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중합작 영화의 스토리텔링 콘텐츠개발을 위한 중국 100대 영화연구 1 -193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Study 1 of The 100 Best Chinese Films for Storytelling Content Development of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Focused on Films in 1930's-

  • 한달호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투고 : 2014.09.30
  • 심사 : 2014.10.17
  • 발행 : 2014.11.28

초록

본 논문은 한국영화 제작의 다양성을 위하여 새로운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는 한중합작 영화의 콘텐츠개발 및 확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중국영화 속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 한중합작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대한민국은 일본에서 한류열풍이 식어갈 즈음, 점차 새로운 한류의 물꼬를 튼 중국을 통해 한국드라마의 매력을 어필하면서 다양한 영상분야로 확장시켜 주목받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그중에서 영화콘텐츠는 방송콘텐츠보다 한중합작의 다양한 시도를 해오고 있었으나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를 가져왔고, 오히려 합작형태가 적은 방송콘텐츠가 시나브로 중국에게 더 어필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중합작 영화의 새로운 제작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특히 한중합작 영화는 그동안 꾸준히 제작되어 왔으나 한국과 중국, 두 국가의 관객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작품이 나오지 못하고 있다. 필자는 이 문제를 좀 더 들여다보기 위해 중국이 주목한 100대 영화 속 작품 이야기로 들여다보았다. 그 가운데 중국이 2005년에 선정한 '중국 100대 영화' 중 부흥기를 가져왔던 초기, 중기, 후기작품 가운데 초기 1930년대 영화를 1단계로 선정하였고, 당시 영상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중국영화 속 스토리텔링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이 선택한 이야기의 핵심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그들의 영화 속에 어떠한 고민이 있는지 인물, 사건, 배경 그리고 엔딩을 중심으로 점검해보았다. 1930년대 중국영화는 가난, 사회현실, 죽음, 비극 또는 희비극으로 이어지는 극 전개과정을 통해 시대의 삶을 엿볼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is to seek new valuable possibility of the 100 best Chinese films on storytelling in Chinese films as considering about content development of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and extension, that being magnified as a new content for variety of Korean film production. The moment to the Korean wave is getting cold in Japan, Korean wave is attempt to receive attention in new field through China by various image field with Korean drama's appeal. However, film content fall short of our expectation than media content, even if supporting much various attempts with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content. Specially, there are not satisfied films for Korea and China both counties's audience, although Korea and China's Collaborative film production has been produced steadily. The writer studies on stories of Chinese essential 100 films for searching deeply this problem. Among them, in selected 'The 100 Best Chinese Films' by China in 2005, films in 1930's are selected as the first step to study, and this dissertation searches to communicate storytelling's meaning in Chinese films through that time image. This studies what is the point of selected story by China, and there are what kind of worries. This dissertation considers that focused on characters, event and background. Chinese film in 1930's represented life in times through process of play development that is connected with poverty, reality of society, death, tragedy and tragicomed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수현, 박정수, 중국 영화산업 현황과 한.중 공동제작, 영화진흥위원회, pp.146-154, 2011.
  2.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 나무, pp.8-9, 2004.
  3.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 나무, p.9, 2004.
  4. 로버트 맥기 저, 고영범, 이승민 역,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황금가지, p.157, 2002.
  5.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 나무, p.81, 2004.
  6. 박철,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본 영화흥행요소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54, 2013(7).
  7. 임춘성, 곽수경 외, 상하이영화와 상하이인의 정체성, 산지니, pp.156-159, 2010.
  8. David L. Rolston, Traditional Chinese Fiction and Fiction Commentary: Reading and Writing Between the Lines, StanfordUniversity Press, pp.197-208, 1997.
  9. 리어우판 저, 장동천 역, 상하이 모던, 고려대학교 출판부, p.206, 2007.
  10. 안상혁, 한달호, "1930년대 중국영화 부흥의 배경연구", 인문과학, 제45집, p.299, 2010(2).
  11. 슈테판 크레머 저, 황진자 역, 중국영화사, 이산, p.57, 2000.
  12. 레이 초우 저, 정재서 역, 원시적 열정, 이산, p.47, 2004.
  13. 레이 초우 저, 정재서 역, 원시적 열정, 이산, p.48, 2004.
  14. 장동천, 영화와 현대중국, 고려대학교 출판부, p.104, 2008.
  15. 한달호, "근대적 역사를 기억하는 1930년대 중국 상해 영화 연구", 인문과학, 제47집, p.263, 2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