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외나로도(전라남도 고흥군)의 관속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Oenarodo Island (Goheung, Jeollanam-do)

  • 황희숙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정수영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장정원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양종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장계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오승환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Hwang, Hee-Suk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Jung, Su Young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Jang, Jeong Wo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Yang, Jong Cheol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Chang, Kae Su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Oh, Seung Hwa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 투고 : 2014.04.08
  • 심사 : 2014.10.08
  • 발행 : 2014.10.31

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외나로도 지역에 대하여 기 확보된 표본과 2011년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체 관속식물은 117과 342속 503종 2아종 62변종 7품종으로 총 57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주요내용으로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특산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은 10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이 지정한 특별산림보호대상종은 1분류군이다. 그밖에 식물자원은 513분류군이 밝혀졌으며, 그 중 182분류군이 두 가지 이상의 활용성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ntory the vascular plant flora in Oenarodo Island, Jeollanam-do, South Korea in 2011.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from the survey sites consisted of 574 taxa in total; 7 forms, 62 varieties, 2 subspecies, 503 species, 342 genera and 117 families. Among them, 8 taxa of Korean rare plants were found distributed in the sites, including Peucedanum hakuunense Nakai,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and Bupleurum falcatum L. 6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Hepatica insularis Nakai and Carex okamotoi Ohwi were collected. In addition 101 notable taxa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collected as well. 46 taxa of naturalized plants, such as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and Veronica hederaefolia L. were recognized widely distributed in the sites.

키워드

서 언

나로도는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에 위치하며 내나로도와 외나로도로 구분된다. 그 중 외나로도는 고흥반도에서 남쪽으로 6 ㎞ 정도 떨어져 있다. 주변 도서로는 애도, 사양도 등이 있으며, 섬 전체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수리적 위치는 북위 34° 30′, 동경 127° 30′에 위치하고, 면적 26.46 ㎢, 해안선길이 45 ㎞이다. 식물구계학적으로 남해안아구에 해당되며(Lee and Yim, 2002), 이 지역의 토양형은 적황색토이다(Kim and Kil, 2000). 북쪽으로 2 km정도 되는 수로를 사이에 두고 내나로도와 인접하며, 중앙에는 봉래산(410 m), 남동쪽에 장포산 (360 m)과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마치산(380 m)이 위치한다. 만안에는 간석지가 넓게 분포하고 남동쪽은 해식애가 발달한 암석해안이다.

연평균 기온이 13-14℃ 내외이며 평균 최고기온이 18-19℃이고, 평균최저기온은 8.8℃이나 2009년에는 –4℃ 가 나타났으며, 강수량은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점점 높아지는 것을 볼 수있다(Fig. 1; Goheung country office, 2013).

Fig. 1.Climatic characteristics of 5 years in Goheung.

선행연구로 Kim and Oh (1997), Park (2007)이 나로도의 식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Kim and Park (2004)은 나로도 (내나로도, 외나로도)의 식물분포에 관해 872분류군을 보고하였으며, Kim and Oh (2010)는 외나로도의 귀화식물 분포를 연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나로우주센터의 입지로 인한 계속적인 개발과 관광객의 번번한 유입의 원인으로 식물다양성의 변화가 우려되어 외나로도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증거표본 확보를 통한 명확한 식물분포 목록작성 및 희귀식물, 특산식물 등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외나로도 현장조사는 2011년 3월부터 동년 9월까지 수행되었으며(Fig. 2, Table 1), 수집된 표본에 대하여 건조표본을 만들어 그에 따른 목록을 작성하였다. 정확한 분포를 작성하기 위하여 GPS 정보를 확보하였으며, 제작된 표본은 국립수목원 생물표본관(KH)에 보관하였다. 또한, 국립수목원에 기확보된 표본을 정리하여 목록에 추가하였다.

Fig. 2.Map of investigated area in this study.

