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지털대학 중년기 재학생의 노화불안과 우울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 of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Focused on Middle Aged People of Digital University

  • 전혜성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
  • 이희연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Jeon, Hye Seong (Dept. of Graduate School of Legal Stud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
  • Lee, Hee Youn (Dept. of Social Work, Seoul Cyber University)
  • 투고 : 2014.06.18
  • 심사 : 2014.09.20
  • 발행 : 2014.09.28

초록

도래하는 고령화사회를 앞두고 현 시대의 중년기 성인들은 불확실한 노후에 대한 노화불안과 우울을 경험한다.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디지털대학교육은 중년기성인의 제 2의 경력개발과정으로 부상하고 있고, 상당수의 중년기 성인은 디지털교육을 통해 노후를 대비하면서 개인적 차원의 노후불안과 우울을 경감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대학에 재학 중인 중년기 성인들의 노화불안 및 우울의 수준을 평가하고 노화불안에 따른 정신건강의 주요지표인 우울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대학에서 진로개발 중인 중년기의 재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노화불안을 독립변인으로 우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316부의 설문이 수거되었으나 최종적으로 302부의 설문이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디지털대학에 재학 중인 중년기 재학생의 전반적 노화불안 및 우울 수준은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 중년기 성인들의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결과인 것이다. 한편, 중년기의 노화불안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중년기 성인들은 노화에 대한 지나친 불안보다는 바람직한 노화관과 적정수준의 현실감을 갖는 것이 우울감을 낮추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고, 더불어 디지털교육을 통한 경력개발이 중년기 성인의 정신건강에 기여함을 조명하였다.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aging anxiety of the middle-aged on depression in aging society.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3 to December, 2013 and 302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 mean scores of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were lower than average. Second, aging anxiety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explain depression. Third, income also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s which have the effectiveness to the depression.

키워드

참고문헌

  1. S. O. Choi, S. N. Kim, K. I. Shin, J.H. Lee, Anxiety about Aging of a Resident Community of Adul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8, No. 1, pp.19-32, 2008.
  2. K. P. Lasher, P. J. Faulkender, Measurem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of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Human Development, Vol. 37, No. 4, pp.247-259, 1993.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3. S. J. Lee,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ie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Issue & Focus, Vol. 2, No.1, pp.1-8, 2011.
  4. C. W. Lee, The Life Instability of the Elderly in Korea, Koeran Research, Vol. 18, No.1, 2003.
  5. S. A. Park, K .J. Song,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psychologica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1, No. 2, pp.1-29, 2005.
  6. S. Y. Shin,, Effect of Middle-Aged aging anxiety factors o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Press. 2013.
  7. H. Y. Lee, H. S. Jeon,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Mindfuln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1, No.7. pp.275-284. 2011.
  8. K. P. Lasher, P. J. Faulkender, Measurement of aging anxiety:Developmentofthe anxiety about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 37, No. 4, pp.247-259, 1993.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9. Y. J. Lee,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the Old Age and the Aging Anxiety of Middle-aged Couples, Hanseo University Press, 2010.
  10. M. S. Lee, M. K. Rhee, A Development of Korea Depression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Vol. 42, No. 4. pp.96-104, 2003.
  11. S. J. Lee,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ie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Issue & Focus, Vol. 2, No. pp.1-8. 2011.
  12. H. J. Han, S. H. Joung, Single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