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행동심리증상과 호모시스테인과의 연관

Correla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Homocysteine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이지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임우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 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 이강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Lee, Ji Min (Department of Psychiat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versity School of Medicine) ;
  • Im, Woo-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Konyang Unversity Hospital) ;
  • Kim, 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ang Joon (Department of Psychiat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14.05.07
  • 심사 : 2014.06.25
  • 발행 : 2014.06.30

초록

연구목적 호모시스테인은 인지기능의 손상과 다양한 정신과 증상들과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사이에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법 DSM-IV에 의해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된 환자 41명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_{12}$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병력청취, 신체검사와 간이정신상태기능검사(MMSE), 전반적 퇴화척도(GDS), 임상치매 평가척도(CDR),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를 수행하였다. 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NPI 총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고 망상, 초조/공격성, 우울/불쾌, 들뜸/흥분과 같은 여러 하위항목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MMSE, GDS, CDR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와 연관된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 Homocysteine has been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various psychiatric sympto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 Methods : 41 subject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for the diagnosis of dementia of Alzheimer's type based on DSM-IV. We scored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MMSE),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Clinical Dementia Rating(CDR), and the Korean Neuropsychiatric Inventory(K-NPI). We also measured levels of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_{12}$ in the plasma. Results :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omocysteine concentration with NPI total score, and with scores of several sub-domains such as delusion, agitation/aggression, depression/dysphoria, and elation/euphoria. No significan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homocysteine levels and scores of MMSE, GDS, and CDR.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plasma homocysteine levels are associated with BPS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identify pathophysiologic mechanisms underlying these relationship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