Table 1.Investigation dates and routes

분류군의 동정은 Lee (1980, 2003a, 2003b), Lee (1996a, 1996b) 등의 도감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주요 특기할만한 식물로 특정식물은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특산식물은 Oh et al. (2005a), 희귀식물은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귀화식물은 Park (1995, 2001, 2009), Lee et al. (2011)을 참고하였다. 학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n National Arboretum, 2014)을 따랐다.

 

결과 및 고찰

관속식물상

2011년 현지조사와 국립수목원에 기확보된 표본을 근거로 확인된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은 총 117과 342속 503종 2아종 62변종 7품종 57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조성으로는 양치식물이 15과 35분류군, 나자식물이 3과 6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이 84과 385분류군, 단자엽식물이 15과 148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2).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Oenarodo Island of Jeollanam-do, Korea

외나로도 지역은 전반적으로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vii Hance),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사스레피나무(Eurya japonica Thunb.)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지역은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L.f.) D.Don]와 편백[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이 조림되어 울창한 산림을 이루고 있다. 난대수종인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천선과나무(Ficus erecta Thunb.), 모람(Ficus oxyphylla Miq. ex Zoll.),송악[Hedera rhombea (Miq.) Bean], 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 Zucc.) Nakai] 등의 분포가 많이 보여 지며, 동북쪽 해안가에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 등이 상록수림을 이루고 있다. 나로우주센터가 있는 마치산 일대는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철책시공을 시름재를 따라 남쪽 해안까지 토목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공사 장비 이동 및 적재의 원인으로 자연식생이 크게 훼손되어진 곳이 많았다.

특산식물

조사에서 확인된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Hepatica insularis Nakai), 개족도리풀(Asarum maculatum Nakai), 해변싸리 (Lespedeza maritima Nakai),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Nakai) L.H.Bailey] 등 6분류군이 나타났으며, 봉래산 일대지역에서 흔히 보여 진다(Fig. 3; Table 3).

Fig. 3.Rare plant by Korea Forest Service: A. Lespedeza maritima Nakai (Endemic Plant), B. 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VU). C. Bupleurum falcatum L. (VU).

Table 3.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rare plants in the Oenarodo Island

희귀식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에서 자료부족종(DD: Data Deficient)인 옥녀꽃대[Chloranthus fortunei (A.Gray) Solms], 애기담배풀(Carpesium rosulatum Miq.), 토현삼(Scrophularia koraiensis Nakai)그리고 식재된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를 제외하고 전체 8분류군의 희귀식물이 확인되었다. 그 중 위기종(EN: Endangered species)은 백운기름나물(Peucedanum hakuunense Nakai), 대흥란(Cymbidium macrorrhizum Lindl.) 2분류군, 취약종(VU: Vulnerable)은 세뿔석위[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시호(Bupleurum falcatum L.) 2분류군, 약 관심종(LC: Least Concerned)은 개족도리풀(Asarum maculatum Nakai),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Fig. 3, Table 4). 백운기름나물은 장포산 등산로 인근에서 확인하였으나 개체수가 거의 없었으며, 대흥란은 남쪽 동백나무림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희귀식물은 등산객의 이동이 많은 봉래산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어 이 주변의 보전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4.The list of V to III degree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중 Ⅴ등급은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 등 3분류군, Ⅲ등급은 남오미자[Kadsura japonica (L.) Dunal],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Siebold ex Nees), 까마귀쪽나무[Litsea japonica (Thunb.) Juss.] 등 21분류군, 그밖에 Ⅱ등급, Ⅰ등급을 포함하여 전체 1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Fig. 4, Table 4).

Fig. 4.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 Kadsura japonica (L.) Dunal (Ⅲ), B. Houttuynia cordata Thunb (Ⅴ), C. Asparagus oligoclonos Maxim (Ⅲ).

