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D. Beukelman and P. Mirenda,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4en ed.)," Baltimore, Paul H. Brooks Publishing Co, 2013.
- 김삼섭, 중증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 실제와 전망,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 M. E. D'Agostino and P. W. Cascella, "Communication supports by job coach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 of Developmental &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20, pp.551-560, 2008. https://doi.org/10.1007/s10882-008-9118-4
- ASHA, "Communication bill of rights," National Joint Committee for the Communication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J. of Guidelines for meeting the communication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Vol.34, No.7, pp.2-3, 1992.
- E. Siegal-Causey and A. Wetherby, "Nonsymbolic communications," In E. S. Martha and B. Fredda(Eds.),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5th ed)," NJ, Prentice Hall, 2000.
- 박경옥, "지체 및 뇌성마비학생의 비상징적 의사 소통 행동 평가척도 타당화 및 유형화",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1호, pp.145-171, 2011.
- 윤선아,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자의 성공적 통합을 위한 중재요소 고찰", 특수교육, 제6권, 제2호, pp.105-127, 2007.
-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의 개발: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pp.77-101, 2000.
- 김영태, "영유아 언어발달검사 개발 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2호, pp.1-23. 2002.
-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수용.표현어휘력거사의 개발연구: 문항개발 및 신뢰도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4권, 제1호, pp.34-45, 2009.
- 남궁정, 김종훈,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창의력교육연구, 제10권, 제1호, pp.85-109, 2010.
- 김효정, "한국말더듬지각검사 개발 연구", 언어치료연구, 제22권, 제1호, pp.191-205, 2013.
- 김정완, 노년기 의사소통능력 척도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 김두영,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에서 한국어판 의사소통 활동지표의 타당도와 신뢰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 박경옥,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능력 사정: 종합적 사정 가설 모형 제안", 특수교육저녁: 이론과 실천, 제7권, 제3호, pp.207-229, 2006.
- 육주혜, 박경옥, 백종남, "정신지체인과 자폐성장 애인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문항의 요인 구조 확인 및 모형 적합도 검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2호, pp.281-300, 2012.
- 박은혜, 김영태, 김정연, 파라다이스 보완대체의 사소통 기초능력평가, 서울, 파라다이스, 2008.
- 신은희, 유어 언어발달 인적 지원 환경 평가 도구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김영태, 박현주, 민홍기, "보완대체의사소통 도구 개발을 위한 학령기 아동 및 성인의 핵심어휘조사", 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2호, pp.93-110, 2003.
- 윤미선,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 시 의사 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에 관한 질적연구", 언어 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3호, pp.447-464, 2007.
- 김영태, 박소현, 이희란, "학령전 언어장애아동 진단모델 정립을 위한 질적 연구: 핵심요소 및 평가체제를 중심으로",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0권, 제3호, pp.24-40, 2005.
- H. P. Parette, M. B. Huer, and M. J. Brotherson, "Related service personnel perceptions of team AAC decision-making across cultures," J.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6, pp.69-82, 2001.
- G. Soto, E. Muller, P. Hunt, and L. Goetz, "Critical issues in the inclusion of students who use AAC: An educational team perspective," Augmentative and J. of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17, pp.62-72, 2001a. https://doi.org/10.1080/aac.17.2.62.72
- G. Soto, E. Muller, P. Hunt, and L. Goetz, "Professional skills for serving students who use AAC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 A team perspective," J. of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 in Schools, Vol.32, pp.51-56, 2001b. https://doi.org/10.1044/0161-1461(2001/005)
- K. Whitmire, "The evolution of school-based speech-language services," J. of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Vol.23, pp.68-76, 2002. https://doi.org/10.1177/152574010202300202
- 이현정, 강민경, 김영태, "어머니가 인식한 자녀의 의사소통 어려움과 스마트미디어 활용 현황 및 요구조사", 제18권, 제2호, pp.163-171, 2013. https://doi.org/10.12963/csd.13016
-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2001.
-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 children & youth version," 2007.
- 통계청, 사용자를 위한 ICF 활용 길잡이, 2010.
- C. Rowland, M. Fried-Oken, S. Steiner, and D. Lollar, Proposed code set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users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children & youth version (ICF-CY),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http://www.csi-cy.org, 2009.
- 강우정, 정소영, 김삼섭,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연구 동향 분석: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자폐성장애연구, 제11권, 제2호, pp.1-31, 2011.
- 이윤숙, 전병운,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체계 연구 동향 분석: 2000-2009년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 제45권, 제2호, pp.39-67, 2010.
- 최승희, 박경옥, "장애학생의 의사소통기능 향상 을 위한 국내 보완.대체의사소통 활용 연구 고찰", 특수교육교과연구, 제5권, 제2호, pp.43-57, 2012.
- 김숙연, 정옥란, "한국어판 CADL-2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언어치료연구, 제13권, 제1호, pp.19-38, 2004.
- 김수정, 신지철, 김덕용, 김향희, "뇌졸중 후 실 어증 환자의 삶의 질 척도: 한국어판의 타당도 및 신뢰도", 재활복지, 제16권, 제4호, pp.245-265, 2012.
- 김수련, 김향희, "기능적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위한 문항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pp.207-224, 2012.
- 교육부, 2013 특수교육통계, 2013.
- S. L. Glennen and D. C. DeCoste, Handbook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an Diego, CA, Singular, 1997.
- 송만호, 반다이크 사정을 활용한 중도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 특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S. N. Calculator, "Promoting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conversational skills by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J.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Vol.3, pp.94-103,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