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Fairness, Motivation, Job Satisfaction, Intention to stay of Nurses

간호사의 동기부여,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재직의도와의 관계

  • Received : 2014.09.17
  • Accepted : 2014.09.29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test a path that explains and predicts Korean nurses' intention to stay. A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217 nurses and six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mode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18.0 program.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factors and the hygiene factor and motiva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ddition,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distributive fairness direc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stay and indirectly affected the hygiene factor and motivation factor. The final modified model yielded ${\chi}^2=2.681$, p=.433), GFI= .98, RMSEA=.001, NFI=.99, CFI=.99, GFI=.97 and good fit indices. This comprehensive model explains the related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n nurses' intention to stay.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appropriate strategies to further increase Korea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stay.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재직의도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는 연구로 동기요인, 위생요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직무만족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 경기, 충남지역의 4개 종합병원 21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요인들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 특히 간호사 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 중 총 경력, 직무만족, 분배공정성이 45%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러 선행 연구들과 이론적 내용들이 검증되었다. 재직의도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수정모형에서 직무만족에 직접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위생요인 25%, 동기요인 52%로 나타났으며 재직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직무만족 50%, 분배공정성 26%로 나타나 동기요인, 위생요인, 분배공정성, 직무만족 변수가 간호사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검증이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들의 만족과 재직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정희, 김지수, 김경희,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1호, pp.35-44, 2008
  2. N. Bendapudi and R. P. Leone, "Managing business-to-business customer relationship following key contact employee turnover in a Vendor Firm," Journal of Marketing, Vol.66, No.4, pp.83-101, 2002. https://doi.org/10.1509/jmkg.66.2.83.18476
  3. 박종선, 박복남,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업무생산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0-158, 2008,
  4. 문숙자, 한상숙, "간호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5호, pp.633-641, 2011.
  5. 류정란, 직무배태성이 조직 잔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R. T. Mowday, L. W. Porter, and R. M. Steers, Employ-Organization Linkages : The Psychology Commitment, Absenteesm and Turnover, New York:Academic Press, 1982.
  7. F. Herzberg, Work and the Nature of Man, Cleveland: World Publishing Co. 1966.
  8. D. E. Conlon, C. J. Meyer, and J. M. Nowakowski, How does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 performance, withdrawal, and counterproductive behavior? In Colquitt, J. A., & Greenberg, J.(Ed.), Handbook of organizational justice, pp.301-328, 2005.
  9. S. Alexander and M. Ruderman, "The role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in organizational behavior," Social Justice Research, Vol.1, pp.177-198, 1987. https://doi.org/10.1007/BF01048015
  10. B. P. Niehoff and R. Moorman,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6, pp.527-556, 1993. https://doi.org/10.2307/256591
  11. 김인주, 간호사의 동기부여에 관한 실증적 연구 -Herzberg의 2요인이론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2. 임지영, "병원 내무마케팅 활동이 간호사의 동기 부여에 미치는 영향 : Herzberg의 동기-위생요인 이론을 기반으로", 간호행정학회지, 제12권, 제 1호, pp.5-13, 2006.
  13. K. Aquino, R. W. Griffeth, D. G. Allen, and P. W. Hom, "Integrating justice constructs into the turnover, process: A test of a referent cognition mode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0, pp.1208-1227, 1997. https://doi.org/10.2307/256933
  14. 서영준, 고종욱,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제9권, 제1호, pp.115-132, 2004
  15. 염영희, "조직공정성과 감정성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2호, pp.216-224, 2010.
  16. 염영희, "조직공정성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 몰입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2호, pp.216-224, 2009.
  17. 조국행, 공정성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8.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약산출판사, 1991.
  19. 김희용, 공군조종사의 직무에 대한 동기부여가 조직몰입과 잔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0. L. H. Aiken, S. P. Clarke, D. M. Sloan, J. Sochalski, and J. H. Silber,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8, pp.1987-1993, 2002. https://doi.org/10.1001/jama.288.16.1987
  21. 이정우, "전문병원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직무 만족, 고객지향성 및 서비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66-276, 2011.
  22. 이애경, 여지영, 정성원, 변상석,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99-30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23. L. S. Cowin, "Effects on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32, pp.282-291, 2002.
  24. E. Y. Chan and P. Morrison,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and turnover intentions of registered nurses in a Singapore hospital,"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2, No.2, pp.113-121, 2000. https://doi.org/10.1046/j.1442-2018.2000.00046.x
  25. 이은희, 조경숙, 손행미, "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 임상간호연구, 제20권, 제1호, pp.15-27, 2014.
  26. 김미란,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간호업무 수행과 재직의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7. 권정애, 임상간호사의 업무환경과 재직의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성미혜, 최은영, "응급실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수행능력과 재직의도", 기본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44-252 2012.
  29. T. W. Lee and R. T. Mowday, "Voluntarily leaving an organization: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teers and Mowday's model of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0, No.4, pp.721-743, 1987. https://doi.org/10.2307/256157
  30. J. S. Adams, "Toward an understanding of inequ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67, pp.422-436, 1963. https://doi.org/10.1037/h0040968
  31.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 No.2, pp.237-240, 1977. https://doi.org/10.1037/0021-9010.62.2.237
  32. J. L. Price, and C. W. Mueller,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Stanford, CA: JAI Press. 1986.
  33. 박노운, 웨딩산업종사자의 조직만족과 잔류의도간의 관계에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Publishing, Philippines, 1982
  35. T. E. Becker, "Foci and bases of commitment: Are they distinctions worth m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2, pp.232-244, 1992.
  36. 박동진, 이광희, 정장영, 문정환, "통제위치, 조직 공정성 그리고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35권, 제9호, pp.87-94, 2012
  37. 문숙자, 한상숙, "간호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1권, 제5호, pp.633-641, 2011.
  38. 이미애, "간호사가 지각한 보상 공정성과 이직의 도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95-204, 2008.
  39. D. B. McFarlin and P. D. Sweeney,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5, pp.626-637, 1992. https://doi.org/10.2307/256489

Cited by

  1.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Nurses vol.25, pp.3, 201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177
  2. Effects of Advanced Beginner-Stage Nurses' Sense of Call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Retention Intention vol.22, pp.2,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2.137
  3. A Structural Model of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Embeddedness vol.22, pp.3,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92
  4. Factors Influencing Korean Nurses' Intention to Sta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ol.24, pp.2, 2018,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2.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