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op Hat, the Gat,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 갓의 인식에 관한 연구

  • Kim, Soon-Young (Dept. of Textiles, Merchandising and Fashion Design,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4.07.02
  • Accepted : 2014.09.02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gat, the Korean top hat for men, to understand the diverse meanings behind the hat. During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as plunged into confusion and turmoil as it was nearing its end. It was a period of drastic changes in regards to philosophy and ideology. To that end, the hats of society mirrored such changing tim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Joseon's internal subject entities and external observer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takes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process in which traditional Korean hats, which were once a symbol of the Joseon civilization, became reduced to an outdated object, as well as observing the awareness and attitudes of the entities involved in such a pivotal process.

Keywords

References

  1. 최익현 (1977), 면암집 1,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40.
  2. 국사편찬위원회 (2000), 한국사 40,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p. 281-306.
  3. 이경미 (2012), 제복의 탄생: 대한제국 서구식 문관대례복의 성립과 변천, 서울: 민속원, pp. 142-150.
  4. 국사편찬위원회 (1999), 한국사 42,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p. 165-220.
  5. Lowell, P. (2000),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서울: 경인문화사, p. 335.
  6. Carles, W. R. (1894), Life in Corea, New York and London: Macmillan and Co., p. 34.
  7. 이은희 (1986), 조선조 흑립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장경희 (2001), 갓일, 서울: 화산문화.
  9. 박형박 (2006), 조선시대 입(흑립)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이든 (2007),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이든 (2007),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최재영 (2011), 서양인이 본 조선말기 남성 모자: 강화도조약 체결에서 일제강점기 이전까지(1876-1910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서양인이 쓴 민속 문헌 해제,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14. 성대중 (2006), 국역 청성잡기, 김종태 외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76.
  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한국사 34,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 13.
  16. 승정원일기 영조 51년(1775) 1월 9일
  17. 비변사등록 현종 11년(1670) 12월 29일 禁制條件
  18. 숙종실록 숙종 14년(1688) 4월 4일 三司禁制節目別單
  19. 송준길 (2003), 동춘당집 4,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91.
  20. 고종실록 고종 32 년(1895) 10월 21일
  21. 김구 (2008), 백범일지, 배경식 역, 서울: 너머북스, p. 52.
  22. 경국대전 예전 의장조
  23. 대전통편, 대전회통 예전 의장조
  24. 대전후속록 예전 금제조
  25. 정조실록 정조 15년(1791) 4월 18일
  26. 청장관전서 士小節1 服食
  27. 황현 (2005), 매천야록 1, 임형택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pp. 243-244.
  28.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3-24.
  29.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3.
  30. 최문형 (2010),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소고: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64, p. 110.
  31. 최문형 (2010), 조선 예학사상의 근대적 해석에 관한 소고: 호르크하이머의 사회철학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64, p. 114.
  32. 이익 (1982), 성호사설 3,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30
  33. 황현(2010), 매천집 1, 임정기 역,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pp. 76-77.
  34.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
  35.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
  36. Sontag, M. S. & Schlater, J. D. (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1), pp. 1-8. https://doi.org/10.1177/0887302X8200100101
  37. 이덕무 (1997), 청장관전서 2,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솔, p. 203.
