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gzi's Moral Education :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ethod to Expand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맹자(孟子)의 도덕교육론 - 성선(性善)의 확충을 위한 교수작용의 측면을 중심으로 -

  • 지준호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 Received : 2014.10.14
  • Accepted : 2014.11.01
  • Published : 2014.11.30

Abstract

The moral categories in the Mengzi have a close affinity with those of Kongzi. Mengzi fostered the Kongzi's teaching on virtuous rule and moral government, and taught benevolent government based on the virtue of benevolence. Mengzi set up a basis for Confucian teaching on human nature, and his teaching of the essential goodness of human nature has been accepted by most Confucian intellectuals. This study explores the Mengzi's teaching of moral education focussing on his instructional method to expand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Instructional method refers to educator-centered transmission of values, and it concerns mainly on how to deliver the educational goal and content meaningfully to the educatee. The main concerns of Mengzi's instructional method are teaching-standard setup, delivery of lecture key points, understanding of students' talent and situation, and encouragement of students' initiative. These points are all based on Mengzi's assertion of good human nature, and aim at forming a ideal personality. Confucian ideas of education lie in raising the well-rounded person through moral education. The well-rounded person can be characterized by noble men and sages with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his means that the ultimate goal of well-rounded education is to lead people to attain the sublime moral stage through education.

기본적으로 "맹자(孟子)"에 나타나는 윤리학적 범주와 범주 사이의 상호 관계는 기본적으로 공자의 사상체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맹자는 공자(孔子)의 예치(禮治) 사상과 도덕정치 사상을 발전시켰으며, 인정(仁政)으로 대표되는 왕도(王道) 정치사상을 주장하였다. 특히, 맹자는 성선설을 기초로 유가 인성론의 기초를 세웠으며, 그의 성선설은 후에 대다수의 유학자들에 의해 수용됨으로써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본 연구는 성선(性善)의 확충을 위한 교수작용의 측면을 중심으로 맹자의 도덕교육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수작용은 교사 중심의 가치전수를 의미하며,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어떠한 방법을 통해 피교육자에게 의미 있게 전달할 것인가의 문제가 주된 쟁점이 된다. 맹자가 제시한 교수작용으로서의 교육방법인 교육적 표준을 세우기, 강의의 요점을 전달하기, 학생의 소질과 여건을 파악하기, 학생의 자발성을 독려하기 등은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성선설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인간성 회복을 통한 이상적인 인격의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가(儒家)의 교육이념은 도덕교육을 통한 전인적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전인적인 인간의 모습은 인(仁)과 의(義)를 지닌 군자나 성인을 표방한다. 그러므로 전인교육은 인간이 교육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도덕적 경지를 추구하는 데에 궁극적인 지향점이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