귀화식물

조사지역내 확인된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눈개불알풀(Veronica hederaefolia L.), 노랑 코스모스(Cosmos sulphureus Cav.), 털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등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민가주변과 등산로주변으로 분포가 확인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자연식생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보여 진다(Fig. 4, Table 5). 다만 마치산 일대의 임도로 인한 산림훼손지역에 미국자리공, 미국실새삼, 눈개불알풀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향후 다른 귀화식물도 확산 할 수 있는 교란지역으로 판단된다(Fig. 5, Table 5). Kim and Oh (2010)에 의한 주변 도서(인근 도서)와 다도해지역의 귀화식물 조사 결과 진도군 하조도에서 68분류군, 흑산도에서 52분류군, 금오도에서 5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신안군 우이도에서 34분류군, 홍도에서 42분류군, 고흥군 외나로도에서 8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조사지역 중 상대적으로 귀화식물이 적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외나로도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35분류군이 공통종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새로 나타난 종들은 가는잎한련초(Eclipta alba var. erecta L.),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눈개불알풀(Veronica hederaefolia L.) 등이 있었으며, 눈개불알풀은 삼나무 조림지역에 나타나고 있어 조림에 의한 유입이라 판단할 수 있겠다. 그리고 개양귀비(Papaver rhoeas L.)는 최근 식재 이후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예전과 비교하여 확인하지 못한 종들은 정착하지 못하고 사라진 종들이 대부분으로 판단되며, 일부 시기 및 조사지역의 누락으로 목록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여진다.

Table 5.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Fig. 5.Naturalized plants: A. Phytolacca americana L. B. Cuscuta pentagona Engelm. C. Veronica hederaefolia L.

1) 이입시기에 따른 구분

Lee et al. (2011)에 근거한 이입시기별로 1기 22분류군 (47.8%), 2기 8분류군(17.3%), 3기 16분류군(34.7%)로 나타났다(Table 6).

Table 6.Introduced periods of naturalized plant in Oenarodo Island (Goheung, Jeollanam-do)

2) 귀화식물의 원산지별 구분

귀화식물을 원산지별로 보면(Lee et al., 2011) 아메리카(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포함)원산이 22분류군으로 47.8%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귀화율을 보였으며, 유럽원산이 13분류군 (28.2%), 아시아원산이 5분류군(10.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7).

Table 7.zAm: America (except tropical regions), ytA: tropical America, xAs: Asia, wtAs: tropical Asia, vEu-As: Europe-Asia, uEu: Europe, tEu-Af: Europe-Africa, sAf: Africa, rAus: Australia, qetc.; other regions.

3) 분포 특성에 따른 구분

Kariyama and Kobatake (1988)가 사용한 귀화식물의 귀화도를 조사한 결과, 희귀하게 분포하는 귀화도 1에 해당하는 종류는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 개양귀비 등으로 3분류군(6.5%)이다. 국지적으로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지 않은 귀화도 2는 털비름(Amaranthus retroflexus L.), 노랑코스모스(Cosmos sulphureus Cav.), 주홍서나물[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등으로 5분류군(10.8%)이다. 널리 분포하나 개체수가 많지 않은 귀화도 3은 붉은토끼풀 (Trifolium pratense L.), 미국외풀[Lindernia dubia (L.) Pennell] 등으로 11분류군(23.9%)이고, 국지적으로 분포하나 개체수가 많은 귀화도 4는 6분류군(13.0%)으로 전동싸리(Melilotus suaveolens Ledeb.)와 땅꽈리(Physalis angulata L.)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귀화도 5는 아까시 나무(Robinia pseudoacacia L.), 큰개불알풀(Veronica persica Poir.) 등 21분류군(45.6%)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도 4-5등급의 귀화식물들은 향후에도 계속적인 출현이 예상되며, 귀화도 1-3등급의 귀화식물들은 지속적인 출현보다는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변화가 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용도별 현황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을 Lee (1976)와 Kang (2012)의 자료를 기초한 용도별로 분석한 결과, 575분류군 중 용도를 모르는 62 분류군(10.7%)을 제외하면 513분류군(89.2%)이 자원식물로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해보면 식용식물(E) 249분류군(43.3%), 섬유용식물(F) 8분류군 (1.3%), 약용식물(M) 250분류군(43.4%), 관상용식물(O) 61분류군(10.6%), 목초용식물(P) 205분류군(35.6%), 공업용식물 (R) 3분류군(0.5%), 염료용식물 (S) 13분류군(2.2%), 목재용식물(T) 19분류군(3.3%)이었다(Table 8, Appendix).

