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production cycle, litter size, and the effects of factors of red-tongue viper snake inhabiting in Jeju Island, to delve into their life strategy.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 Jeju Island from May 2006 to November 2008. Reproduction cycle was analyzed through measurements of testis and follicle sizes in laboratory from March 2009 to December 2010.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izes of red-tongue viper snake's testis and follicle clearly changed seasonally. The number of eggs within the oviduct were greater on the right side ($2.6{\pm}1.0$ eggs, n=16) than on the left side ($1.8{\pm}0.5$ eggs, n=16) (t=-2,721, p<0.05). Average (${\pm}SD$) of survival litter size (SLS) was $4.4{\pm}1.7$ (1~9, range), while total litter size (TLS) was $4.7{\pm}1.5$ (3~9, range), which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ir litter sizes were similar to the number of eggs within the oviduct (t=0.039, P>0.05). Relative litter mass (RCM) was $0.42{\pm}0.13$ (0.18~0.79, n=33), and tended to increase, as maternal condition of pre-parturition (MCPPI) was getting better. The sexual ratio of delivered lit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red-tongue viper snakes (♂:♀ = 1.15:1, n=73 ; ${\chi}^2$=0.342, P>0.5). Average neonate mass showed a weak correlation with maternal mass of pre-parturition (MMPP1) (r=0.387, P<0.05, n=33). Average neonate Snout-vent length (SVL) also demonstrated a weak correlations with maternal SVL (r=0.399, P<0.05, n=33) and MMPP1 (r=0.344, P<0.05, n=33). Average neonate mass and maternal SVL approached significant probability (r=0.323, P=0.067, n=33). This indicates that mother snakes can bear bigger litter due to its larger size. In some cases, litter's weight decreases as mother snakes are bearing more litter; however, the red-tongued viper snake did not show such exchange relationship. From this, it can be conjectured that a red-tongued viper snake has peculiarity of its own species. The research results are predicted to be used as the basis to find a life history of red-tongued viper snake.
본 연구는 제주도에 서식하는 쇠살모사의 생활사 전략을 밝히기 위하여 생식주기, 한배의 출산수 및 이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야외조사는 2006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제주도 본섬에서 이루어졌으며, 생식주기는 2009년 3월에서 2010년 12월 사이에 실험실에서 정소와 난포의 크기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쇠살모사의 정소와 난포의 크기는 계절적으로 뚜렷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관에 들어있는 알의 수는 오른쪽($2.6{\pm}1.0$개, n=16)이 왼쪽($1.8{\pm}0.5$개, n=16)보다 많았다(t=-2,721, p<0.05). 생존한 새끼의 수(SLS)는 $4.4{\pm}1.7$마리(1~9마리)로 총 새끼의 수(TLS) $4.7{\pm}1.5$마리(3~9마리)보다 약간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난관에 들어 있는 알의 수와도 유사하였다(t=0.039, P>0.05). 상대적인 새끼의 체중(RCM)은 $0.42{\pm}0.13$ (0.18~0.79, n=33)으로 나타났으며, 출산전 어미의 몸 상태(MCPP1)가 양호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출산시 새끼의 성비는 암수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1.15:1, n=73 ; ${\chi}^2$-test, ${\chi}^2$=0.342, P>0.5). 한배 새끼의 체중은 출산전 어미의 체중(MMPP1, r=0.387, P<0.05, n=33)과, 몸길이는 어미의 몸길이(r=0.399, P<0.05, n=33) 및 MMPP1(r=0.344, P<0.05, n=33)과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새끼의 평균 체중과 어미의 몸길이와는 유의확률에 근접하였다(r=0.323, P=0.067, n=33). 이것은 어미의 몸 크기가 클수록 더 큰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뱀에서 한배의 출산수가 많을수록 새끼의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으나 쇠살모사는 이러한 교환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종 고유의 특이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쇠살모사의 생활사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