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ployment duration at first return-to-work of injured workers

산재근로자의 재해 이후 첫 복귀직장에서의 고용지속기간

  • Park, EunJoo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 박은주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정책연구센터)
  • Received : 2014.04.21
  • Accepted : 2014.05.27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duration and the probability of quitting the job at first return-to-work of injured workers. This study collected data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finally included 515 injured workers. The Kaplan-Meier method is used for describing the employment duration, and the Cox regression i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on the probability of quitting the job at first return-to-work. The results show that among the all respondents, the 5.65% quitted the job within 1 month, 14.14% within 3 months, 23.7% within 6 months, and 32.81% within 1 years. The Cox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probability of quitting the job at first return-to-work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employment period when happened the accident, job retention, income change, and classification of diseases. As a result, some implication and policies are suggested for the return-to-work and employment durability of injured workers.

본 연구는 요양종결 이후 다시 업무에 복귀한 산재근로자들의 복귀 이후 첫 복귀직장에서의 고용지속기간 및 고용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산재다빈도 상병인 상 하지골절 및 허리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직장에 복귀한 515명의 산재근로자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산재근로자의 고용지속기간을 분석한 결과, 복귀 이후 1개월 이내 직장을 그만둔 경우는 5.65%, 3개월 이내 14.14%, 6개월 이내 23.70%, 12개월 이내 32.81%로 나타나, 재해 이후 직업복귀한 근로자 10명 중 3명은 1년 이내 첫 복귀한 직장을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재근로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에 비하여 기혼이, 재해 당시 근속기간이 길수록, 타직복귀에 비하여 원직복귀가, 재해 전후 소득변화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증가한 경우가 재해 이후 첫 복귀직장에서의 고용중단 가능성이 낮았고, 대졸 이상에 비하여 중졸 이하가, 허리질환에 비하여 상 하지골절이 고용중단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산재근로자의 고용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