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ise and Fall of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in Korea : Focusing on the 'Show Show Show' on TBC-TV

한국 텔레비전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성쇠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 박용규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 Received : 2014.06.18
  • Accepted : 2014.08.04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how Korean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rose and declined focusing the 'Show Show Show'. 'Show Show Show' was a Korean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that ran on TBC-TV every Saturday night at 8pm. until TBC-TV was absorbed into KBS-TV in 1980. Its musical acts, of various kinds, were interspersed with comic turns and special items including dancing, mime, magic, and acrobat. Korean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worked on what audiences had in common across generational divides till the late 1970s. 'Show Show Show's catchall format didn't cross the demographic lines like it used to. But the young generation demanded music program that spoke to their own condition in the early 1980s. 'Show Show Show' ended on KBS-TV in July 1983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absorption of TBC-TV into KBS-TV and the changes of cultural circumstances. The decline of the television musical variety show was attributable to the fragmentation of musical taste and the change of viewing behaviors.

이 논문은 TBC-TV의 '쇼쇼쇼'를 중심으로 한국의 음악버라이어티쇼가 어떻게 성장하고, 쇠퇴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KBS-TV로 통폐합되기 전까지 토요일 저녁 8시 경에 방송을 했던 '쇼쇼쇼'는 온 가족이 주말 저녁 한 때를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쇼쇼쇼'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을 다루었고, 음악외에 무용, 코미디는 물론 각종 마술이나 묘기들도 선보였다. '쇼쇼쇼'는 1970년대 말까지 모든 세대에게 인기를 누린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쇼쇼쇼'는 점차로 음악버라이어티쇼다운 특성을 잃으며 음악 위주의 프로그램이 되었다. 또한 갈수록 성인 취향의 음악이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쇼쇼쇼'는 통폐합의 영향으로 위축되기 시작하다가, 결국 시청행태 변화와 음악적 취향 분화의 영향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쇼쇼쇼'의 종영은 가족이 함께 보는 음악버라이어티쇼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흥주, "음악프로그램의 개념, 종류 및 사회적 기능", 방송개발, 제5권, 제2호, pp.196-197, 1997.
  2. 강태영, 윤태진, 한국 TV 예능.오락 프로그램의 변천과 발전, 한울, 2002.
  3. 주창윤, "텔레비전프로그램 장르 구분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제59호, pp.127-128, 2004.
  4. 중앙일보, 동양방송사사편찬위원회, 중앙일보 20년사.동양방송 17년사, 중앙일보사, p.827, 1985.
  5. 황정태, KBS, TBC-TV 개국, 그리고 쇼쇼쇼,한국TV방송50년위원회 편, 한국의 방송인, 커뮤니케이션북스, pp.446-457, 2001.
  6. 조영남, 놀멘 논멘 1부 : 돌고 돌아가는 물레방아인생, 고려원, pp.267-268, 1994.
  7. T. Scheurer, "The Variety Show," In B. G. Rose (Ed.), TV Genres: A Handbook and Reference Guide,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pp.307-308, 1985.
  8. M. Forman, "Television before television genre: The case of popular music," Journal of Popular Film and Television, Vol.31, No.1, pp.5-16, 2003. https://doi.org/10.1080/01956050309602863
  9. M. J. Matelski, Daytime Television Programming, Boston: Focal Press, pp.69-70, 1991.
  10. M. Forman, "One night on TV is worth weeks at the Paramount: musicians and opportunity in early television, 1948-1955," Popular Music. Vol.21, No.3, pp.252-253, 2002.
  11. R. Butsch, The making of American aud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pp.245-247, 2002.
  12. I. Inglis, "The Ed Sullivan Show and the(Censored) Sounds of the Sixties,"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39, No.4, pp.558-575, 2006. https://doi.org/10.1111/j.1540-5931.2006.00279.x
  13. S. Frith, "Look! Hear! The uneasy relationship of music and television," Popular Music, Vol. 21, No.3, pp.277-290, 2002.
  14. G. Creeber, T. Miller, and J. Tuiloch, The Television Genre Book, 박인규 역,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 산해, p.73. 2001/2004.
  15. T. Scheurer, "The Variety Show," In B. G. Rose (Ed.), TV Genres: A Handbook and Reference Guide,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p.321, 1985.
  16. 주창윤, "텔레비전프로그램 장르 구분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제59호, p.108, 2004.
  17. G. Creeber, T. Miller, and J. Tuiloch, The Television Genre Book, 박인규 역, 텔레비전 장르의 이해, 산해, p.22. 2001/2004.
  18. 이홍주, TV매체를 통한 대중가요의 실상과 허상,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9. 김종진, 한국 TV쇼 프로그램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0. 김설아, 1980년대 텔레비전 오락프로그램의 발전과 문화적 영향", 한국방송의 사회문화사, 한울,pp.411-466, 2011.
  21. 신현준,이용우, 최지선,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한길아트, 2005.
  22. 황정태, 디지털 혁명, TV방송을 변화시킨다, 중앙M&B, pp.89-90, 2001.
  23. 선성원, 한국대중문화 101장면, 미디어집, p.213, 2005.
  24. 한국방송연감 1966년판, 사단법인 한국방송사업협회, p.262, 1966.
  25. 황정태, KBS, TBC-TV 개국, 그리고 쇼쇼쇼,한국TV방송50년위원회 편, 한국의 방송인, 커뮤니케이션북스, pp.24-25, 2001.
