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onsam (Korea Wedding Dress) in 18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Documents and the Excavated Clothing

자료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원삼(圓衫)의 유래와 착용

  • Chang, In-Woo (Dept. of Fashion Industry,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장인우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Received : 2013.12.04
  • Accepted : 2014.06.10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women's Wonsam in the 18th century. Wonsam was women's wedding dress, one of the representative ceremonial garments of Korea. Wonsam began to appear in the excavated clothes around the 18th century, and we can find drawings and records of the period in Yongjae Collections by Kim-kunhaeng. The form of Wonsam after the 17th and 18th centuries showed the changes in which Seop and Mu disappeared in Baeja form of Danryoung(團領) and the right and left symmetry and side slits were highlighted. The change also included wide and long sleeves and Sakdong(색동) colorful strips on the sleeves), Hansam ornaments, and the use of the belt, which means the change of Baeja composition into our traditional costume of the age. Through the Colletions, we notice that women wore Wonsam in different colors and with varying hair accessori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ceremony, the social status, and marital status. Concerning Wonsam, the color of clothing for the dead woman was green(喪禮), while that for marriage ceremony was red(婚禮). Wonsam with the light color was for ceremonial clothing(祭禮). The women who served in the palace wore green Wonsam and Geodumi, while a bride at the marriage ceremony wore red Wonsam or a red long-sleeved robe with Jokduri. At the ceremony of Hyeongunorye, women wore Wonsam with a wig. the dead woman wore Yemou.

