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 of English I in the High School

고등학교 영어 I 교과서 삽화 분석

  • Received : 2014.05.20
  • Accepted : 2014.07.07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study delineates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illustrations in high school English I textbook.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issues related to producing better English textbooks. The methods includ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rveys of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about them. This study classified common features in the illustrations to devise four analysis criteria: cultural aspects, expression styles, expression techniques, and linguistic functions of the illustrations. The questionnaire was mad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questions in the survey of teachers were about the relevance to the contents, the layout and formation, learners' interest, cognitive aspects, easi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connectivity with language functions. In the survey of students, familiarity, interest level, learnability, favored expression technique and expression material were considered. The result of the surveys showed that the teachability and learnability are key factors in developing illustrations for English textbooks, and they should look familiar to the students.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3년부터 적용된 고등학교 영어I 교과서에 실린 삽화의 문화권 표현의 특징, 내용과의 관련성 및 외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함으로 삽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보다 더 좋은 교과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삽화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분류하여 4가지의 분석 기준을 고안하였고, 그 내용은 삽화에 나타난 문화권 표현, 삽화의 표현유형, 삽화의 표현기법, 삽화의 언어의 기능별 제시로 구분하였다. 설문 내용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삽화와 교과내용과의 관련성, 삽화의 배치와 구성, 학습자의 학습 흥미도와 인지적 측면, 교수 및 학습 용이성, 언어의 기능과의 연계성으로 제작하였고, 학생들을 대상으로는 삽화에의 친숙성, 흥미도, 학습 용이성, 선호하는 표현기법과 표현재료로 제작하였다.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교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수 및 학습 용이성을 높이고, 학생들이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삽화개발이 요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011.
  2. 민일홍, "중등학교 교과서에 삽화 콘텐츠 활용 연구 :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18호, pp.57-72, 2010.
  3.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593
  4. 신정현, 장윤옥, 신희섭, 박일형, 김수연, 윤병우, 이신애, 서윤석, 전훈숙, 이혜은, 박지혜, 전두섭, 마선미, High School English. YBM, 2013.
  5. 이숙종,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교육과학사, 2006.
  6. 홍정아,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와 국사교과서의 미술작품 삽화 제시 방법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7. L. H. Clark and I. S. Starr, Secondary and middle school teaching methods, Pearson, 1995.
  8. J. F. Callahan, L. H. Clark, and R. D. Kellough, Teaching in the midddle and secondary schools, Prentice Hal, 2001l.
  9. 노태희, 차정호, 왕혜남, "7차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제23권, 제1호, pp.85-91, 2004.
  10. 방희건, 박재근, "초등 과학교과서 생명 영역에 제시된 삽화의 관계 구조", 과학교육논총, 제25권, 제1호, pp.91-99, 2012.
  11. 백남권, "한.일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의 삽화 비교연구", 한국일본교육학연구, 제16권, 제2호, pp.43-60, 2012.
  12. 이기영, "6차와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사진과 삽화의 기능 및 구조 비교 분석",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제28권, 제7호, pp.811-824, 2007. https://doi.org/10.5467/JKESS.2007.28.7.811
  13. 김형곤, "역사교과서와 한국전쟁 사진의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176-18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6.176
  14. 강영미,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 삽화 분석,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5. 윤근화, 중학교 영어 교과서 삽화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이미영, "아동영문어휘책에 제시된 그림과 문자의 사용에 대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150-15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150
  17. 민찬규, 이재근, 허옥형,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대한 설문 조사", 영어교과교육, 제2권, 제1호, pp129-149, 2003.
  18. 교육인적자원부, 영어과 도서 검정기준, 교육인적자원부,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