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ypermediacy Revealed in Installation Space

인스톨레이션 공간에서 나타나는 하이퍼매개적 특성

  • 이상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
  • 이찬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8.31
  • Accepted : 2014.10.10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In relation to spatial expression, the remediation theory of Jay David Bolter & Richard Grusin show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providing extended idea and experience through the space of critical representation. The remediation theory discussed in the scope of new media says about the existence method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edia through immersion into media and awakening, and one attribute of remediation which aims at the extension of another realistic experience and recognition through various media, contains common denominators which display diversity and complexity of installation space, and use the audience as expression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remediation theory in order to interpret space using more diverse and multisensory expression method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found the connection among characteristics of hypermediacy which is an axis of installation and remediation theory, and analyzed diverse cases regarding installation space and characteristics of hypermediacy, depending on external aspects of form and expression and internal aspects of experience and cognition. The method of hypermediation expression in installation space converts the recognition about the basic custom of new experience, space and representation. This means that the logic of remediation could approach space by leading to more extended form and recognition.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extended expression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allation space and hypermediacy logic would provide another developmental significance for research on space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제이 데이비드 볼터, 리처드 그루신 저, 이재현 역,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2. 호수진, 실내공간의 이미지 정체성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식음공간의 인스톨레이션(installation) 기법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2002
  3. 김영주, 디지털 시대 영화의 하이퍼매개성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2008
  4. 송은주, 뉴미디어 아트에서 매체 역할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박사논문, 2011
  5. 윤영, 현대 패션 광고사진에 나타난 재매개화의 미적 특성 :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화 이론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석사논문, 2013
  6. 전혜현, 뉴미디어 아트에서의 매개된 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미학회, Vol.74 2013
  7. 정재원.김문덕, 뉴미디어아트의 재매개화 특성을 통해 본 현대공간 디자인의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Vol.19 No.2, 2010
  8. 양승수.이원섭, 뉴미디어아트의 속성과 재매개 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Vol.20 2008
  9. 조용재, 재매개 이론을 이용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콜라주(Collage)의 시각구조 비교,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29 2011
  10. 진경아.임양미, 디지털 기술에 의한 매체예술의 리얼리티 표현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27 2010
  11. 김진곤, 미디어 재매개적 관점에 의한 증강현실 가상성과 주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제12권 제4호, 2011 https://doi.org/10.9728/dcs.2011.12.4.519
  12. 이승준, 재매개 이론을 통한 뉴미디어 아트의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 AURA, Vol.24 2011
  13. 김상호, 아우라와 재매개 : 벤야민과 매클루언의 맞물림,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