Keywords

References

  1. 전정희, 박현정 (1994), 靑色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2(1), pp. 5-19
  2. 김정자 (2000), 20세기 중엽 충청지역의 혼례복과 혼례풍속에 관한 민속학적 연구, 복식, 50(3) pp. 105-116
  3. 박자명, 김용서 (2003), 광주.전남지역 傳統婚禮服의 實態에 관한 硏究, 복식, 53(7), pp. 69-81
  4. 김미자 (2004), 스란(膝襴)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7(3), pp. 49-64
  5. 이은주 (2006), 조선시대 신부복의 이중구조와 변천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9(3), pp. 137-151
  6. 신혜성 (2007), 조선말기 폐백 복식(幣帛服飾)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0(1), pp. 83-97
  7. 박현정 (2009), 조선시대 궁중 원삼의 신분별 색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0), pp. 1552-1563. https://doi.org/10.5850/JKSCT.2009.33.10.1552
  8.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복식, 52(8), pp. 151-160
  9. 이태옥, 김혜영, 조우현 (2005), 안동김씨 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 7(2), pp. 61-74
  10. 송미경 (2008), 17세기 여자 염습의(殮襲衣)의 일례, 한복문화학회, 9(3), pp. 129-140
  11. 구남옥 (2008), 조선후기복식에 나타난 합봉(合縫)현상에 관한 연구, 복식, 58(9), pp. 1-17
  12. 임현주, 조효숙 (2013), 조선시대 원삼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63(2), pp. 29-44. https://doi.org/10.7233/jksc.2013.63.2.029
  13. 朝鮮王朝實錄, 燕山君11年乙丑(1505,홍치 18)
  14. 尹銑(1559-1639), 한국문집총간, 秋潭集, 秋潭先生文集卷之四
  15. 송미경 (2002), 조선시대 여성단령(團領)에 관한 연구, 복식, 52(8), pp. 151-160, p. 158.
  16. 이명은 (2001), 출토유물고찰, 수원 이의동 안동김씨묘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수원박물관 조사보고서1, pp. 10-51;
  17. 이명은 (2010), 경기도 파주 출토 해평윤씨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 28, pp. 129-178
  18. 송미경, 박진영 (2007), 진주류씨(晉州柳氏) 합장묘 출토복식 고찰,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 박물관 학술총서, pp. 114-173
  19. 송미경 (2007), 김확(金穫) 합장묘 출토복식 연구, 경기도 박물관 학술총서, pp. 148-283
  20. 이은주 (2000), 長鬐鄭氏(1565-1614) 墓복식과 기타유물,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안동대학교 박물관 총서 15, pp. 27-70
  21. 이주영 (2007), 여산송씨 일가 표 출토 포제의 유형과 특성, 대전 목달동 출토 조선 초․중기 여산송씨 출토복식, pp. 67-124
  22. 김미자, 송미경 (2007), 인천 석남동 회곽묘 출토복식, 인천시립박물관 총서, pp. 110-158.
  23. 尹鳳九(1681-1767), 한국문집총간, 屛溪集, 屛溪先生集卷之三十三
  24. 丁若鏞(1762-1836), 與猶堂全書, 第三集禮集第六卷
  25. 成海應(1760-1839), 한국문집총간, 硏經齋全集, 硏經齋全集外集卷四十三
  26. 李喆輔(1691-1770), 한국문집총간, 止庵遺稿, 止庵遺稿冊五
  27. 宋文欽(1710-1752), 한국문집총간, 閒靜堂集, 閒靜堂集卷之七
  28. 成海應(1760-1839), 한국문집총간, 硏經齋全集, 硏經齋全集外集卷四十三
  29. 朴光一(1655-1723), 한국문집총간, 遜齋集, 1782, 遜齋先生文集卷之五
  30. 尹鳳九(1681-1767), 한국문집총간, 屛溪集, 屛溪先生集卷之二十六
  31. 李瀷(1681-1763), 한국문집총간, 星湖全集, 星湖先生全集卷之十一
  32. 金謹行(1713-1784), 한국문집총간, 庸齋集, 庸齋先生文集卷之六
  33. 이화보 (1714-1781), 한국문집총간, 有心齋集, 有心齋集卷之三
  34. 李縡, (1884), 四禮便覽
  35. 송미경 (2006), 17세기 전기 여자 염습의(殮襲衣)의 일례, 한복문화학회 9(3), p. 131.
  36. 尹鳳九(1681-1767), 한국문집총간, 屛溪集, 屛溪先生集卷之三十三
  37. 成海應(1760-1839), 한국문집총간, 硏經齋全集, 硏經齋全集卷之十
  38. 李衡祥(1653-1733), 한국문집총간, 甁窩集(1774), 甁窩先生文集卷之五
  39. 張顯光(19세기말경 간행), 고전번역총서, 旅軒集, 旅軒先生續集第7券
  40. 宋時烈(1607-1689), 고전번역총간, 宋子大全第118券
  41. 洪直弼(1776-1852), 한국문집총간, 梅山集, 梅山先生文集卷之十五
  42. 丁若鏞(1934-1938), 한국문집총간, 與猶堂全書, 第三集禮集第二十三卷
  43. 李衡祥(1653-1733), 한국문집총간, 甁窩集(1774), 甁窩先生文集卷之五
  44. 李瀷(1681-1763), 한국문집총간, 星湖全集, 星湖先生全集卷之十一
  45. 權尙夏(1641-1721), 고전번역총간, 寒水齋集, 寒水齋先生文集券之十八
  46. 宋能相(1710-1758), 한국문집총간, 雲坪集, 雲坪先生文集卷之十
  47. 丁若鏞(1934-1938) 한국문집총간, 與猶堂全書, 第三集禮集第二十一卷
  48. 박태보 (1654-1689), 한국문집총간, 定齋集, 定齋先生文集續集卷之八
  49. 張顯光(19세기말경 간행), 고전번역총서, 旅軒集, 旅軒先生續集第7券
  50. 李震相(1818-1886), 寒洲集(1895-1927), 寒洲先生文集卷之二十
  51. 金榥(1896-1978), 한국문집총간, 俛宇集, 俛宇先生文集卷之五十二
  52. 宋來熙(1791-1867), 한국문집총간, 錦谷集, 錦谷先生文集卷之九
  53. 장인우 (2013), 여모의 구성적 특징과 유래, 복식, 63(7) pp. 164-175. 재인용
  54. 李世龜(1646-1700), 한국문집총서, 養窩集, 養窩集册七
  55. 玄尙壁(생몰년 미상), 한국문집총간, 冠峯遺稿, 冠峯先生遺稿卷之五
  56. 宋文欽(1788), 한국문집총간, 閒靜堂集, 閒靜堂集卷之七
  57. 任聖周(1711-1788), 한국문집총간, 鹿門集, 鹿門先生文集卷之八
  58. 丁若鏞(1762-1836), 한국문집총간, 與猶堂全書, 第三集禮集第二十三卷
  59. 柳喜卿(1986), 한국복식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454-455
  60. 고복남 (1986), 韓國傳統服飾史硏究, 一潮閣, pp. 246-247.
  61. 尹鳳九(1681-1767), 한국문집총간, 屛溪集, 屛溪先生集卷之三十三
  62. 丁若鏞(1934-1938) 한국문집총간, 與猶堂全書, 第三集禮集第六卷
  63. 任憲晦(1811-1876), 한국문집총간, 鼓山集(1883), 鼓山先生文集卷之十九

Cited by

  1. Study of Women’s Jangsam in the Joseon Dynasty vol.67, pp.8,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8.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