Table 8.Usage types of vascular plants in Oenarodo Island of Jeollanam-do, Korea

특이한 식물

1)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Nakai)

한국특산식물인 백운기름나물의 국내 분포기록은 통영시의 미륵도와 사량도에서 조사가 되었는데(Oh et al., 2004; Oh et al., 2005b; Oh, 2010a; Oh, 2011) 대부분 남해안지역을 중심으로 한 분포 경향을 보이고 있다(Fig. 6). 외나로도에서는 봉래산과 장포산의 중간 능선부에서 확인하였으며, 2개체만이 확인 할 수 있었다. 등산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등산객의 답압으로 인한 문제가 예상되며, 추가 분포지 확보를 위한 인근지역의 정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개체 수 및 분포지가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만큼 위기종(EN)으로도 지정되어 있어(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계속적인 분포정보 확보가 중요하다.

Fig. 6.The distribution of Peucedanum hakuunense Nakai in South.

2) 대흥란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동백나무 수림안에서 확인하였지만 개체수가 많지 않아 자생지의 보전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는 제주도와 남해안의 도서지역에 주로 자생하며 동해안 지역과 전라북도 및 경상북도의 내륙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Fig. 7; Oh et al.. 2004; Oh et al., 2005b; Oh, 2010b; Oh, 2011). 자생지가 전국적으로 많지 않으며 개체수의 변동이 매우 심할 뿐만 아니라 많은 서식지가 개발 위협에 처해 있어 보전대책이 필요하다.

Fig. 7.A. The distribution of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B. Habit C-D. Flowers.

3) 낙지다리 (Penthorumchinense Pursh)

국내에는 강원, 경기, 경상도, 제주에서 발견되는(Fig. 8; Oh et al.. 2004; Oh et al., 2005b; Oh et al., 2006; Oh et al., 2007; Oh et al., 2008; Oh et al., 2009; Oh, 2010a; Oh, 2010b; Oh, 2011) 낙지다리는 습지식물로 외나로도에서는 묵은 농경지에서 군락을 이루어 자라고 있다. 생육지는 농경지로 이용했던 장소로 향후에 개간이나 개발로 인해 자생지 파괴가 우려된다. 이곳 묵은 농경지의 천이과정에 나타나는 식물들은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Roxb.) Solms], 기장대풀[Isachne globosa (Thunb.) Kuntze], 미나리[Oenanthe javanica (Blume) DC.], 애기부들(Typha angustifolia L.) 등이 자라고 있었으며, 그 중 낙지다리가 분포 우점종들 중에 하나로 나타났다. 대략 100여 개체 정도가 군집 또는 산발적인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나, 향후 주변식물의 피압에 의한 분포 범위의 쇠퇴가 예상된다.

Fig. 8.A. The distribution of Penthorum chinense Pursh. B. Habit C. Leaf D. Fruit.

4) 석산 Lycoris radiata (L’Hèr.) Herb.

대부분 사찰 및 정원에 많이 심는 식물로, 일부 남부의 습한야지에 자란다(Fig. 9; Oh et al., 2004; Oh et al., 2005b; Oh et al., 2006; Oh et al., 2008; Oh, 2010a; Oh, 2010b; Oh, 20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외나로도 지역은 봉래산 능선부근에서 사면을 따라 대단위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다. 개체수는 50여 개체이상이 조밀하게 모여 있으며, 인위적인 채취외에는 훼손의 위험은 낮아 보인다. 외나로도의 다른 지역에서는 분포가 확인되지 않으며 현재 분포지역이 산지 능선부인 만큼 자연 분포지인지 인위적인 영향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Fig. 9.A. The distribution of Lycoris radiata (L'Hér.) Herb. B. Flower.

