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선강(2011).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정자원경영학회지, 16(2), 103-121.
-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적 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 김경신(1998). 가족가치관의세대별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59.
- 김두섭.차승은.천희란.송유진.김정석(2007). 저출산 및 인구고령화 대응연구: 저출산 사회의 결혼: 자녀양육과 가족생활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 김승권(2003). 저출산의 원인과 안정화 대책. 보건복지포럼, 86,6-21.
- 김영순(2013). 기혼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 변인으로-. 성신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정석(2006).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비교 분석. 한국인구학, 29(1), 57-70.
- 김태현.임선영(2005). 가족이념, 생활교류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세대와 성인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85-109.
- 김태길(1996). 과학 기술의 발달과 가치관의 빈곤. 과학과 현실, 28, 185-190.
-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35.
- 문선희(2012).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5-25.
- 박혜인(1991). 한국 농촌가족의 부부관계에 대한 가족 발달적 접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 109-123.
- 서지희(2009). 미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와 생활양식이 결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 동거 여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시 정보화기획단(2012). 통계로 본 서울 남성의 삶. 서울시 통계웹진, 61.
- 여성부(2003). 전국가족조사 및 한국 가족보고서(미간행). 여성부.
- 옥선화(1984).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II. 서울 : 교문사.
- 유홍준.현성민(2010).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1), 75-101.
- 윤영효(1994). 시집안간 여자? 시집 못간여자! . 서울: 삼진기획.
- 은기수(1995). 결혼으로 이행에 있어서 연령 규범과 순서규범. 한국인구학회지, 18(1), 89-117.
- 은기수(1999). 생애과정이 결혼시기에 미치는 영향: 생애사건연쇄분석. 한국인구학, 22(2), 47-71.
-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최근 우리나라에서 저출산에 갖는 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 복지포럼. 102, 25-35.
- 이만우.김시광.김란영(2012). 부모에 대한 경제적 의존과 자녀의 만혼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삼식(1993). 한국인의 혼인형태 변화 분석. 한국인구학, 16(2), 84-110.
-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9.
- 이삼식(2010). 2010년도 저출산 대응 정책의 과제와 전망. 보건복지포럼, 159, 66-73.
- 이삼식.정윤선.김희경(2005). 2005년도 전국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상준(2007). 독신 여성의 여가 동기, 문화 그리고 만족의 관계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수진(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5(1), 131-156.
- 이영분.최희정.이용우.이화영(2009). 한국사회의 '부모의존 독신성인'에 관한 기초연구: 규모, 관련요인 및 가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연구보고서.
-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1994). 가정관리학. 서울 : 학지사
- 장혜경.김혜영.김혜경.송혜림.윤흥식.이진숙.진미정.김영란.선보영(2005). 가족 정책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연구. 여성가족부.
-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 최재석(1983).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서울: 일지사
- 통계청(2010). 2009 혼인통계결과. 통계청
- 통계청(2012). 2011년 혼인이혼 통계. 최근 30년간 초혼초록 자료. 통계청.
- 한경혜(1993).산업화와 결혼연령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가족전략의 관점에서. 한국사회학, 24, 103-120.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0).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보건복지가족부.
- 홍은영(2011). 미혼성인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nderson Kathryn H., M. Anne Hill, & J.S. Butler.(1987). Age at marriage in Malaysia.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26, 223-234. https://doi.org/10.1016/0304-3878(87)90027-7
- Becker, S. G.(1973). A theory of marriage I.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4), 813-846. https://doi.org/10.1086/260084
- Deacon, R. E. & Firebaugh, F. M.(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Boston: Allyn and Bacon, Inc.
- Goldscheider F. K & C. Goldscheider(1999). The changing transition to adulthood. SAGE.
- Lee, S. S., Jung, Y. S., Kim, H. G., Choi, E. Y., Park, S. G., Cho, N. H., Shin, I. C., Do, S. R., Cho, S. G. & Gang, J. H.(2006). A survey on the marital and ferility trends in 2005. Unpublished manuscript, 14(1), 1-45.
- Sassler, S. & Schoen, R.(1999) The Effects of Attitudes and Economic Activity on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147-159. https://doi.org/10.2307/353890
- South, S. J.(2001). The variabl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the timing of first marriage; United States, 1969-1993. Social Science Research, 30, 606-626. https://doi.org/10.1006/ssre.2001.0714
- Stein, P. J.(1981), Single life: Unmarried Adults in Social Context, St Martin's Press, New York.
- Thornton, A., W. Axinn, & J. Teachman(1995).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experiences on cohabitation and marriage in early adulthood.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762-774. https://doi.org/10.2307/2096321
- 釜野さおり(2004). 身女性の結婚意欲と出産意欲.目依子.西岡八編. 少子化のジエンダ 分析. 勁草書房, 107-123.
- 山田 昌弘(1999). バラサイトシングル時代. ちくま新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