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NS's Characteristic on Attitude Formation toward Jewelry Product and Jewelry Online Shopping Mall

SNS 기능적 속성이 주얼리 제품 및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차진경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
  • 진창현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4.06.20
  • Accepted : 2014.07.22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o influence SNS's characteristics on attitude formation toward jewelry product and online shopping mall. SNS's characteristics are contextuality, responsiveness,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Consumer satisfaction, worth of mouth and purchase intention a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317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to purchase jewelry product to examine their attitude toward SNSs, jewelry product, and online shopping mall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5 2013. In order to test hypotheses, CFA analysis wit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QS6b. SNS's user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SNSs as bridge to connect other people and to get new information as well as they are willing to feel familiarity on SNSs. Users, who have a higher contextuality, responsiveness,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of SNS's characteristics, are willing to have word of mouth intention of jewelry product as well as have high satisfaction. The study found that interaction is not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because interaction factor is to evaluate SNSs as one of the media.

본 연구의 목적은 SNS의 기능적 속성이 주얼리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얼리 온라인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SNS의 기능적 속성 중 4가지가 대표성을 가지고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기능적 속성 4가지(맥락성, 대응성,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성)를 선정하였다. 주얼리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317부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를 보면, SNS의 기능적 속성 요소인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은 SNS를 다른 사람과 다른 세계를 연결해 주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부여할 때 주얼리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고 구전의도에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호작용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구전의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전의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석, 윤주현, "온라인 쇼핑몰에서 SNS 지인기반 상품추천 방식의 선호도", 기초조형연구, 제12권, 제1호, pp.137-145, 2011.
  2.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SNS 웹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산업혁신연구, 제26권, 제1호, pp.99-132, 2010.
  3. 김창호, "온라인 구전행동에 관한 연구 : 온라인 구전정보탐색, 매장방문, 구매, 정보전달에 관한 구조분석", 유통경영학회지, 제13권, 제5호, pp.32-56, 2010.
  4. 채송화, 배채수, 진창현, "커스튬 주얼리의 브랜드 개성 측정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4권, 제5호, pp.205-226, 2013.
  5. 윤성원, 'IT'JEWELRY 뉴욕5th Ave.에서 만난 주얼리의 세계, 웅진씽크빅 웅진리빙하우스, 2012.
  6. 전상택, 이형주, "인터넷쇼핑몰에서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9-84, 2012.
  7. 전상택, 이형주,최계봉, "인터넷쇼핑몰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지니스연구, 제11권, 제2호, pp.105-130, 2012.
  8. 이희정, SNS(Social Network Service) 내 상호작용 영향 요인과 소비자의 정보 구전 의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9. 이동근, "소셜커머스의 기능적 속성과 SNS 이용 이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디자인학연구, 제19권, 제2호, pp.219-232, 2012.
  10. C. H. Jin, "The Perspective of a Revised TRAM on Social Capital Building : The Case of Facebook Usage," Information & Management, Vol.50, No.4, pp.162-168, 2013. https://doi.org/10.1016/j.im.2013.03.002
  11. N.B.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No.01, pp.143-168, 2007.
  12. R. E. Rice, "Media Appropriateness : Using Social Presence Theory to Compare Traditional and New Organizational Media,"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9, No.4, pp.451-484, 1993. https://doi.org/10.1111/j.1468-2958.1993.tb00309.x
  13. F. Biocca, "Presence Presentation Presented in May 22 at a Workshop in Cognitive Issue in Virtual Reality," VR95 Conference and Expo, San Jose, CA.1995.
  14. N. Kumar and Benbasat, "The influence of recommendations and consumer reviews on evaluations of website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17, No.4 pp.25-439, 2006.
  15. 문영주, 이종호, "오픈 마켓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쇼핑가치, 신뢰와 온라인 구전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전자상거래학회지, 제11권, 제1호, pp.59-97, 2010.
  16. 한영주, 인터넷 마케팅, 영진출판사, 2012.
  17. 신미해, 오상헌, 황대용, 서수석, 김영철, "SNS 기능적 속성이 농식품 콘텐츠의 소비자만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1호, pp.358-367, 2012.
  18. 이점수, 이영곤, "소셜네트워크 기능적 속성이 고객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제15권, 제3호, pp.49-65, 2012.
  19. R. L. Oliver, "Whence Custo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3, No.Special Issue, pp.33-44, 1999.
  20. B. Stauss, "Global Word of Mouth : Service bashing on the Internet is a thorny issue," Marketing management, Vol.6, No.3, pp.28-30, 1997.
  21. S. A. Taylor and T. L. Baker, "An Assesment of the Retailing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usto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Vol.70, No.2, pp.163-178, 1994. https://doi.org/10.1016/0022-4359(94)90013-2
  22. 김종의, 소비자행동, 형설출판사. 2001.
  23. 장삭, 이종호, "SNS 특성이 온라인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한중 비교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발표논문집, 2011.
  24. R. K. Smith, Textbook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5. 이상희, "뷔페레스토랑의 물리적환경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407-41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407
  26. G. Desouza, "Designing a Customer Retention Plan,"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Vol.13, No.2, pp.24-28, 1992. https://doi.org/10.1108/eb039477
  27. 채서일, 통계분석, 학현사, 2004.
  28.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8.
  29. 유상진, 이동만, 김효정, "모바일 광고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구, 미국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8권, 제3호, pp.135-152, 2006.
  30. J. C. Nunnally, Psychometrictheory, New York: McGraw-Hill, 1978.
  31.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4, 1998.
  32. C. Fornell and D. Lar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February,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3. B. Kun, H. Balazs, M. Kapitany, R. Urban, and Z. Demetrovics, "Confirmation of the three-factor model of the Assessing Emotions Scale (AES): Verification of the theoretical starting point,"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2, No.1, pp.596-606, 2010. https://doi.org/10.3758/BRM.42.2.596
  34.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2nd ed.)," The Guilford Press, New York.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