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Causality between Production Activity and Electricity Consumption in Manufacturing Sector

제조업 생산활동과 전력소비 간의 인과관계 분석

  • Received : 2014.01.29
  • Accepted : 2014.06.13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Granger causality between power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n manufacturing sector, by using error correction model. It found that there exists the connection between power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tivity in manufacturing sector. By reflecting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it found not only the bilateral causality (power consumption ${\leftrightarrow}$ production activity) in power non-intensive industry,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low value-added industry, but also one-way causality (power consumption ${\rightarrow}$ production activity) in power-intensive industry. These results imply that power demand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efficiency improvement is necessary primarily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on production activity, and also stable power supply system is required to meet the increase of power demand.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종의 전력소비와 생산활동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1985년~2011년 동안의 업종별 연간 전력소비량과 실질부가가치 자료를 이용하여 단위근검정, 공적분검정, 오차수정모형을 통해 시계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제조업 전체적으로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도출한 인과관계에서도 전력비다소비업종, 고부가가치업종, 저부가가치업종에서는 전력소비와 생산활동 간에 양방향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력다소비업종의 경우 전력소비에서 생산활동으로의 단방향 인과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력수요관리정책은 효율개선을 우선적으로 추진하여 생산활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고,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안정적으로 충족하기 위한 전력공급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길환, "한국의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 사이의 인과관계: 오차수정모형", 한국경제연구, 제1권, 1998, pp.129-155.
  2. 박기현.김진경, "부문별 에너지소비와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13, pp.59-82.
  3. 백문영.김우환, "한국의 경제성장과 전력수요간의 인과성에 관한 연구: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응용통계연구, 제25권 제1호, 2012, pp.89-99. https://doi.org/10.5351/KJAS.2012.25.1.089
  4. 산업연구원 내부자료.
  5. 오완근.이기훈, "다변량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에너지와 국민소득간의 인과관계 분석", 경제학연구, 제51집 제1호, 2003, pp.257-271.
  6. 유승훈, 정군오, "전력소비와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1호 통권51호, 2004, pp.81-94.
  7. 임재규, 산업부문의 전력수요관리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3.
  8.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통계연보, 2012.
  9. 조정환.강만옥, 자원.환경위기 시대에 대비한 에너지가격 개편 추진전략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2.
  10.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보고서, 1985-2011.
  11. Chowdhury, B., "Are causal relationships sensitive to causality tests," Applied Economics, Vol.19, 1987, pp.459-465. https://doi.org/10.1080/00036848700000016
  12. Engle, R.F.and Granger, C.W.J., "Cointe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55, No.2, 1987, pp.251-276. https://doi.org/10.2307/1913236
  13. Granger, C.W.J., "Some Recent Development in a Concept of Causality," Journal of Econometrics 39, 1988, pp.199-211. https://doi.org/10.1016/0304-4076(88)90045-0
  14. Johansen, S.and Juselius, K.,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Inference on Cointegration-with Applications to the Demand for Money,"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52, No.2, 1990, pp.169-210.
  15. Masih, A.M.M.and Masih, R., "Energy consumption, real income and temporal causality: results from a multi-country study based on cointegration and error-correction modelling techniques" Energy Economics, Vol.18, No.3, 1996, pp.165-183. https://doi.org/10.1016/0140-9883(96)00009-6
  16. Stern, D.I., "Energy and Economic Growth in USA," Energy Economics, Vol.15, 1993, pp.137-150. https://doi.org/10.1016/0140-9883(93)90033-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