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s

군 생활스트레스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원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지향숙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5.15
  • Accepted : 2014.07.28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military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The datas were collected from 321 soldier of military from questionaries in October, 201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oldier level and academic career had no impact on the military adjustment. Military stresses of soldier had greater impact on the military adjustment than other factors. Ego-resilience also had positive impact on the military adjustmen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go-resilience of soldier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stress and military adjustment. This study verified that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military adjustment of soldier it is as important to attention soldier's inside thing, ego-resilience as environment things. Finally, the authors remarked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가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남지방에 소재하는 육군 ${\bigcirc}{\bigcirc}$사단 병사 3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인 계급과 학력은 병사의 군 적응에 유의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군 생활스트레스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매우 우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아탄력성 또한 병사의 군 적응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사의 자아탄력성은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적응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병사의 군 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군과 관련한 환경적 요인 못지 않게 병사의 개인 내적요인에 대한 관심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 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남웅, 부하가 지각하는 직속상관의 유머감각 및 유머스타일과 부하의 군대생활 적응과의 관계,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 정원철, 박영주, "병사의 군 부적응 및 적응력 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한국청소년학회, 제18권, 제1호, pp.49-71, 2011.
  3. 이계수, "군대 내 구타 가혹 행위로 인한 사고 및 그로 인한 사고를 막는 제도적방안", 민주법학l, 제23권, pp.285-317, 2003.
  4. 손지원, 군 입대후 환경과 군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 권영웅, 병사들의 군복무기간과 자아개념 및 군생활 적응 간의 관계, 강릉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육군 00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제24권, pp.64-93, 2006.
  7. 서혜석, 김정은, "육, 해군병사의 진로발달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제16권, 제6호, pp.25-43, 2009.
  8. 김경애, 일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 관련요인 연구-건강형태와 스트레스 중심으로, 충남대학교보건.바이오산업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박희현,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중재효과", 동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인간발달연구, 제19권, 제3호, pp.129-146, 2012.
  10. 엄덕희,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이주희, 성격 특성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2. 이주원, 나동석, "군복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군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제20권, 제6호, pp.29-48, 2013.
  13. 현명선, 정향인, 강희선,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05-312, 2009.
  14. 진석범,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5. 박현철,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6. 이현주, 갈등대처 프로그램이 중학생 또래관계 갈등대처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17. 성순옥, 박미단, 김영희, "청소년의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20권, 제8호, pp.49-70, 2013.
  18. 강명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제20권, 제6호, pp.265-293, 2013.
  19. 박정희, 유순화, "지각된 부부갈등이 초등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제8권, 제1호, pp.379-394, 2007.
  20. 박영주, 정원철, "병사의 군 부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권, 제22호, pp.73-93, 2006.
  21. 이신영, 정현희, "부모의 부부갈등과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제17권, 제6호, pp.147-170, 2010.
  22. 정영제, 윤운성, "가정,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에 따른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 대인관계능력, 자아탄력성의 영향 구조 분석", 한국상담학회, 제14권, 제2호, pp.1487-1501, 2013.
  23. 이혜영, 병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수준에 따른 군 생활 적응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4. 정승기,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영스트레스와 군 범죄 성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5. 구승신, 신세대병사의 군 생활 적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6. 김성식, 군 병사들의 불안 및 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7. 조순영, 병사들의 건강증진 해위, 정신건강, 군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8. 오명자, 박희현, 이주희, 권재환,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중재효과", 제14권, 제2호, pp.1051-1065, 2013.
  29. 엄덕희,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육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사회복지 실천, 제11권, pp.31-61, 2012.
  30. 현진희, 김희국, "병사들의 군 적응을 위한 분노 조절프로그램의 효과성",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7권, pp.5-27, 2007.
  31. 이윤주, "중학생의 자살위험요인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제9권, 제2호, pp.659-673, 2008.
  32. S. S. Luthar and E. Zigler, "Vulnerability and competence: A review of research on resilience in childhood,"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61, pp.6-22, 1991. https://doi.org/10.1037/h0079218
  33. J. H. Block and J. block, "The role l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Mi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13, pp.39-101, 1980.
  34. E. E. Werner and R. S. Smith, Journeys from childhood to midlife: Risk, resilience and recover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