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Parents' Perception on Accreditation System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 Received : 2014.06.15
  • Accepted : 2014.10.05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is research surveyed parents' perception on the accreditation system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with 202 parents of 7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in K-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necessity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high necessity was shown. Secon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n child care center selection, positive responses were shown. Third, the concerning level of perception on the accreditation system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parents had focused on only the tuition of child care centers. The conclusion was that publicity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parents to understand the goal and role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and to have social concern on it through the various media. The parents' opinion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surveyed and is reflected on the accreditation system of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for increasing the choices on the public type child care centers.

본 연구는 공공형 어린이집 이용자인 부모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내용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공공형 어린이집 이용 활성화와 공공형 어린이집의 제도 개선 및 역할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에 대한 부모의 의견과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K도에 위치한 민간 어린이집 유형의 공공형 어린이집 7개소 부모 202명이다. 조사방법은 공공형 어린이집 인증제도에 대한 내용을 설문지로 구성하여 배부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가 필요한 측면에 대해서는 어린이집 수준의 상향화, 수준 높은 보육내용의 제공부분에 대해 다수가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공인 인증시설이라는 것이 어린이집 선택 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냈다. 셋째,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부분에서는 '보통이다'라는 답변이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알고 있다'라는 답변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부모들의 공공형 어린이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용활성화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덕 (2010). 보육정책의 공적 지원 강화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현주 (2013). 영아교사 관련 주제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4), 401-419.
  3. 김혜영 (2011). 서울형어린이집과 비서울형어린이집의 보육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민간보육시설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노은아 (2012). 공공형 어린이집과 민간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 및 교사효능감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백선희 (2011).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방안. 월간복지동향, 166(1), 4-7.
  6. 보건복지부 (2011).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7. 보건복지부 (2012).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8. 보건복지부 (2013). 공공형 어린이집 업무 매뉴얼.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 (2014). 보육정책-공공형 어린이집 도입. http://www.mw.go.kr에서 2014. 6. 14. 출력.
  10. 서문희, 양미선, 도미향, 송신영 (2011). 공공형.자율형 어린이집 시범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1. 서문희, 이혜민 (2013). 공공형 어린이집의 모니터링과 평가. 육아정책연구소 이슈페이퍼 2013-13. http://www.kicce.re.kr/kor/publication/04_02.jsp에서 2014. 2. 12. 출력.
  12. 서문희, 최혜선 (2010).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13. 아이사랑보육포털 (2014). 공공형 어린이집 찾기. www.childcare.go.kr에서 2014. 6. 14. 출력.
  14. 안현미, 박소영 (2011). 서울형 어린이집 보육서비스 질 평가와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 2006-2.
  16. 이미화, 여종일, 엄지원 (2012). 2013-2017 보육 중장기 발전방향. 육아정책포럼 육아정책 연구소.
  17. 이새봄 (2013). 공공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에 대한 보육 교직원의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선아 (2011).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만족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충세 (2008). 보육시설의 공공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정혜경 (2011). 공공형.자율형 어린이집 공인제도 실시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비교.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조성연, 최혜영, 신혜영 (2013). 어린이집 설치와 인가 기준의 변화 및 보육의 공공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89-417.
  22. 한국보육진흥원 (2012). 공공형 어린이집 사업 평가. 한국보육진흥원.
  23. 홍예지 (2010).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 인증제에 대한 종사자의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