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ognition Pattern of a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iew on Social Welfare Position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 오윤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현태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성대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5.12
  • Accepted : 2014.07.01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research is involved in looking into the cognition pattern of social worker position of a fourth-year student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a basic data needed for education of the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get a job of a social worker. For this, applying Q methodology, this research made an objective analysis of their subjective response to social worker position targeting the 30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t the four-year-course college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ognition pattern of the college students' occupational view on social welfare posi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the three; The first pattern is a "job-skeptic & reality-evasive" type, who tends to perceive the position of a social worker as the one having a lot of job exhaustion and much workload, showing a pessimistic view on the meaning or a sense of mission of a social worker position. The second pattern is a "practice-centered & specialized-job-seeking type" who tends to think much of practical aspects of a social worker job and to seek after the position of a social worker as a specialized job, and at the same time to rely on the policy or system for a social worker position. The third pattern is a "value-oriented & self-achievement type", who tends to think much of the necessity of value or ethics in putting social welfare into practice and also to make much of self-achievement through the channel of a social welfare worker position. Taken together, it might be possibile to turn out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but this research thinks it is more necessary to place the education of values of a social welfare worker.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4학년생이 인식하는 사회복지사직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직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교육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Q방법을 적용하여,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직업관 인식유형은 세 가지로 유형화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직무비관적 현실회피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을 직무소진이 많고 업무량이 높다고 인식하며, 사회복지사직의 의미나 소명에 대해 비관적이다. 제 2유형은 '실천중심적 전문직추구형'으로 사회복지사직의 실천적인 측면을 중요시 여기며 전문직으로서의 사회복지사직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한 정책이나 제도에 의존하는 입장이다. 제 3 유형은 '가치지향적 자아실현형'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가치나 윤리의 필요성을 중시하며, 사회복지사직을 통한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사회복지학과 4학년 학생들의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하며, 자아실현이나 전문직으로서의 자부심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사회복지사직의 가치에 대한 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충기, "대학에서의 진로지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논문집, 제19권, pp.73-103, 1995.
  2. 권혜자, "최근 청년층 고용동향과 그 시사점",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제12권, 2008.
  3. 한국고용정보원, "제 6회 산업-직업별 고용구조 조사 및 청년패널 심포지움", p.613, 2008.
  4. 이용교, 이흥수, 이성종, 최옥채, 권지훈, 김형식, 임형택, 정찬용, 박명윤, (행복을 열어가는) 사회복지대학생의 길, 경기: 학현사, p.238, 2008.
  5. 이상철, "정보화 시대의 직업의식의 변화와 새로운 직업윤리의 특징", 국민윤리연구, 제54권, 제1호, pp.209-238, 2003.
  6. 김경선, "노인케어에 대한 대학생의 직업가치관 유형분석", 노인복지연구, 제32권, 제2호, pp.357-376, 2006.
  7. 서울특별시 뉴스, "고졸 취업 선택 시 1 순위는 수입, 대졸은 안정성", http://www.seoul.go.kr에서 인용, 2010.
  8. 강철희, "사회복지학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4호, pp.147-175, 2005.
  9. 김융일, 사회복지 수퍼비전론, 파주: 양서원, 2004.
  10. 김종두, "교육기관 수준별 가치관 변화과정", 교육학연구, 제37권, 제1호, pp.173-196, 2004.
  11. 이명신,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 모델",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4호, pp.5-34, 2004.
  12. 강흥구,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2호, pp.355-358, 2006.
  13. 황선영, 박경숙,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제30권, 제1호, pp.339-369, 2007.
  14. 최수찬, 김상아, 전지영, 박웅섭, "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직업관련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제1호, pp.5-31, 2008.
  15. 이원재, 대학생의 사회복지 전문직에 대한 직업의식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7.
  16. 김효선, 현장실습경험이 사회복지 전문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4.
  17. 김동규, 직업사회학, 서울: 건기원, 2004.
  18. 김병숙, 인간과 직업,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19. 강맹헌,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선택 및 직업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4.
  20. 양한주, "중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적업 선호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41-54, 1998.
  21. 임언, 이지연, 윤형한,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프로그램 개발 2,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22. 곽유석,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 및 진로만족에 관한 조사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23. 이무근, 공업계고등학교 2.1 체제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원, 1996.
  24. 고익환, 취업과 진로. 경산: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25. I. Gianakos,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4, pp.244-258, 1999. https://doi.org/10.1006/jvbe.1998.1668
  26. D. L. Blustein, "The role of goal instability and carrier self-efficacy in the carrier exploration pro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3, pp.203-216, 1989.
  27. 김영호, 오정옥, 한성심, 사회복지 취업실무의 이해, 고양: 양서원, 2001.
  28. W. B. Sheafor and R. C. Horejsi, 사회복지실천 기법과 지침, 남기철, 변귀연, 양숙미, 정선욱, 조성희,최승희(공역), 파주: 나남 (1997년 원저 발간), 2005.
  29. 김태성, "한국 사회복지교육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사회복지학, 사회복지 전문직, 그리고 사회복지 교육제도", 사회복지연구, 제9권, pp.3-36, 1997.
  30. 전병재, 안계춘, 박종연,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서울: 사회비평사, 1995.
  31. K. James and K. Wandrei, Person in Environment: A System for Describing, Classifying, and Coding Problems of Social Functioning. Silver Spring, Md.: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988.
  32. 한상근, 임언, 이지연, 이경상, 정윤경, 한국인의 직업의식 조사(II), 서울: 한국직업개발능력원, 2002.
  33. 장홍근,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기초분석연구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34. 박동열, 김대영, 대학생의 직업의식에 대한 실태, 직업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1-32, 2006.
  35. 김정숙, 여자 대학생의 직업인식과 직업선택 과정,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6.
  36. 곽진현, 초등학생 직업인식 교육프로그램 효과 분석,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2.
  37. 김태순,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충청지역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38. 김윤숙, 김분한, "간호대학 4학년의 직업 가치관", 주관성 연구, 제9호, pp.159-17, 2004.
  39. 두현정, 김윤숙, "남자 간호 대학생의 직업 가치관에 대한 주관적 구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67-175, 2008. https://doi.org/10.5977/JKASNE.2008.14.2.167
  40. 김순은, Q 방법론과 사회과학, 부산: 금정, 2007.
  41. 송진옥, 전문직 사회사업가의 직업윤리와 가치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0.
  42. 이용재, 원훈희, 강문희, "사회복지사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189-19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189
  43. 정진희, 원미순, 이수진,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 및 진로 준비행동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28-237,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