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6th Graders' Graph Interpretation and its Teaching Methods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 및 지도 방안

  • Jo, Ah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Kwang-Ho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i, Sung Taek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4.03.14
  • Accepted : 2014.07.08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how the 6th graders interpret graphs, and on basis of the research, to seek for guidance on ways to improve their analysis capabilities. All the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D elementary school in Busan became the target to examine how to interpret graphs. On the basis of the result, 6 students who characterized by graph interpretation got an in-depth interview and the outcome was analyzed in detail. The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ning of graphs and they learned practicality while they think of graphs connecting with real life, most of all they have been interested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graph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그래프 해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그래프 해석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그래프 해석 지도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그래프를 해석할 때 양적인면과 질적인 면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으며, 그래프와 실생활을 관련지어 생각하면서 그래프의 실용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그래프 해석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권기욱 (2001). 그래프 구성 활동 프로그램 적용이 수학적 힘의 육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상룡 (2009). 초등 통계 교육의 문제점 및 그 해결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2(2), 133-143.
  4. 김지선 (2010).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그래프의 수학적 해석능력의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진선 (2009).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태선.김범기 (2002).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및 해석 능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68-778.
  7. 남재순 (2009). 그래프 종류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수준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박경연 (2001). 통계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한 그래프 이해력 증진에 관한 탐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송정화 (2001).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송정화.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11. 오영열.이미연 (2008). 초등 통계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19(1), 1-13.
  12. 오영재 (2005). 초등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과 해석 능력 조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우정호 (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14. 윤재훈.류성림 (2008). 현실주의 수학교육론에 근거한 비율그래프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1(1), 39-57.
  15. 이경화.지은정 (2008). 그래프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 비교-우리나라 교과서와 MiC 교과서의 초등 통계 내용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8(3), 353-372.
  16. 이미현 (2007). 6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 단계와 자료 표현방법의 이해에 대한 실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용숙.김영천.이혁규.김영미.조덕주.조재식 (2005).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18. 임지애 (200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통계그래프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한순덕 (2006). 초등 사회과에서 그래프활용 학습이 아동의 정보해석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초등사회과교육, 18(2), 46-81.
  20. 황현미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Denzin, N. K.(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York: McGraw-Hill.
  22. Freudenthal(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3. Leinhardt, G., Zaxlavsky, O., & Stein, M. K.(1990). Functions, graphs, and graph: Tasks, learning, and Teach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1), 1-64. https://doi.org/10.3102/00346543060001001
  24.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류희찬 외 5인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25. Patton, M. Q.(2002).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