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shion Image Types and Design Factors for Middle-aged Korean Women

한국 중년 여성의 패션이미지 유형에 따른 디자인 요소와 특성

  • Chung, Su-In (Dept. of Fashion Design, Dong Seoul College) ;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정수인 (동서울대학교 패션디자인과)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3.27
  • Accepted : 2014.07.18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ursuit of current fashion trends and fashion image types of middle-aged women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tandards and properties of these different types of fashion images.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and the concepts of personal image and fashion image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urvey and analysis based on Q methodology was conducted. Factors of personal image, fashion image and components of fashion image were analyzed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in-depth workshops and focus group interview of an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current fashion image of women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six types. 2) The elements of fashion image that Korean women in their 40s and 50s pursue are divide into four types. 3) Each type can be recognized by specific fashion image components and colors. 4) This shows that middle-aged Korean women are highly conscious of how others perceive them and have a desire to not stand out from others. It also shows that they are very active in pursuing fashion and following trends, which is the image of an active and dignified woman. This study provides the framework that enables sorting of the fashion images types that middle-aged Korean women want to pursue.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factors can be used to recognize specific fashion images, and can be used in the planning and designing of fashion items for middle-aged Korean women.

Keywords

References

  1. "WHO Library Cataloguing-in-Publication Data", World Health Organization Online, retrieved 2012, Sep 15, from http://www.who.int/en
  2. 정재형 (2010.7.17), "경제력 있는 은퇴세대... '뉴시니어' 공략하라". 자료검색일 2012. 3. 24,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7169 5931
  3.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논문집, 20(4): pp. 69-79
  4. 신수래 (2008), 가치관,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신세영 (2013), 한국 20-30대 여성의 패션 프레임과 패션이미지 유형화, 복식, 63(4), pp. 118-131. https://doi.org/10.7233/jksc.2013.63.4.118
  6. 김영인, 김희연, 한은주 (2010),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복식, 60(7). pp. 61-73
  7. 이효숙, 박숙현 (2004), 패션이미지에 따른 의복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의 상관성, 한국패션뷰티학회지, 2(3), pp. 44-59
  8. 성남숙, 최수경 (2011), 신체이미지와 토털 패션이미지와의 관계 : 의복, 메이크업, 헤어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2), pp. 243-251
  9.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p. 207-217
  10. 최영선, 최현숙 (2007), 퍼스널 이미지 메이킹을 위한 패션 연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1), pp. 49-54.
  11. 심정희 (2006),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p. 1609.
  12. 김경호 (2005), 이미지 메이킹의 개념 정립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
  13. 심정희 (2006), 중년 여성의 자기 이미지 유형화에 따른 의복이미지 평가와 선호, 한국의류학회지, 30(11), pp. 1608-1617.
  14.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 207.
  15. Songtag, M. S. & Schlater, J. D. (1982).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Evolution of a concept.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 pp. 1-8. https://doi.org/10.1177/0887302X8200100101
  16. 이은영 (1998), 현대예술과 패션의 트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95년 이후 Fashion Trend를 중심으로-, 복식문화학회지, 6(3), pp. 88-99.
  17. 민동원 (1999), 의복의 상징적 소비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19.
  18. 이호정 (1993), 패션 머천다이징 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패션기업의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복식, 20, pp. 151-167.
  19. 정인희, 이은영(1992), 의복 이미지의 구성요인과 평가차원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pp. 471-483.
  20. 김일분, 유태순 (1997), 패션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패션비지니스, 1(3), pp. 19-34
  21. 류숙희, 김보연 (2001), 자기 이미지가 의복스타일 이미지 평가와 선택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9(5), pp. 734-746
  22. 박소향, 김인숙 (1994), 남자대학생의 여성복 이미지 평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70-179
  23. 은숙, 박재옥 (2008), 보문:여성정장과 캐주얼 브랜드에 나타난 의복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4), pp. 630-640 https://doi.org/10.5850/JKSCT.2008.32.4.630
  24. 이숙희, 임숙자 (2003), 선호 의복이미지와 편익에 의한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 27(1), pp. 100-110
  25. 이경희 (1991), 의복디자인의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실루엣 평가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9(1), pp. 37-49
  26. 주소현 (2003), 여성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한 감성지표화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최정원 (2010), 신중년층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주관적 연령에 따른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 213.
  29. 신수래 (2008), 가치관, 의복이미지와 의복쇼핑성향의 관계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5.
  30. 신기영, 옥선화 (1997), 중년기 주부의 가족 역할 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p. 112.
  31. "新중년 여성들의 나이 탈출 '나우족'", 자료검색일 2012. 3. 24,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6210941331&code=900305
  32. "하하족, Happy Aging Healthy & Attractive: 즐겁게 늙어가는 중년". 자료검색일 2012. 3. 24, http://www.fashionchanne.co.kr
  33. 김정실 이선재 (2008), 뉴실버 여성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32(10), pp. 1535-1547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0.1535
  34. 신기영, 옥선화 (1991), 중년기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pp. 111-128
  35. 윤원규 (2010) 실버소비자와 뉴실버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점포서비스품질 비교 평가,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변미연 (2011), 신 중년층 여성을 위한 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중년들 백화점 신세대 매장 점령", 자료검색일 2012. 03.12, http://www. nocutnews.co.kr/show.asp?idx=1146184
  38. 김성남, 이경숙 (2007), 20-40대 여성의 외모관심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패션비지니스, 11(4), pp. 29-41
  39. 김옥진, 위은하 (2001), 중년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수트의 형태 구성요인의 조합에 따른 시각 효과, 한국의류학회지, 25(3), pp. 525-536
  40. 김유덕 (2004), 중, 노년층 여성의 의복 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pp. 746-757
  41. 이명희, 이미연 (1995), 의복이미지 선호도와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30, 40대 기혼 여성을 중심으로, 생활문화연구, 9, pp. 125-144
  42. 류현주, 홍금희 (2001), 성인여성의 자기이미지와 상표이미지 및 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5(8), pp. 1367-1377
  43. 심정희, 연명흠 (2007),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 : 35-59세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69, pp. 143-154.

Cited by

  1. Effect of Self-image Pursuit by Female Consumers on Clothing Purchase Value and Fashion Images vol.39, pp.4,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4.492
  2. UX Design of Mobile App to Develop of Integrated Fashion Style through Balancing of Personal Image-Making Elements vol.68, pp.2, 2018, https://doi.org/10.7233/jksc.2018.68.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