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Audience Perceptions and Responses of Broadcasting Deliberation

시청자 집단의 심의 인식·반응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8.19
  • Accepted : 2014.10.06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udience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broadcasting deliberation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The study employed factor and cluster analyses to categorize audience perceptions of broadcasting deliberation,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six types of preferences: strict standards applied to positive deliberation etc. The results indicate that audiences,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re more likely to prefer positive deliberation over broadcasting codes. The ratio of civil compliance to a minimum standard of positive deliberation is higher than ratios involving the other standards that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tudy applied a range of theories, such as cognitive dissonance, inconsistency of perception and respons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to examine and distinguish audience perceptions and responses. The study's finding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interested organizations and can help to lay a cornerstone for systematically classifying audience perceptions and need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자들의 방송심의에 대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동시에, 시청자들에게 나타나는 인식 반응의 비일관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군집분석 등 통계적 방법으로 방송심의 활동에 대한 시청자들의 인식유형을 구분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청집단별 인식유형은 '엄격기준 적극심의 선호형' 등 6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6개 유형 가운데 3개 유형이 적극적인 심의를 선호하는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중 '최저기준 적극심의 선호형' 집단은 심의기준 항목의 중요성을 가장 낮게 평가하면서도, 심의활동은 강화되어야 한다는 논리적으로 모순된 인식과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사점은 방송심의 활동에 대한 시청자의 인식 유형을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 향후 심의에 대한 시청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보다 과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두, 이창현, 방송 프로그램의 성표현 규제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연구 보고서, 1995.
  2. 김경희, 심미선, 박은희,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정성 심의기준에 대한 수용자 인식 연구", 방송통신연구, 봄호, pp.109-135, 2012.
  3. 심석태, "방송심의기구의 '민간독립성 신화'에 대한 고찰", 미국헌법연구, 제23권, 제3호, pp.163-203, 2012.
  4. 심미선, 박은희, 김경희, "방송심의 위반사례로 살펴본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정성 및 폭력성 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159-204, 2011.
  5. 윤재홍, "방송기자의 방송심의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방송학회 2006년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자료, pp.3-22, 2006.
  6. 이순자, 박형서, "Q방법론을 활용한 갈등행위자 인식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제25권, 제2호, pp.271-302, 2011.
  7. 이창현, "방송프로그램의 성표현에 대한 내용규제 인식 연구", 주관성연구, 통권 제3호, pp.117-144, 1998.
  8. 이창현, "지상파 방송심의를 둘러싼 영향력 집단의 갈등과 심의개선의 모색",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제1호, pp.64-93, 2007.
  9. 이창현, "공정성 관련 방송심의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 분석", 방송연구, 겨울호, pp.45-68, 2008.
  10. 이창훈, 우형진, "방송심의규제의 공정성 적용에 관한 연구", 미디어경제와 문화, 제9권, 제3호, pp.7-56, 2011.
  11. 정재하, "방송심의에 대한 시청자 인식 유형 분석", 방송통신 심의동향, 제5권, 제1호, pp.14-26, 2013.
  12. 차동필, "건강관련 메시지 특성과 개인의 반발 성향이 반발 유발에 미치는 효과", 광고연구, 겨울호, pp.311-328, 2008.
  13. 최우정, "방송심의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과 법, 제8권, 제1호, pp.31-36, 2009.
  14. 하승태, 박범길, 이정교,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73-112, 2010.
  15. 하종원, "방송 프로그램의 심의기준에 대한 이해 관련자들의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적 접근",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55-198, 2012.
  16. 한진만, 최현철, 홍성구, "언론자유와 공정성 심의체계", 방송통신연구, 제79권, pp.71-98, 2012.
  17. 홍성묵, 김선주, 이만영, "청개구리 심보: 심리적 반발심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한국심리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53-166, 1994.
  18. J. W. Brehm, "Control, its loss, and psychological reactance," In G. Weary, F. Gleicher, & K. L. Marsh (Eds.), Control Motivation and Social Cognition (pp. 3-30). New York/Berlin: Springer-Verlag, 1993.
  19. J. W. Brehm, "A Theory of Psychological Reactance," New York: Academic Press, 1966.
  20. S. S. Brehm and J. W. Brehm, Psychological Reactance: A Theory of Freedom and Control, New York: Academic Press., 1981.
  21. L. Festinger and J. M. Carlsmith, "Cognitive consequences of forced complianc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Vol.58, pp.203-211, 1959. https://doi.org/10.1037/h0041593
  22. F. Heider, "Attitudes and cognitive organization," Journal of Psychology, Vol.21, No.1, pp.107-111, 1948.
  23. T. M. Newcomb, "An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unicative acts," Psychological Review, Vol.60, pp.393-404, 1953. https://doi.org/10.1037/h0063098
  24. C. E. Osgood and P. H. Tannenbaum, "The principle of congruity in the prediction of attitude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62, pp.42-55, 1955. https://doi.org/10.1037/h0048153
  25. R. A. Wicklund, Freedom and Reactance, Potomac, MD: Lawrance Erlbaum Associates, 1973.
  26. 류철균, 문아름, "국내 TV 자연 다큐멘터리 에필로그 시스템에 나타난 서사 전략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67-7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067
  27. 송은지, "청소년 인터넷규제 개선 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690-69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690
  28. 황종호, "매스 미디어 운영에 따른 성과제고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66-37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