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of Nurses and Nurses' aid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 Received : 2014.06.13
  • Accepted : 2014.07.21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of nurses and nurses' aid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ubjects were 84 nurses and 72 nurses' aides recruited from seven long-term care hospitals in Gwangju city and Jeonranam-do. SPSS/WIN 2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s of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were 16.84, and the score for performance was 2.88.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of cancer pain management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job, and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were observed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job, number of beds, cognition of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cancer pain management. Knowledge, number of bed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cancer pain management affected in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cancer pain management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cancer pain management are needed to improve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of nurses and nurses' aid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는 실시되었다. 광주와 전라남도의 7곳의 요양병원에서 간호사 84명과 간호조무사 72명을 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지식은 30점 만점에 16.84점으로 나타났고, 수행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2.88점이었다. 대상자들의 지식은 교육 수준, 직업,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행에서는 교육 수준, 직종, 병상 수,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관찰되었다. 지식은 수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식, 병상 수,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였다. 향후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 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280286&page=1
  2. 국가암정보센터,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국가암정보센터, 2013.
  3. P. Allard, E. Maunsell, J. Labbe, and M. Dorval,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cancer pain control: A systemic review," J Palliat Med, Vol.4, No.2, pp.191-203, 2001. https://doi.org/10.1089/109662101750290227
  4. 김복희, 박희옥, "병동호스피스 환자와 가정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안녕과 삶의 질 비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92-301, 2013.
  5. 김금순, 김진아, 김문숙, 김을순, 박광옥, 송말순 등, "욕창, 낙상예방 및 통증간호의 간호과정 적용 평가도구 개발", 임상간호연구, 제15권, 제1호, pp.133-147, 2009.
  6. 김희진, 박인숙 강경자, "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암성 통증관리 지식 및 인식도", 대한종양간호학회, 제12권, 제2호, pp.147-155, 2012. https://doi.org/10.5388/aon.2012.12.2.147
  7. 김선화, 박상연,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한국산학기술 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54-263, 2012.
  8. J. Overcash, D. Hanes, D. Birkhlmer, and T. Askew, "Pain intensity and pain management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ancer: An opportunity for improvement," Clini J Oncol Nurs, Vol.17, No.4, pp.365-368, 2013. https://doi.org/10.1188/13.CJON.365-368
  9.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 건강 보험통계 연보(개요번호 92006), 세광디자인인쇄, 2012.
  10. 최인덕, 이은미,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 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회, 제30권, 제3호, pp.855-869, 2010.
  11. http://www.mw.go.kr/front_new/jb/sjb0402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2&BOARD_ID=220&BOARD_FLAG=03&CONT_SEQ=215775&page=1
  12. 이용재, "국민보건의료에 대한 민간의료보험의 영향고찰 : 의료서비스 이용만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00-20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00
  13.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notice/02/1211476_24959.html&subject=
  14. 송호정, 김광숙,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 수행 정도와 관련요인: 개인 및 병원 기관 요인", 임상 간호연구, 제16권, 제3호, pp.25-37, 2010.
  15. 정은영, 은성종, 정병희, 이용준, 박동균, "효율적인 돌발성 암 통증 관리를 위한 자가 진단 알고리즘 설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4권, 제5호, pp.458-46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458
  16. http://www.nursenews.co.kr/Article/ArticleDetailView.asp?typ=3&articleKey=1212
  17. 조은경,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 지식 및 수행 실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18. 국가암정보센터,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 국가암정보센터, 2008.
  19. 이경임, 응급실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정도와 수행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20. M. Gustafsson and G. Borglin, "Can a theory-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 change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concerning cancer pain management? A quasi-experimental design," BMC Health Serv Res, Vol.13, No.1, pp.1-11, 2013. https://doi.org/10.1186/1472-6963-13-1
  21. 유희정, 호스피스병동과 내과병동 간호사의 암성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2. 탁효희, 김계하, "일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수행실태와 간호수행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제24권, 제1호, pp.23-34, 2012.
  23. 송선옥, 이경숙, 이병용, 박대팔, 여정은, 김흉대 등, "정맥 내 통증 자가조절법을 이용한 말기 암환자의 통증조절", 대한통증학회, 제9권, 제1호, pp.75-82, 1996.
  24. 정지영, 윤순영, "요양병원 간호인력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직접간호수행 정도 및 노인학대 인지도",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33-241, 2012.
  25. 이은주, 양승옥, " 중소병원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과 간호수행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제 17권, 제2호, pp.251-261, 2011.
  26. 공성화, 방찌야, 서민숙, 현신숙, 김희정, 이미애 등, "암 병동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16, 2004.
  27. 길현희, 최정실, "보호자 없는 병실 간병인의 간병업무 중요도, 지식정도와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5-65, 2012.
  28. 심미경, 손선영, "신장이식환자에 대한 개별교육 프로그램이 자가간호 지식과 자가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8권, 제1호, pp.9-17, 2012.

Cited by

  1. Pain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vol.19, pp.4, 2016, https://doi.org/10.14475/kjhpc.2016.19.4.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