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ne of the core policies recently implemen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s the introduction of a creative economy, a concept that integrates ICT with the existing economic structure in order to create new growth factors and jobs. In June of 2013, the National Assembly passed a bill for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a creative economy. The concept of a creative economy is to integrate industries centered on ICT in order to form a new-concept industry paradigm that creates new values and services that exceed past industrial categories. In other words, smart convergence, which integrates ICT with various industries, is evaluated as a core factor for boosting the creative economy. Thus, based on the definition of 'smart convergence', this study predicted the economic effects and sociocultural changes that will ensue due to the future era of smart convergence. Also, this study proposes policies for enhancing the creative economy in various ways. More specifically, in-depth interviews with convergence industry experts were carried out and quant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employing a Solow Model. Furthermore, as a means to revitalize the creative economy, this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the preemptive institutionalization of legislations and suggests several policy proposals regarding smart convergence rooted in market supply and the demand chain, smart convergence through selective focus, and smart work.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that have only focused in establishing theories in that it offers quantitative research with a consideration of the feasibility of proposed policies. The leading experience of Korea regarding smart convergence can provide important lessons to other countries that hope to promote a creative economy as a means to create new growth factors and jobs.
최근 한국에서는 기존의 경제구조에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성장 동인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의 도입이 핵심정책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3년 6월에는 창조경제의 제도적 실행을 위한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창조경제의 개념은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과 산업이 융합되면서, 과거 산업의 범주를 넘어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를 창출하는 신 개념의 산업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요소로 ICT 기술과 다양한 산업이 융합되는 스마트융합(smart convergence)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 융합'의 정의를 기초로 미래 스마트 융합시대가 가져올 경제적 효과 및 사회문화의 변화를 예측하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심층면접, 솔로우모형(Solow Model)을 활용한 계량분석을 수행하였고,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수요 및 공급기반을 고려한 스마트융합, 선택적 집중을 통한 스마트융합, 스마트워크 등 법제도적인 사전정비의 중요성을 정책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이론 정립 위주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정책적 실행가능성을 고려한 정량적 연구라는 차별성을 지닌다. 이러한 한국의 선행경험은 새로운 성장동인 및 일자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창조경제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하는 다른 국가들에게 중요한 교훈(lessons)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