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ndscap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in National Street: Focusing on Gwangwhamun Square

국가상징거리의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화문 광장을 중심으로

  • 최현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 조영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Received : 2014.01.03
  • Accepted : 2014.07.22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National street has become one of open space for enhancing environmental qualities of city and country. In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U.K. U.S.A are designed symbolic malls, squares and street which are represented the historicity, culture and symbolic place. For place identit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 and user satisfaction in Sejong Avenue, Gwangwhamun Squ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factor analysis is carried out to extract spatial components and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concerning transportation access was the higher than other factors, ii) user satisfaction was strongly correlated on the spatial elements, iii) user showed high user perception to study site. Results of this study can identify representative street management plan based on landscap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국가상징거리는 도시 및 국가의 환경개선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상징거리는 한나라의 수도 및 도시의 중심부에 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복합적 역할을 하는 광장과 연결되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도출을 위해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상징거리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하였다. 국가상징거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i) 교통 접근성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i) 공간특성 요소는 구성요소보다 상징거리 이용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며, iii) 연구대상지가 국가상징거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인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확보와 주변 상업지구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관리 계획 및 개선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2),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해양부령 제525호(2012.10.31, 일부개정).
  2. 국토해양부 보도자료(2009), "국가상징거리(광화문-한강) 조성사업의 의의 및 추진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개최", 2009. 9. 14.
  3. 김대현(2001), "도시광장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건물 전면 통로형 광장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논문집, 3(1): 17-23.
  4. 김명란(2003), 지역적, 친환경적 훗스케이프디자인 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및 DB, 서울: 산업자원부, 한국디자인진흥원.
  5. 김선영(2009), "공공 공간으로 본 도시형 오픈스페이스와 광장 디자인: 청계천, 예술의 전당, 쌈지길, 오모테산도 힐스, 롯본기힐스, 예르바부에나 센터 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22: 47-58.
  6. 김정윤(2006), "서울 다이나믹스: 청계천 시점부 광장 설계", 한국조경학회지, 34(1): 92-106.
  7. 문현영, 윤재은(2011), "광화문 광장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소비자 이용 행태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2(4): 129-137.
  8. 민현석, 송지영, 2009, 옛길의 가치규명 및 옛길 가꾸기 기본방향 연구-서울 도심 사대문안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9. 서울특별시(2013), 서울특별시고시 제2013-79호. 도시관리계획 (세종로 지구단위계획 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2013.3.21).
  10. 서주환, 최유나(2012), "도시 광장의 시각적 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선호성 및 복잡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34: 197-206.
  11. 성동규, 김성희(2005), "서울 광장 이용에 대한 시민 만족도 및 이미지에 관한 연구: 시민광장과 문화광장으로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6(4): 191-214.
  12. 성이용, 이상호(2010), "입체/복합시설 오픈 스페이스의 장소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1(4): 79-96.
  13. 여화선, 김도경, 박희경(2009), "역사문화지구 가로경관의 색채 계획에 관한연구-광화문 진입가로 세종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학회지, 15(2): 209-299.
  14. 이민우, 안세헌, 조경진(2003), "서울시청 앞 광장 조성 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1(3): 34-45.
  15. 이성미(2009), "도시광장 디자인에 대한 감성반응 조사연구", 인포디자인이슈, 19: 115-126.
  16. 이시이 이치로(武田光一)(2000), 도시디자인(都市デザイン), 석정일랑.귀야진삼.무전광일.김형보.이강후.김동국 역. 서울: 태림문화사.
  17. 이용훈, 이정형(2010), "도심 3대 광장 주변부의 공간 실태 분석 연구-광화문광장, 청계천 광장, 서울광장 주변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20-429.
  18. 이정아, 이형숙, 최윤의, 전진형(2012), "서울 소재 도시광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0(3): 42-50. https://doi.org/10.9715/KILA.2012.40.3.042
  19. 이지은, 김현중(2008), "도심 상징거리의 특성과 역할에 관한 연구-베를린, 도쿄, 워싱턴 D.C. 거리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1(3): 69-80.
  20. 이한울, 안건혁(2011), "상업지역 장소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가로공간 구성요소 - 명동의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1): 41-54.
  21. 장태현(1996), "현대도시광장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심상광장을 중심으로", 조경연구, 24(2): 164-188.
  22. 정승희, 김현중(2009), "도시 공간 오픈 스페이스의 영역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507-519.
  23. 조승희(1999), 도시경관체계로서의 보행자가로 환경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조혜경, 이영군(1996), "도시광장의 특성 연구: 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지역개발논총, 8: 309-326.
  25. 최기호(1999), Open space 계획 및 설계론, 누리에.
  26. Chidister, M. (1986), "The effect of the context on the use of urban plaza", Landscape Journal, 15(2): 115-127.
  27.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U.K (2012), National Planning Policy Framework. (available at https://www.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6077/2116950.pdf)
  28. FHWA and NPS (2007), Revitalization of Pennsylvania Avenue, SE For the Great Streets Initiative Concept Design. (available at http://dashboard.ddot.dc.gov/DTAPDOC/document/44_63923_Project%20Study.pdf)
  29. Francis, M. (1989), Control as a Dimension of Public-Space Quality. In Public Places and Spaces. I. Altman & E.H. Zube, eds. New York: Plenum Press.
  30. Grahn, P. and A. U. K. Stigsdotter (2010),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sensory dimensions of urban green space and stress restor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4(3-4): 264-275.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9.10.012
  31. Marcus, C. C. and C. Francis (1997), People places: Design Guidelines for Urban Open Spaces. New York:John Wiley & Sons.
  32. NCPC (2003), Concept Design Pennsylvania Avenue in front of the White House. (available at http://www.ncpc.gov/DocumentDepot/Quarterlies/2003/NCPCQuarterlyJFM03.pdf)
  33.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34. Stangl, P. (2006), "Restoring Berlin's Unter den Linden: ideology, world view, place and space", Journal of Historical Geography, 32: 352-376. https://doi.org/10.1016/j.jhg.2005.08.003
  35. Thompson, C. W. (2002), "Urban open space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2): 59-72. https://doi.org/10.1016/S0169-2046(02)00059-2
  36. Wherrett, J. R. (2001), Predicting preferences for scenic landscapes using computer simulations. In: Sheppard, S., Harshaw, H. (Eds.), Forests and Landscapes: Linking Ecology, Sustainability and Aesthetics. CABI, Wallingford, Oxon.
  37. Zeithaml, V. A., L. L. Berry, A. Parasuraman (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2):31-46.
  38. http://square.sisul.or.kr.
  39. http://www.pps.org/blog/london-great-public-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