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이버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의 매개효과

Effects of Cyber Universities' Career Maturity on Academic Stress : Mediator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 김현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이자영 (서울사이버대학교 군경상담학과)
  • 투고 : 2014.09.30
  • 심사 : 2014.11.04
  • 발행 : 2014.11.28

초록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가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이버대학생 5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8.0을 통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성숙도는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와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학업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는 진로성숙도와 학업스트레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stress. To examine it, a total of 582 cyber universiti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refore,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it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academic stres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mediated between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stres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strategies for reducing academic stress for cyber stud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also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ww.cuinfo.net/home/eudc/statistics.sub.action?gnb=55(2014.9월 검색)
  2. J. Cronje, D. E. Adendorff, S. M. Meyer, and van L. Ryneveld, "Surviving the shipwreck: what makes online students stay online and learn?,"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9, No.4, pp.185-193, 2006.
  3. 최임숙, "웹기반 블랜디드 러닝에서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교적응행동, 학업소진, 자기결정성, 이러닝 참여도를 중심으로", 열린교육, 제22권, 제2호, pp.237-260, 2014.
  4. 김현아, 김현진, "원격교육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7권, 제3호, pp.51-78, 2011.
  5. 신효정, 이문희, "진로성숙 발달에 관한 4년 종단 연구 -스트레스, 공격성, 우울의 효과 -", 청소년학 연구, 제18권, 제7호, pp.139-161, 2011.
  6. 최인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 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7. 선혜연, "대학 학부생과 대학원생, 성인학습자 간의 진학 목적 및 진로성숙도 차이", 인간이해, 제32권, 제2호, pp.165-179. 2011.
  8. 김선아, 정영선, "사이버대학 성인학생의 특성, 문제해결방식과 다양한 스트레스와의 관계성", 평생학습사회, 제7권, 제3호, pp.1-23, 2011.
  9. H. O'Lawrence, "An overview of influence of distance learning on adult learners," Journal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Vol.1, No.1, pp.416-423, 2007.
  10. 김혜래, "중학생의 진로결정 실태와 진로 성숙도의 생태 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지, 제13호, pp.51-74, 2007.
  11. 임현정, 김난옥, "학교활동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3호, pp.261-281, 2011.
  12. 박진형, 원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관련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13. 주영주, 장미진, 이현주, "사이버대학 학생의 중도탈락 경험에 근거한 중도탈락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제13권, 제3호, pp.209-233, 2007.
  14. 이영,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15. 이상길, "가족체계의 성격과 남고생의 진로태도 성숙", 진로교육 연구, 제16권, 제2호, pp.123-140, 2003.
  16. 유귀옥,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17.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1957.
  18. 김봉환, 강은희, 강혜영, 공윤정, 김영빈, 김희숙, 선혜연, 손은령, 송재홍, 유현실, 이제경, 임은미, 황매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 총서 6: 진로상담, 서울: 학지사, 2013.
  19. D. E. Super,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a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57, pp.151-163, 1955.
  20. J. Crites, Career Maturity Inventory, CA: McGraw-Hill, 1973.
  21. 이가영, 김신영, "청소년의 사회적 연결망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개발연구, 제2권, 제2호, pp.21-45, 2009.
  22. D. E. Super and E. G. Knasel,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some theoretical problem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ing, Vol.9, pp.194-201, 1981. https://doi.org/10.1080/03069888108258214
  23. 한국교육개발원, 진로성숙도 검사 표준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1.
  24. 유은영, 양유정,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제11권, 제12호, pp.557-568, 2013.
  25. 이상희, 오보영, "4개 차원에 따른 진로정체감 단계(status)와 진로태도성숙 및 직업정체감 연구: 수도권 대학생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2호, pp.21-42, 2013.
  26. 이진희, 임성택,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진로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진로성숙도의 조절효과",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133-146, 2014.
  27. 이정희, 안영식, "만학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평생교육학 연구, 제13권, 제3호, pp.89-116, 2007.
  28. 정기옥, 최규일,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 몰입 경험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논문학회지, 제14권, 제6호, pp.281-28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81
  29. 강유리,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006.
  30. 성현우, 평생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준비와 진로태도 성숙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1. 김중국, 성인초기의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와 관련 변인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32. 한지영, "평생학습 학습 성과 평가를 위한 자기 주도 학습준비도 검사도구(SDLRS)의 타당성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11권, 제4호, pp.64-75, 2008.
  33. 조은순, 남상조,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자발성과 수업기능 활용,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pp.960-975, 2011.
  34. 최윤정, 김지은,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81-106, 2012.
  35.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6.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97.
  37. 전하영, 자기주도 학습과 평생학습참여에 관한 연구-평생학습도시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8.
  38. 박성희, 아동의 학교 학업스트레스 및 과외 학업 스트레스와 무기력감 간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39. 김재엽, 이동은, 정윤경,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제41권, 제44호, pp.101-123, 2013.
  40.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d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1982 (pp.290-312), Washington DC: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2.
  41. 최인선, 주은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제20권, 제10호, pp.169-206, 2013.
  42. 김유나,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3. 주영주, 정애경, 한애리, "사이버수업에서 학업스트레스, 성취동기, 학습환경, 학교몰입, 학습지속 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73-82, 2011.
  44. 박가열,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도 분석, e-고용뉴스, 제23호, pp.1-22, 2008.
  45. 조현숙, 박은영, 최정실, "e-Learning기본간호실습 콘텐츠를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간호학생의 지식, 자신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501-514, 2013.
  46. L. Jodi and R. D. H. Olmsted, "Longitudinal analysis of student performance in an allied health distance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Vol.24, No.2, pp.30-41, 2008.
  47. 주영주, 유나연, 설현남, "사이버대학생의 직장 유무에 따른 고립감, 상호작용, 콘텐츠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pp.525-54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525
  48. M. Herbert, "High attrition rate in e-learning challenges, predictors, and solutions," The e Learning Developers Journal, pp.1-7, 2006.
  49. 배영주, "사이버 공간에서의 자기주도 학습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과정연구, 제28권, 제2호, pp.205-223, 2010.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motivation, academic stress and age in predict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DLR): Focused on online college students pp.1573-7608, 2017, https://doi.org/10.1007/s10639-017-95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