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vestigation on the Reasoning Types of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Content of 'Set and Statement' and 'Sequences'

수학 교과에서의 추론 유형의 문제에 관한 탐색 -집합과 명제, 수열 영역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4.11.10
  • Accepted : 2014.11.21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Recently, mathematical reasoning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to be established in school mathematic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content of 'Set and Statement' and 'Sequences'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reasoning, namely Making Conjectures, Investigating Conjectures, Developing Arguments, and Evaluating Arguments. Those types of reasoning were reconstructed based on Johnson's six types of reasoning suggested in 2010. The content is dealt with in 'Mathematics II' textbook developed and published according to the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nine types of textbooks and mathematical problems in the textbook are consisted of as two parts of 'general problem' and 'evaluation problem'.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is stated that students be establishing a logical justification activity, the highest reasoning activity through dealing with the 'Developing Arguments' type of problems affluently in both 'Set and Statement' and 'Sequence' chapters of Mathematics II textbook. Second, it is mentioned that students have an chance to investigate conjectures and develop logical arguments in 'Set and Statement' chapter of Mathematics II textbook. In particular, whereas they have an chance to investigate conjectures and also develop arguments in 'Statement', the 'Set' chapter is given only an opportunity of developing arguments. Third, students are offered on an opportunity of reasoning that can make conjectures and develop logical arguments in 'Sequences' chapter of Mathematics II textbook. Fourth, Mathematics II textbook are geared to do activities that could evaluate arguments while dealing with the problems relevant to 'mathematical process' included in 'general problem'.

본 연구에서는 수학에서 추론의 중요성과 그 역할에 의미를 두고, 고등학교 수학 내용(문제)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제공받는 추론의 유형이 얼마나 높은 수준, 즉 다양한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수학 II' 교과목은 2009 개정에 따른 교과목들 중에서 '수학 I' 교과목을 이수한 후 선택하는 것(신이섭, 2011)으로, 중등 수학에서 가장 심도 있는 학습 내용을 다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II' 교과목의 내용을 중심으로 Johnson, et al.(2010)의 여섯 가지 추론 유형을 재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행 9종의 모든 교과서에 수록된 추론 문제의 정도(비율) 및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로써,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추론 활동의 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수학 수업에서의 추론 능력 신장의 긍정적 가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수.김민주 (2013).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41-263.
  2. 김선희.김기연 (2004).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 포함된 추론의 유형 및 역할 분석. 학교수학, 6(3), 283-299.
  3. 김원경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비상교육.
  4. 김창동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교학사.
  5. 남승인 (1999). 초등수학교육에 있어서의 추론 방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87, 45-63.
  6. 도종훈 (2007). 학교수학에서 추측과 문제제기 중심의 수학적 탐구 활동 설계하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6(1), 69-79.
  7. 류희찬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천재교과서.
  8. 박경옥.박영희 (2003).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추론능력과 관련된 정의적 요소와 그 차이에 관한 분석 -6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7(2), 101-116.
  9. 방정숙.전평국 (1997). 국민학교 아동의 수학적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프로시딩, 3, 107-123.
  10. 배혜정.남승인 (2005). 아동의 메타인지를 유발하는 발문이 수학적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9(1), 43-58.
  11. 서동엽 (2003). 초등 수학 교재에서 활용되는 추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2), 159-178.
  12. 신이섭 외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3. 신준식.고정화.박문환.박성선.서동엽 (2011).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619-640.
  14. 신항균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지학사.
  15. 우정호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두산동아.
  16. 유상휘.송상헌 (2013). 사다리꼴 넓이 구하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유추적 사고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2), 253-267.
  17. 이강섭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미래엔.
  18. 이병수.강미광.양규한 (1997). 수학적 추론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교육학회 프로시딩, 5, 335-354.
  19. 이성근.류희수 (2012). 귀납적 추론의 과정 분석. 학교수학, 14(1), 85-107.
  20. 이영주.전평국 (199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8, 137-150.
  21. 이종희.김선희 (2002). 학교 현장에서 수학적 추론에 대한 실태 조사 -수학적 추론 유형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1(3), 273-289.
  22. 이종희 외 (2003). 수학적 추론의 학습-지도 방안 탐색 및 현장 적용 -개연적 추론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프로시딩, 1, 523-550.
  23. 이준열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천재교육.
  24. 이화영.장경윤 (2012).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1). 학교수학, 14(4), 445-468.
  25. 전평국.정재숙 (2002). 전제의 해석 유형이 아동의 수학적 추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3, 161-167.
  26. 정상권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금성출판사.
  27. 정현실.김진호 (2013). 구성주의 수학 수업이 추론능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2학년 곱셈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31-61.
  28. 최지영.방정숙 (2011). 초등학교에서의 대수적 추론 능력 신장 방안 탐색 -y곱셉의 결합법칙 탐구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학교수학, 13(4), 581-598.
  29. 황선욱 외 (2014). 고등학교 수학 II. 서울: (주)좋은책신사고.
  3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Author.
  3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9). Focus in High School Mathematics Reasoning and Sense Making, 김성경 역(2013). 고등학교 수학에서 추론하기와 이해하기. 서울: 경문사.
  32. Thomson. D. R., Sharon L. Senk, & Gwendolyn J. Johnson (2012). Opportunities to Learn Reasoning and Proof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for Reaso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53-295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3.3.0253
  33. Thomson D. R. (2012). Reasoning and Justification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Classroom. In Berinderjeet Kaur & Toh Tin Lam (Eds.), Reasoning, Communication and Connections in Mathematics (pp. 89-106).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34. Johnson G. J., Deniss R. Thomson, & Sharon L. Senk (2010). Reasoning in High School Textbooks. Mathematics Teachers, 103(6), 41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