  26. 한국일보, p.4, 1964.12.12.
  27. 한국방송연감 1966년판, p.281.
  28. 중앙일보, 동양방송사사편찬위원회, 중앙일보 20년사.동양방송 17년사, 중앙일보사, p.824, 1985.
  29. 일간스포츠, p.4, 1971.3.22.
  30. 한국연감 1971년판, 한국연감편찬회, p.408, 1971.
  31. 일간스포츠, p.8, 1970.10.29.
  32. 중앙일보, p.5. 1973.9.6.
  33. 박윤석, "한국 개그의 30년 배후 전유성", 신동아, 1997년 9월호, pp.393-394.
  34. 일간스포츠, p.8, 1976.1.14
  35. 동아일보, p.5, 1977.10.28.
  36. 전규찬, 박근서,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한울, p.38, 2003.
  37. 곽명세, "침체 속의 TV쇼, 부활의 묘책은 없는가?", 방송시대, 1991년 7월호, pp.94-97.
  38. 김종칠, "한국 TV 버라이어티쇼 어제와 오늘", 월간 방송, 1971년 10월호, p.93.
  39. 일간스포츠, p.4, 1970.10.29
  40. 일간스포츠, p.4, 1971.3.26
  41. 중앙일보, p.5, 1975.10.25
  42. 경향신문, p.5, 1977.1.25.
  43. 조선일보, p.5, 1979.2.4.
  44. 동아일보, p.5, 1979.9.24
  45. 한국방송연감 1966년판, p.297.
  46. 신문연감 1977년판, 한국신문회관, p.156, 1977.
  47. 최지호, 미국문화의 상륙과 한국 스탠다드팝의 형성,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6-142, 2005.
  48. 핫뮤직, p.131, 2003(6).
  49. 중앙일보, p.8, 1970.2.14.
  50. 김형찬, "1970년대 통기타 음악과 청년문화의 인프라", 김창남 편, 대중음악과 노래운동 그리고 청년문화, 한울, pp.173-174, 2004.
  51. 윤선희, 김영한, "1970년대 대중문화와 여성의 재현-대중가요 음반의 영상 기호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3호, pp.135-176, 2005.
  52. 경향신문, p.8, 1970.12.26.
  53. 한국일보, p.8, 1971.12.25.
  54. 중앙일보, p.8, 1974.12.28
  55. 중앙일보, p.5, 1975.12.13
  56. 경향신문, p.8, 1976.2.26
  57. 일간스포츠, p.8, 1976.2.18
  58. 중앙일보, p.2, 1976.4.17.
  59. 동아일보, p.8, 1976.2.21.
  60. 중앙일보, p.8, 1979.7.13
  61. 조용호, "쇼쇼쇼 20년", 여성중앙, 1982년 9월호,pp.142-149.
  62. 일간스포츠, p.8, 1977.2.5
  63. 중앙일보, p.5, 1978.5.6
  64. 중앙일보, p.5, 1978.8.26
  65. 중앙일보, p.5, 1967.9.5
  66. 중앙일보, 동양방송사사편찬위원회, 중앙일보 20년사.동양방송 17년사, 중앙일보사, p.826, 1985.
  67. 한국방송연감 1972년판, 한국방송회관, p.35, 1972.
  68. 합동연감 1973년판, 합동통신사, p.226, 1973.
  69. 경향신문, p.8, 1974.3.27
  70. 주간경향, p.43, 1970.4.24.
  71. 이성욱, 쇼쇼쇼, 김추자, 선데이서울, 게다가 긴급조치, 생각의 나무, p.47, 2004.
  72. 일간스포츠, p.8, 1976.4.4.
  73. 일간스포츠, p.8, 1977.6.3
  74. 원우현, "텔레비전과 전통문화에 관한 사회조사", 이환의 편, 80년대 도전: 한국 TV, 전예원, p.181, 1979.
  75. 원우현, "텔레비전과 전통문화에 관한 사회조사", 이환의 편, 80년대 도전: 한국 TV, 전예원, p.175, pp.200-201, 1979.
  76. 원우현, "텔레비전과 전통문화에 관한 사회조사", 이환의 편, 80년대 도전: 한국 TV, 전예원, p.175, p.222, 1979.
  77. 정순일, 장한성, 한국TV40년의 발자취, 한울,p.155, 2000.
  78. 중앙일보, p.12, 1981.6.17.
  79. TV가이드, pp.44-47, 1983.7.30.
  80. 신현준, 글로벌, 로컬, 한국의 음악산업, 한나래, p.193, 2002.
  81. 김영주, 한국의 청년 대중음악문화, 한국학술정보, pp.137-141, 2006.
  82. 김창남, 하위문화집단의 대중문화실천에 관한 연구-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56-57. 1994.
  83. 임종수, 1970년대 한국 텔레비전의 일상화와 근대문화의 일상성,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48-151. 2003.
  84. 조선일보, p.5, 1980.7.18
  85. 조선일보, p.11, 1981.2.25.
  86. 김규환, "1981년도 국민생활시간 조사", 신문연구소학보, 제18권, p.32, 1981.
  87. 중앙일보, p.12, 1981.2.24.
  88. 중앙일보, p.12, 1985.11.11
  89. 최지호, 미국문화의 상륙과 한국 스탠다드팝의 형성,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