  38. 이덕무 (1981), 생활의 예절: 士小節, 이동희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31.
  39. 김재엽 (2006), 100년 전 한국사: 개항에서 한일합방까지, 파주: 살림, pp. 85-93.
  40. 이경미 (2012), 제복의 탄생: 대한제국 서구식 문관대례복의 성립과 변천, 서울: 민속원, pp. 127-130.
  41.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 윤5월 24일
  42.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 윤5월 25일, 6월 3일 私服變通節目
  43. 최남선 (1973), 조선상식문답: 조선상식,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위원회 역, 서울: 현암사, p. 219.
  44. 이경미 (2012), 제복의 탄생: 대한제국 서구식 문관대례복의 성립과 변천, 서울: 민속원, pp. 131-135
  45.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 10월 21일
  46. 황현 (1994), 매천야록, 김준 역, 서울: 교문사, p. 164.
  47. 고종실록 고종 22년(1895) 8월 10일 朝臣以下服章式
  48. 황현 (2005), 매천야록 1, 임형택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p. 435.
  49. 고종실록 고종 21년(1884) 6월 3일
  50. 김재엽 (2006), 100년 전 한국사: 개항에서 한일합방까지, 파주: 살림, pp. 188-189.
  51. 김어진 (2003), 문명 표준으로서의 두발 양식: 1895년 조선 단발령의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5-116.
  52. 김어진 (2003), 문명 표준으로서의 두발 양식: 1895년 조선 단발령의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6.
  53. 김어진 (2003), 문명 표준으로서의 두발 양식: 1895년 조선 단발령의 국제정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7
  54. 목수현 (2010), 욕망으로서의 근대: 1910년-1930년대 한국 신문광고의 신체 이미지, 아시아문화, 26, p. 8.
  55. 이경미 (2008), 대한제국의 서구식 대례복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38.
  56. 개벽 1921년 6월 1일, 7월 1일 '여쭐 말씀 있습니다.'
  57. Wagner, E. (2001), Korea: the old and the new, 서울: 경인문화사, p. 64.
  58. Lowell, P. (2000),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서울: 경인문화사, p. 392.
  59. 김장춘 (2008), 세밀한 일러스트와 희귀 사진으로 본 근대 조선, 파주: 살림, p. 13.
  60. Lockhart, W. (1866), Lockhart's Notes on Pecking and its Neighbourbood,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of London, 36, p. 131.
  61. Carles, W. R. (1886), Recent Journey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and Monthly Record of Geography, New Monthly Series, 8(5), p. 294.
  62. Carles, W. R. (1894), Life in Corea, New York and London: Macmillan and Co., p. 2.
  63. Curzon, G. N. (1894), Problems of the Far East, Japan-Korea-China,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p. 131
  64. Savage-Landor, A. H. (1895),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London: William Heinemann, p. 51.
  65. Lowell, P. (2000),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서울: 경인문화사, p. 336.
  66. Gifford, D. L. (2004), Every-day life in Korea, 서울: 경인문화사, p. 46
  67. Collyer, C. T. (1904), About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23(4), p. 486.
  68. Gifford, D. L. (1995), 조선의 풍속과 선교, 심현녀 역,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역자 서문.
  69. Moose, J. R. (1911), Village life in Korea, Nashville, Tenn. and Dallas. Tex.: Publishing House of the M. E. Chruch, South, Smith and Lamar, Agents, Preface p. 5.
  70. Savage-Landor, A. H. (1895),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London: William Heinemann, p. 63.
  71. Lowell, P. (2000),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서울: 경인문화사, p. 338.
  72. 이은주 (2006), 상징과 의미가 가득한 의례복,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국사편찬위원회 편, 서울: 두산동아, p. 181.
  73. Cavendish, A. E. J. (2001), Korea and the sacred White Mountain, 서울: 경인문화사, p. 143.
  74. Cavendish, A. E. J. (2001), Korea and the sacred White Mountain, 서울: 경인문화사, p. 7.
  75. Gilmore, G. W. (2012), Korea from its capital: with a chapter on missions, SC: Nabu, p. 136, 142.
  76. Gilmore, G. W. (2012), Korea from its capital: with a chapter on missions, SC: Nabu, p. 141.
  77. Moose, J. R. (1911), Village life in Korea, Nashville, Tenn. and Dallas. Tex.: Publishing House of the M. E. Chruch, South, Smith and Lamar, Agents, Preface p. 102.
