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ses of "living-together" and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 through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

"함께-삶"의 테제와 상호문화의 조건 -딜타이의 "이해" 개념을 매개로-

  • Received : 2014.07.03
  • Accepted : 2014.08.14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articulate, via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that the three reflectiv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are compatible with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The former was proposed by Prof. Joo Kwang Sun and the latter is my assertion. In my point of view,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are firstly 'consciousness of relationship to others', secondly 'reciprocity of relating', and thirdly 'sharing of same representation of mutual relationship'. Considering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we can confirm that his concept includes firstly 'understanding is only for something constructed by spirit', secondly 'it is 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something expressed', and thirdly 'it means construction of one whole living-together'. Therefore I think Dilthey's concept of "understanding" could be regarded as a medium concept which enables us to integrate the three reflectiv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with the three theses of "living-together". So I try to explain compatibility between the three conditions of interculturality and the theses of "living-together".

이 글은 주광순 교수가 제안하는 상호문화의 세 가지 반성적 기재인 "이해", "대화", "상호변혁"이 본 필자가 주장하는 "함께-삶"의 세 가지 테제와 일치한다는 점을 딜타이의 "이해" 개념을 매개로 해명하고자 한다. 필자가 생각하는 "함께-삶"의 세 가지 테제는 첫째 '관계에 대한 의식', 둘째 '관계 맺기의 상호성', 셋째 '상호관계에 대한 같은 표상 공유'다. 딜타이의 "이해" 개념을 살펴 볼 때, 첫째 "이해가 정신의 구성물들에게만 해당된다는 점"과 둘째 "이해가 표현과 피표현체의 간의 관계"라는 점, 그리고 셋째 "이해가 [체험자와 추체험자의] 하나의 온전한 함께-삶을 이룸"을 의미한다는 점이 확인된다. 이런 맥락에서 딜타이의 "이해" 개념은 "함께-삶"의 테제들과 상호문화의 반성적 기재를 묶어 줄 수 있는 하나의 가능한 매개개념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함께-삶"의 테제와 상호문화의 조건을 딜타이의 "이해"개념을 매개로 해명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