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rea Planning of Data Area and Reading Area and User Satisfaction in Subject Speci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 자료실의 자료영역 및 열람영역 면적계획과 이용자 만족도 연구

  • 장아리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 황연숙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8.31
  • Accepted : 2014.10.10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will be able to support university library users who are inclined to use the general reading room. This study is the research of the area planning for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For the evaluation, 431 users from 15 university libraries in 14 universities located across Seoul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f-test were us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can be classified via th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rea ratio of data space and reading space in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the subject room can be separated into data-loaning and data-reading types. Old libraries are more likely to be data-loaning types, where reading room is small and there are a lot of bookshelves. The annual increase in library collections causes space for bookshelves to decrease. As a result, space for reading has been gradually transformed into space for stacking dat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ways to maintain enough space for both reading and stacking data. One way includes movable compact shelving, which can partially replace existing fixed shelves.

Keywords

References

  1. 곽동철, 대학도서관의 변화 추이 및 전략적 발전 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4호, 2006
  2. 김교준, 대학도서관 전산화에 따른 이용자 실태 및 평면변화에 관한 연구: 국립 대학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경북대 석사논문, 2007
  3. 김성기, 거주후 평가를 통한 대학도서관의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3호, 2000
  4. 김수정 외, 대학도서관 일반열람실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제11권 5호, 2012
  5. 김승수.김광현, 시애틀공공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담론과 참여를 통한 공공성 구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8권 2호, 2012
  6. 김은자, 공공도서관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 박사논문, 2008
  7. 김정희, 사회적 패러다임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논문, 2007
  8. 박호경, 대학도서관열람실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고찰, 한양대 석사논문, 1987
  9. 사공, 도서관학.정보학용어사전, 한국도서관협회, 1986
  10. 이용재 외,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2호, 2012
  11. 윤희윤, 대학도서관 경영론, 태일사, 2002
  12. 이만수, 공공도서관 길라잡이, 한국학술정보(주), 2003
  13. 이진영, 이기숙 역, 스가야 아키코,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 지식여행, 2003
  14. 임호균, 공공도서관 공간체계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프랑스 미디어테크를 중심으로, 홍익대 박사논문, 2008
  15. 장아리.황연숙,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 12권 6호, 2013
  16. 정재영, 대학도서관 이슈와 과제, 한국대학도서관연합회, 2009
  17. 최명순, 대학도서관 자료수장공간 확보를 위한 제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25권, 2000
  18.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정보관리편람, 한국도서관협회, 1996
  19. Bennett, Scott. the choice for learning,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32 no.1, 2006
  20. Jonna Holmgaard Larsen, Nordic public libraries in the knowledge society, Danish National Library Authority,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