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하경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주민경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송선희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4.07.03
  • Accepted : 2014.08.26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elderly participants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their living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their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he project on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expressed a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ject, but the level of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not that high. The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project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living and life. Second, the senior participants who were more gratified with their own particip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ving and life. Third, th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under the largest influence of their educational satisfaction, which was par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more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step up the expansion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In order to boost the living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ore intens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job content of the job creation project for the elderly, and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as well.

본 연구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참여 유형에 따라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특히 교육형에 참여한 노인이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은 참여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 만족도 중에 교육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노인 일자리사업을 확대, 시행함에 있어서는 교육형 위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노인 일자리사업의 업무내용에 대한 교육의 강화 및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영완, 한국 노인의 여가생활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 박광준, 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현학사, 2004.
  3. 박현정, 농촌거주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장유미,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 G. Naegele and K. Kramer, "Recent developments in the employment and retirement of older workers in Germany," Journal Aging Social Policy, Vol.13, No.1, pp.69-92, 2001.
  6. I. Wolcott, "Older workers, families and public policies," Family Matters, Vol.53, pp.77-81, 1999.
  7. 변재관, 한국에서의 고령자 고용정책의 현황과 정책방안,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06.
  8. 이문국,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자가구의 탈빈곤 결정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9. 남기철, "노인 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서울 경제, 통권 94호, pp.3-11, 2013.
  10. 보건복지가족부, 2009년도 노인 일자리사업안내, 2009.
  11. R. J. Havighurst and R. Albrecht, Older People, New York: Longmans., 1953.
  12. 오현숙, "노인의 특성적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제9권, 제3호, pp.287-303, 2003.
  13. E. Cumming and W. E. Henry, Growing older: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ew York: Basic Books, 1961.
  14. 박민서, 조규범,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에 관한 연구", 지역발전연구, 제3권, 제1호, pp.287-303, 2003.
  15. B. L. Neugarten, R. J. Harvinghur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No.2,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16. W. Burr, R. D. Leigh, and J. Constantine, Symbolic and the Family, In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edited by W. Burr, New York: The Free Press, 1979.
  17. R. J. Harvinghurt,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The Gerontologist, Vol.8, No.1, pp.67-70, 1968. https://doi.org/10.1093/geront/8.2.67
  18. M. Medley,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s Sixty-Five Yours of Age and Elder," Journal of Gerontology, Vol.31, No.4, pp.448-455, 1976. https://doi.org/10.1093/geronj/31.4.448
  19. 김신숙,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0. 서수오,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에 따른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1. 김경희, 노인일자리 참여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2. 윤석구, 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3. 신희팔, 노인 일자리사업이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동작구 노인 일자리 사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4. K. S. Markides and H. W. Martin,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Gerontology, Vol.34, No.1, pp.86-93, 1979. https://doi.org/10.1093/geronj/34.1.86
  25. 박희영, 재취업이 고령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최은희, 노인 일자리사업이 참여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민진암,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8. 조준, 김영희, 조지현,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직무만족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94-30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294

Cited by

  1. A Study on the Depression,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vol.20, pp.2, 2017, https://doi.org/10.7587/kjrehn.2017.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