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Analysis on Project Scheme of Property-led Regeneration: Focused on Cases of London and Tokyo

해외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 분석

  • 조승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주관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옥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주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4.09.12
  • Accepted : 2014.10.27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Thi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oject scheme of property-led regeneration of UK and Japan aime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economy-based urban regeneration of Korea. Property-led regeneration attract private capital by deregulation and public investment since 1980s' neoliberalism. Its effectiveness for creating job and economic growth is demonstrated through last decades. The cases of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of 2000s, such as Stratford, King's Cross, Otemach and Shinonome, show decrease of public direct investment, promoting deregulation. It also proved that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has a great ripple effect to local economy. And the partnership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public development corporations, private developers and other local interest groups is emphasized for delivering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Especially, human empowerment of local government and responsibility of public organization are also required to deliver urban regeneration.

본 연구는 영국과 일본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의 사업구조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은 1980년대의 신자유주의의 영향에 따라 등장한 사업수법으로 규제완화 및 공공지원과 민간주도의 거점 개발방식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특히 2000년대에 진행되고 있는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영국의 스트라트포드 및 킹스 크로스, 일본 오오테마치와 시노노메 지구의 사례를 통해 국내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별 도시재생사업의 추진체계, 참여 주체별 역할, 공공의 지원 등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사업방식 측면에서는 국가적 대원칙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국가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 추진체계 측면에서 토지 소유자등 직접적인 이해당사자 외에도 공공개발기관, 민간개발업체, 지자체, 국가, 관계기관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거버넌스 체계의 구축, 기반시설 정비에 대한 공공의 지원이 공통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부동산 개발형 도시재생사업에서 공공의 직접적인 사업시행은 감소하였으나 규제완화를 통한 민간자본 유치, 지역의 경제적 성장, 고용창출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인 수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공공시행자 및 지방정부의 역량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진(2011), "해외도시재생 사례 - 일본과 미국의 도시재생", Real Estate Issue & Market Trend, 18-15.
  2. 양도식(2013),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실체, 국토연구원 도시재생지원센터.
  3. 양재섭(2006), 도시재생정책의 국제비교연구: 영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원제무(2013), "대형프로젝트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비평적 고찰", 국토계획, 48(3): 5-24.
  5. 조승연(2010), "일본 도쿄 상업.업무지구에서의 규제완화형 도시 재생정책과 사업전개 실태분석", 도시설계, 11(1): 19-32.
  6. Evans, G. (2005), "Measure for measure: Evaluation the Evidence of Cultures Contribution to Regeneration", Urban Studies, 42(5-6): 959-983. https://doi.org/10.1080/00420980500107102
  7. Fainstein, S. (2001), the City Builders: Property development in New York and London, 1980-2000, University Press of Kansas, USA.
  8. Lichfield, D. (1992), Urban Regeneration for the 1990s, London Planning Advisory Committee, London.
  9. Loftman, P. and B. Nevin (1996), "Going for Growth: Prestige Projects in Three British Cities", Urban Studies, 33(6): 991-1019. https://doi.org/10.1080/00420989650011708
  10. MacLeod, G. (2002), "From Urban Entrepreneurialism to a "Researchist City"? On the Spatial Injustices of Glasgow's Renaissance", Antipode, 34(3): 602-624. https://doi.org/10.1111/1467-8330.00256
  11. Smith, H. (1994), Marketing the City: the Role of Flagship Developments in Urban Regeneration, E&FN Spon, London.
  12. Tallon, A. (2013),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2nd Edition), Routhledge, London.
  13. Turok, I. (1992), "Property-led Urban Regeneration: Panacea or Placebo?", Environment and Planning, A24: 361-379.
  14. 都市再生硏究會 (2005) 東京プロジェックト, Nikkei BP.
  15. 中山靖史 (2012), 具体事例にみる開発手法についてー東雲地区における開発戦略.
  16. 도시재생기구 UR 홈페이지(http://www.ur-net.go.jp).
  17. 스트라트포드 르네상스 파트너십 홈페이지(http://www.stratfordlondon.info).
  18. 킹스크로스 홈페이지(http://www.kingscross.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