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ifying Climate Change Regulating Service of Forest Ecosystem - Focus on Quantifying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

산림생태계 기후변화 조절서비스 계량화 방법 - 탄소 저장 및 흡수기능 계량화 방법을 중심으로 -

  • Choi, Hyun-A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Lee, Woo-K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Jeon, Seong Wo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Kim, Joon Sun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wak, Hanb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Mooni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 Kim, Jaeuk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Kim, Jung Teak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최현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이우균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김준순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 곽한빈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김문일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생태공학과) ;
  • 김재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김정택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Received : 2013.10.21
  • Accepted : 2014.03.15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Forest ecosystem provides variety goods and services for human being. Unlike goods, forest ecosystem services could not be easily priced by market mechanism. This uncertainty has been caused to conflict in decision-making related forest ecosystem services. Quantifica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cosystem services and their contribution to decision-making. As a growing concern of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quantify and calculate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in forest. In this study, for quantifying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we compared scale, output, input data availability of the models and analyzed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s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models are applicable for quantifying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However, relatively few models are applicable for other regulating services (air quality regulation, flood mitigation, erosion control, water quality, etc.) of fores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quantifying regulating services of forest ecosystem research.

산림생태계는 우리에게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재화와는 다르게, 산림으로부터 생산되는 생태계 서비스는 시장기작을 통해 가격형태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평가의 불분명성은 산림생태계 서비스 관련 의사결정에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산림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과 그에 따른 합리적 의사결정의 필요성을 감안할 때, 산림생태계 서비스의 객관적인 평가가 도입되어야 한다. 최근 기후변화에 관심이 증대되면서, 탄소흡수원인 산림의 탄소저장 및 흡수기능에 대한 객관적 계량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탄소저장 및 흡수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국내 외 모형의 규모, 출력인자, 입력인자 확보 가능성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탄소저장 및 흡수면에서는 대부분의 모형이 국내에 적용 가능하였으며, 산림의 다른 조절기능(대기정화, 홍수저감, 침식조절, 수절정화 등)까지 포함할 수 있는 모형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탄소저장 및 흡수원으로서의 산림생태계의 조절서비스를 계량화하는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