "정보화사업 사전 타당성 분석 방법론", 한국전산원, p.95, 2004.
  23. S. Petter, W. DeLone, and E. McLean, "Measuring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s, dimensions, measures, and interrelationship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7, pp.236-263, 2008. https://doi.org/10.1057/ejis.2008.15
  24. http://appkorea.org/contents_value.html
  25. 이장우, IT 유망 신산업의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_AHP모형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2005.
  26. 배준성, 김은희, 고준, "공공기관 지원사업 선정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및 적용: 모바일 앱 서비스 지원사업 선정사례 중심", Information System Review Vol.14, No.2, pp.117-140, 2012.
  27. 박용주, 박상진, 여차민, 정유진, 박제성, 백은선, "국가정보화 사업평가", 국회예산정책처, p.20, 2010.
  28. T. Oliveira, M. Thomas, and M. Espadanal, "Assessing the determinants of cloud computing adoption: An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s," Information & Management, Vol.51, pp.497-510, 2014. https://doi.org/10.1016/j.im.2014.03.006
  29. S. M. Dye and K. Scarfone, "A standard for developing secure mobile applications," Computer Standards & Interfaces, Vol.36, pp.524-530, 2014. https://doi.org/10.1016/j.csi.2013.09.005
  30. M. H. Chae, J. W. Kim, H. Y. Kim, H. S. Ryu, "Information Quality for Mobile Internet Services: A Theoretical Model with Empirical Validation", Electronic Markets, Vol.12, No.1, pp.38-46, 2002. https://doi.org/10.1080/101967802753433254
  31. 김정희, 최학현, "스마트폰의 앱 서비스 분석", 한국IT서비스학회, 제9호, pp.240-243, 2010.
  32. 경태원, "모바일 앱 활용현황 및 공공분야에서의 활성화 전략", 한국콘텐츠학회, 제10권, 제1호, pp.16-19, 2012.
  33. D. G. Taylor, M. Levin, "Predicting mobile app usage for purchasing and information sha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Vol.42, No.8, pp.759-774, 2014. https://doi.org/10.1108/IJRDM-11-2012-0108
  34. 송의근, 김성언, "정보화 투자사업의 평가기준 설정 및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3호, pp.91-108, 2007.
  35. 정수희, 홍순구, 차윤숙, 김종원, "지방자치단체의 모바일앱 서비스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 제18권, 제2호, pp.71-83, 2013.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GPS based Self Triage App for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vol.24, pp.3, 2017, https://doi.org/10.7739/jkafn.2017.24.3.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