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ies on Family Support Programs according to the Needs of Community Residents

지역주민의 욕구에 따른 가족지원사업 필요에 관한 연구

  • 김소희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문수경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8.29
  • Accepted : 2014.09.24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s of local residents on their family-related needs and finds the differences of specific target attributes in order to establish family support projects that can meet the specific dem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concerns of local residents were more related to 'difficultie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compared to 'family relationship problems'. Second, although there is high awareness of family support centers, the overall utilization is very low, and utilization is high amongst families with special needs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and kinship families. However, utilization was low amongst families without special needs. Third, the desired services varied by gender, age, education level, family structure, occupation, and income leve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ailored service programs and promo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diverse needs of local families.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가족관련 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대상특성별 욕구의 차이를 발견하여 이를 토대로 차별화된 가족지원사업이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주민의 가정내 관심사는 '가족관계의 문제' 보다도 '자녀교육 및 양육의 어려움'이 주된 관심사로 나타나, 전체주민을 위한 가족지원센터에서의 지원이 가정내 자녀양육에 있어서의 교육적인 면에서나 경제적인 면에서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가족의 욕구에 부응하는 가족지원센터의 존재에 대해 인식정도가 높은 반면, 실질적인 이용률은 매우 낮았으며, 이용주민들도 조손가구나 한부모가구, 다문화가구 등 특수한 가족욕구를 지닌 경우에 이용하는 비율이 높아 일반가정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기관의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특성별로 가족욕구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별, 연령대, 학력수준, 가족형태, 직업군, 소득수준에 따라 필요로 하는 서비스프로그램에 차이가 나타나 이를 반영한 차별적인 서비스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M. Alarcao, (Des) equilibros familiars, Quarteto Editora, Coimbra. 2000.
  2. A. Matos and L. Sousa, "How multiproblem families try to find support in social services,"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Vol.18, No.1, pp.65-80, 2004. https://doi.org/10.1080/0265053042000180590
  3. http://www.familynet.or.kr
  4. 김승권, 조현순, 김연우, 취약, 위기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0권, 2010
  5. K. Orthner, H. Sanpei, and S. Williamson, "The Resilience and strengths of low-income families. Family Relations," Vol.53, No.2, pp.159-167, 2014.
  6. 양정선, 김성희,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4권, 제4호, 2010
  7. 강기정, 이무영, 정은미, "다문화가족 사례관리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8권, 제2호, 2013
  8. 이승미, 송혜림, 라휘문, 박정윤, "가족복지전달체계 통합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2.
  9. 남영선, 여성노인의 가족생활특성에 따른 가족복지 욕구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 정율화, 노인부양가족의 복지증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한윤숙, 치매노인가족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 주소희, 권지성, 이경은, "조손가족을 위한 가족 사회복지실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발표논문, 2009.
  13. 박재규, "경기도 국제결혼 여성이민자의 가족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효과 분석", 한국사회학회, 제6권, 2009.
  14. 김정현, "다문화가족 노부모-성인자녀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본 가족복지욕구, 가족복지정책, 서비스 실태에 관한 연구", 논문집, 제28권, 2010.
  15. 김미정, 다문화가정의 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6. 정영숙, "다문화가족의 환경적 요인이 아동의 언어지체 및 가족복지에 미치는 영향",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1권, 제2호, 2011.
  17. 오성숙, 이은경, "다문화가족 자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가정환경",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714
  18. 김선화, "북한이탈주민가족의 적응이슈와 가족복지실천 방안",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3(2).
  19. 안정희, 한부모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체계 확대방안, 성산효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0. 이은비,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장애여성의 가족기능성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 심미영, 김재림, 안성아, "장애인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67
  22. 정소영, 도시지역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복지관 개입에 관한 일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3. 이원규, 한국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모형 계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4. 정수경, "지역사회복지관 가족복지서비스 분류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4권, 2008.
  25. 이민아, 지역사회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복지서비스 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연구, 서울기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6. 문신용 등, "SERVQUAL 기법을 활용한 가족복지서비스의 질적수준평가", 지방정부연구, 제13권, 제4호, 2009.
  27. 조현순, 정은, "가족정책의 효율적 전달체계 운영을 위한 종합사회복지관의 가족복지사업과 건강가정지원센터사업의 비교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6권, 제3호, 2008.
  28. C. Wathen and H. MacMillan, "Interventions for violence against women: Scientif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89, pp.589-601, 2003. https://doi.org/10.1001/jama.289.5.589
  29. M. Hoge and R. Howenstine,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tegrating mental health services,"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Vol.33, pp.175-188, 1997. https://doi.org/10.1023/A:1025044225835
  30. S. Sagawa, "Common interest, common good: Creating value through business and social sector partnership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2, pp.105-122, 2000. https://doi.org/10.2307/41166035
  31. L. Haesler,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ructure: Improvements for Service Agencies Aiding Women of Abuse," Journal of Evidence-Based Social Work, Vol.10, pp.19-24, 2013. https://doi.org/10.1080/15433714.2013.751000
  32. 김선희,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 프로그램 분석", 한국가정과학회지, 제8권, 제2호, 2005.
  33. 이선형, 김근홍,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 가족복지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의 방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지, 제21권, 2005.
  34. 박정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문화 사업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3호, 2008.
  35. 이희선,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욕구조사", 한국가정관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08.
  36. 정영금, 정지영, 조성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가정건강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6권, 제2호, 2008.
  37. 김진희, "건강가정지원센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6권, 제2호, 2008.
  38. 김정옥, "지방분권과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역할",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4.
  39. 장진경, 오제은, 한은주, 류진아, 원소연,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운영과 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6호, 2006.
  40. 오윤자, "네트워크-지역사회 유관기관 연계를 통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의 활성화 방안", 대한가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006.
  41. 중앙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서울:한다문화사, 2007.
  42. 진미정, 유재언, "지리적 근접성이 건강가정지원 센터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7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