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베이비붐세대의 은퇴 후 주거 선택과 이동 특성

Residential Choice and Mobility of Korean Babyboomer after Retirement

  • 임기흥 (한성대학교대학원 경제.부동산학과) ;
  • 백성준 (한성대학교 부동산학과)
  • 투고 : 2014.09.30
  • 심사 : 2014.10.24
  • 발행 : 2014.11.28

초록

본 연구는 한국베이비붐세대의 은퇴후 주거선택을 고찰하기 위해 은퇴 후 주거선택 기준, 선호하는 주택유형, 규모 및 주거이동특성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에는 은퇴 전과 다른 기준으로 주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쾌적성과 편의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아파트거주 비율이 대폭 축소될 것으로 보이며, 반면 전원주택 및 타운하우스의 거주를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주거면적을 일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보유 주택규모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한국 베이비붐세대는 은퇴 후 62.4%가 주거이동을 계획하고 있고, 이 중 지역 간 이동은 주거이동가구수의 과반수가 넘는 52.3%에 달해 은퇴 후 활발한 주거이동이 예상된다. 다섯째, 한국의 베이비붐세대의 지역 내 이동과 지역 간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on residential choice after retirem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analyzed in three aspects ; the factors of residential choice, preferred house types and scales, the characterization of residential mobility. This study reached several conclusions. Firstly, Korea baby boomers are likely to select their residence with different factors after retirement, and they are likely to choose their residence in the view of comfort and convenience. Secondly, apartment resident ratio is shown to be reduced after retirement, and the preference for the country houses and town houses is shown to be increased. Thirdly, the baby boomers don't reduce their residential scale in batches, while they are to show a different appearance depending on the retention scale of housing. Fourthly, The 62.4% of Korean baby boomers is to plan move their residences after retirement, 52.3% of movers, more than half of them, is to go to the different residential area. Fifth, it is analyzed that different variables are to influence on the local and regional of residential mobility of the baby boomer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석, 최은영, 가계 자산포트폴리오 분석과 변화의 필요성, 메리츠종금증권 부동산금융연구소, 2010.
  2. 김용주, 서정렬, "베이비붐세대의 고령화에 따른 주거선호특성분석",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제11권, 제1호, pp.37-49, 2013.
  3. 김재익, "가구특성 따른 주거입지 및 주거 이동의 향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 연구", 주택연구, 제19권, 제1호, pp.97-115, 2011.
  4. 김찬호, 김태훈, 베이비붐세대 주택수요 특성 분석, 주택산업연구원, 2012.
  5. 김혜연, 이연숙, 윤혜경,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선호하는 주택특성에 관한 연구:서울 강남지역 공동주택거주자를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1권, 제5호, pp.83-92, 2010. https://doi.org/10.6107/JKHA.2010.21.5.083
  6. 손은경,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따른 주택시장변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1.
  7. 서복수,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이주용인과 주택정책의 함의", 국토계획, 제45권, 제5호, pp.93-104,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 2010.
  8. 유용식,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529-540, 2014(7).
  9. 이수욱, "베이비부머 가구의 소득변화와 주택시장", 한국주택학회 공동정책세미나 인구고령화와 베이비붐세대 은퇴에 따른 주택시장 전망 자료집, pp.1-20, 2011,
  10. 이철용, 윤상하, 베이비붐세대의 은퇴가 주식 및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 LG경제연구원, 2006.
  11. 이용재,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pp.253-261, 2013.
  12. 조혜진, 김민정, "한국 중고령 가계의 주거 부담 결정요인", 소비자정책교육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제10권, 제2호, pp.19-37, 2014(6).
  13. 최막중, 임영진,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의 점유 형태 및 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6호, pp.69-81, 2001.
  14. 최상일, 강정규, "노후생활인식 및 준비도 가은퇴기 주택규모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 거주민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67-185, 2012.
  15. 한경혜, 최현자, 은기수, 이정화, 주소현, 김주현, 한국 베이비부머 연구, 서울대학교 노화.고령화 사회연구소 & 메트라이프코리아재단, 2011.
  16. 황선혜, 이연숙, 윤혜경, 미국베이비붐세대대의 노후 주거선호 성향에 관한 연구, 주거학회춘계학술대회, 제10권, 제1호, 통권 제18호, pp.161-166, 2010.
  17. 하성규, 주택정책론, 박영사, 2011.
  18. Yanni M. Ioannidesa and Jeffrey, E. Zabel, "Interactions, neighborhood Selection and Housing Demand," Journal of Urban Economics, Vol.63, No.1, pp.229-252, 2008. https://doi.org/10.1016/j.jue.2007.01.010
  19. Karsten, Lia, "Housing as a Way of Life:Towards an Understanding of Middle Class Families, preference for an Urban Residential Location," Housing Studies, Vol.22, No.1, pp.83-98, 2007. https://doi.org/10.1080/02673030601024630
  20. E. W. Morris and M. Winter, Housing, Family, and Society, John Wiley & Sons Inc, 1978.
  21. S. F. Venti and D. A. Wise, Aging, Moving, and Housing Wealth, The Economics of A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