참고문헌

  1. Goheung Country Office. 2013. Goheung statistical yearbook, Design ryu, Goheung-gun, Korea. p. 439 (in Korean).
  2. Kang B.H. 2012. Bulletin of Korean Plant Conservation Society. p. 746 (in Korean).
  3.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in Japanese).
  4.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in Korean).
  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in Korean).
  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http://www.nature.go.kr/newkfsweb/kfs/idx/SubIndex.do?orgId=kbi&mn=KFS_28
  7.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14. http://www.nature.go.kr/newkfsweb/kfs/idx/SubIndex.do?orgId=kpni&mn=KFS_29.
  8. Kim Y.S and K.K. Oh. 1997.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 (III). Kor. J. Env. Eco. 11(1): 61-83 (in Korean).
  9. Kim J.G and M.S. Park. 2004. Ecological Survey of the Natural Environment Goheung : Plants. Institute of Basic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Goheung-gun. p. 189 (in Korean).
  10. Kim H.S and J.G. Oh. 201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J. Korean Plant Res. 23(2):187-196 (in Korean).
  11. Kim J.E and B.S. Kil. 2000. Quercus mongolica Forest in Korea: environment, vegetation and life. Wonkwang University Press, Iksan, Korea. p. 512 (in Korean).
  12. Lee T.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oretum 1:1-137 (in Korean).
  13.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4.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umes.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4 (in Korean).
  15.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umes.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 910 (in Korean).
  16. Lee W.C. 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p. 1688 (in Korean).
  17. Lee W.C.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8.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19.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 155 (in Korean).
  21. Oh B.U., D.G. Jo., B.Y. Sun., B.H. Choi., J.H Park., H.T. Im., C.S. Chang., W.K. Paik., G.Y. Chung., K.R. Park and J.H. Kim. 2004.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the South Coast of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 692 (in Korean).
  22.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a.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05 (in Korean).
  23. Oh B.U., D.G. Jo., J.H. Park., H.T. Im., C.S. Chang., W.K. Paik., G.Y. Chung., J.H. Kim., C.Y. Yoon., Y.D. Kim., K.O. Yoo and C.G. Jang. 2005b.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II. South Province (Jeolla-do & Jirisan). Korea National Arboretum. p. 633 (in Korean).
  24.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J.H. Kim., C.Y. Yoon., Y.D. Kim., K.O Yoo and C.G. Jang. 2006.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III. Central & South Province (Chungcheong-do). Korea National Arboretum. p. 821 (in Korean).
  25. Oh B.U.,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and C.G. Jang. 2007.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IV. Central & South Province (Gyeongsangbuk-do). Korea National Arboretum. p. 771 (in Korean).
  26. Oh B.U., K.S. Kim., S.C. Ko., B.H. Choi.,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C.G. Jang., S.H. Kang and C.H. Lee. 2008.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 Central Province (Gyeonggi-do). Korea Forest Service. p. 761 (in Korean).
  27.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 (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Arboretum. p. 793 (in Korean).
  28. Oh B.U. 2010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I. South Province (Gyeongsangnam-do) and Ulleung-do Province.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Arboretum. p. 776 (in Korean).
  29. Oh B.U. 2010b.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II. Jeju-do Province.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Arboretum. p. 680 (in Korean).
  30. Oh B.U. 2011.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IX. Western & southern coastal area.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Arboretum. p. 813 (in Korean).
  31. Park M.S. 2007. Vegetation of Narodo Isle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1(2): 25-34 (in Korean).
  32.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372 (in Korean).
  33.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Seoul, Korea. p. 178 (in Korean).
  3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559 (in Korean).

피인용 문헌

  1. 전라남도 도서지역 귀화식물의 도서생물지리학적 특성 vol.26, pp.4,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7.26.4.272
  2. 외나로도의 관속식물상 vol.49, pp.2, 2014, https://doi.org/10.11110/kjpt.2019.49.2.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