  78. Curzon, G. N. (1894), Problems of the Far East, Japan-Korea-China,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p. 132.
  79. Gilmore, G. W. (2012), Korea from its capital: with a chapter on missions, SC: Nabu, p. 139.
  80. Bird Bishop, I. (1970), Korea and her neighbors,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p. 26.
  81. Malcolm Keir, R. (1914), Modern Korea, Part II, Bulletin of the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46(11), p. 829.
  82. 박지향 (2001), 고요한 아침의 나라와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 이자벨라 버드 비숍과 조지 커즌의 동아시아 여행기, 안과 밖: 영미문학연구, 10, pp. 306-307.
  83. 박지향 (2001), 고요한 아침의 나라와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 이자벨라 버드 비숍과 조지 커즌의 동아시아 여행기, 안과 밖: 영미문학연구, 10, p. 308.
  84. Griffis, W. E. (1907), Corea, the hermit n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p. 271-272.
  85. Griffis, W. E. (1907), Corea, the hermit nation,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p. 272.
  86. 김동진 (2010), 파란눈의 한국혼 헐버트, 서울: 참좋은친구, p. 155.
  87. 강동진 (1982), 일제 언론계의 한국관, 서울: 일지사
  88. 이규수 (2006), 한국강점 직후 일본 지배계층의 조선인식-잡지 太陽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54, pp. 153-181
  89. 김종식 (2008), 1895-1896 太陽을 통해서 본 일본의 조선인식, 사림, 31, pp. 167-187
  90. 김청균 (2011), 일본어잡지 조선공론(1913-1920)의 에세이와 한국인식, 한림일본학, 18, pp. 101-119
  91. 김종식 (2008), 1895-1896 太陽을 통해서 본 일본의 조선인식, 사림, 31, p. 172. 재인용
  92. 김종식 (2008), 1895-1896 太陽을 통해서 본 일본의 조선인식, 사림, 31, p. 173.
  93. 정일균 (2011), 일제의 식민통치와 식민주의적 근대지식의 형성: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91, pp. 169-170.
  94. 정일균 (2011), 일제의 식민통치와 식민주의적 근대지식의 형성: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91, pp. 172-175.
  95. 김청균 (2011), 일본어잡지 조선공론(1913-1920)의 에세이와 한국인식, 한림일본학, 18, pp. 110-115. 재인용
  96. 김청균 (2011), 일본어잡지 조선공론(1913-1920)의 에세이와 한국인식, 한림일본학, 18, p. 113, p. 115.
  97. Jenings, F. H. (1904), Korean head dresses in the National Museum, Washington: the Smithsonian Institution, p. 151.
  98. Whigham, H. J. (2001), Manchuria and Korea, 서울: 경인문화사, pp. 184-185.
  99.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서양인이 쓴 민속 문헌 해제,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p. 76.
  100. Whigham, H. J. (2009), 영국인 기자의 눈으로 본 근대 만주와 대한제국, 이영옥 역, 파주: 살림 출판사, 역자 서문 p. 9.
  101. Whigham, H. J. (2009), 영국인 기자의 눈으로 본 근대 만주와 대한제국, 이영옥 역, 파주: 살림 출판사, p. 205, p. 216.
  102. Whigham, H. J. (2009), 영국인 기자의 눈으로 본 근대 만주와 대한제국, 이영옥 역, 파주: 살림 출판사, p. 216.
  103. Whigham, H. J. (2009), 영국인 기자의 눈으로 본 근대 만주와 대한제국, 이영옥 역, 파주: 살림 출판사, p. 185.
  104. 박지향 (2000), 제국주의: 신화와 현실,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3-22.
  105. 박지향 (2001), 고요한 아침의 나라와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 이자벨라 버드 비숍과 조지 커즌의 동아시아 여행기, 안과 밖: 영미문학연구, 10, p. 298.
  106. 박지향 (2001), 고요한 아침의 나라와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 이자벨라 버드 비숍과 조지 커즌의 동아시아 여행기, 안과 밖: 영미문학연구, 10, p. 306.
  107. Curzon, G. N. (1894), Problems of the Far East, Japan-Korea-China, London: Longmans, Green, and co., Preface p. 7.
  108. 국사편찬위원회 (1999), 한국사 42,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p. 165-200.
  109. 국사편찬위원회 (1999), 한국사 42,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p. 200-220.
  110. 국사편찬위원회 (1999), 한국사 42,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pp. 183-197.

Cited by

  1. What is the Meaning of Black in Korean Traditional Mourning Dress? vol.14, pp.2, 2014, https://doi.org/10.7233/ijcf.2014.14.2.081
  2. How Did Industrial Products Change a Society? Historical Evidence of Imported Cotton Cloth in Korea, 1882–1910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177/0887302x15610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