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Overexcitability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 비교

  • Received : 2014.06.19
  • Accepted : 2014.08.13
  • Published : 2014.08.30

Abstract

Overexcitability (OE) and social self-concept are the integr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Overexcitability refers to sensitivity as an internal disposition to give a more often, longer and more intensive reaction to a wide variety of stimuli, and social self-concept refers to the way of behaving in society, especially at school in the case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verexcitability and social self-concept of science-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5 gifted elementary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or gifted classes and 91 ordinary elementary students. An overexcitability test and a social self-concept test were conducted to the subjec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the science-gifte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rdinary students in all sub-domain of OE (psychomotor OE, sensual OE, emotional OE, intellectual OE, emotional OE) and social self-concept. Second, the science-gifted students who attended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community gifted class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rdinary students in overexcitability. Based on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science-gifted were discussed.

다양한 형태의 자극에 대해 더 많이 더 오래 그리고 더 강렬하게 반응하는 내적 경향으로서의 민감성을 의미하는 과흥분성과 한 개인이 사회생활, 특히 학교생활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개념인 사회적 자아개념은 과학영재의 매우 중요한 정의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을 비교하여 어떤 특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의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학생 135명과 일반학생 91명을 대상으로 과흥분성 검사와 사회적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흥분성의 5개 하위 영역에서 일반학생보다 초등과학영재의 모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별로는 대학부설영재교육원 및 지역공동영재학급의 초등과학영재의 과흥분성이 단위학교 영재학생 및 일반학생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단위학교영재학급은 일반학생과 차이가 없었다. 셋째, 사회적 자아개념에서는 대학부설영재교육원 과학영재가 단위학교영재학급의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과학영재의 지도에서 영재교사가 유념해야 할 시사점과 영재교사의 연수 등에서 고려해야 할 점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