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nstruction Plan for Education of the Ceramic Art and Crafts in the Middle School

중등학교 도자공예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It is said that ceramic arts which reflects the sprit of the age and cultur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ultural assets in Korea. Ceramic arts has the longest tradition and it has been used in our everyday life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Unfortunately, most textbooks we use nowadays just show some art works for appreciation. It is impossible to teach unique techniques of ceramic arts with those textbooks. Traditional culture is not considered as a main part of educational contents but surrounding elements. Therefore it is hard for students to learn about our traditional culture deeply and it is also difficult to know the importance of the ceramic arts in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education of ceramic arts students can understand our traditional culture and they can also experience the formative arts by using plane and dimensional techniques. Teachers have to focus on historical background, types, functions, and sense of beauty of ceramic arts when they teach students in school. Students can use the knowledge in their daily lives. The education of ceramic arts encourage students to create new culture for ceramic arts.

한 시대의 삶과 문화를 담고 있는 도자공예는 우리 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재중의 하나로써 한국의 미와 문화의 특징을 보여준다. 역사적 관점에서도 도자공예보다 긴 전통을 소유한 문화재는 없으며, 쓰임새도 도자공예처럼 우리 주변에 널리 분포하는 기물(器物)은 없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대부분이 도자공예에 관해 감상 작품만을 예시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도가 불가능하며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도예기법을 이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행 교과서 전통문화 수용방식의 특징은 전통문화가 교육내용의 중심 부분으로서가 아니라 주변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고,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중등학교 과정에서 도자공예의 중요성을 이해 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다. 도자공예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이해하고 평면과 입체 표현을 통하여 조형미술을 경험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이런 다양한 이해와 경험을 자신의 삶 속에서 새롭게 표현해보고 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도예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Keywords

References

  1. Young-Won Kim, Pottery Craft, Sol Publishing co., 2005
  2. Byung-Sun Bang, The man-like bowls, Pottery, BoRim Press, 2006
  3. Yong-Yi Yun, The our beautiful Pottery, Hakgojae, 1996
  4. Hwi-Jun An, Won-Yong Kim, The History of Korea Art, SiGongSa,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