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ong-gwan Woo's two Houses

두 우종관 주택(1928년, 1931년)의 건축적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 이경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건축학과) ;
  • 김하나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Received : 2014.03.05
  • Accepted : 2014.08.18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western-style houses that were popular in Korean peninsula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Jong-gwan Woo's houses. From the exterior, they had western style but in the interior, they had Korean-style ondol rooms and Japanese-style plan. We are able to notice that Korean, Japanese and western style coexisted uncomfortably in a so-called western-style house even if Korean high-class wanted to live in western style at that time. In the end, mixed style houses built by Japanese architects were regarded as western-style houses in Korea and western-style house Korean owners had to live triple lives in Korean peninsular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Keywords

References

  1. 1912년 지도, 1917년 경성부지적목록, 1927년 경성부지적목록, 1929년 경성부지형명세도, 폐쇄지적도, 폐쇄토지대장, 폐쇄건축물대장, 과세대장, 항공사진
  2. 朝鮮と建築, 동아일보 등 잡지 및 신문
  3. 강상훈,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제11호, 2006.11
  4. 서귀숙, 일제강점기 朝鮮と建築 권두그림에 게재된 조선인 개인주택에 대한 고찰,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5권 제4호, 2004.08
  5. 안성호, 일제강점기 속복도형 일식주택의 이식과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1997.08
  6. 우동선․허유진, 가회동 177-1번지 저택에 대하여,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2.05
  7. 이경아, 일제강점기 문화주택 개념의 수용과 전개, 서울대 박사논문, 2006
  8. 임창복,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 돌베개, 2012
  9. 전남일, 손세관, 양세화, 홍형옥,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2008
  10. 최진규자, 일제강점기 도시 단독주택의 근대적 진화에 관한 연구-朝鮮と建築에 수록된 주택사례를 통한 한일영향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3.12
  11. 武井豊治, 古建築辭典, 理工學社, 1994.
  12. 川上幸生, 古民家解体新書, 株式會社出版文化社,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