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olice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Index Development

경찰 조직건강 진단지표에 관한 시론적 논의

  • 권혜림 (서원대학교 법경찰학과) ;
  • 주재진 (동국대학교(경주) 행정경찰공공학부)
  • Received : 2014.05.14
  • Accepted : 2014.06.03
  • Published : 2014.08.28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police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index development.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the police to develop the police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index and then to rai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police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index comprises three categories; Organizational Behavior, Group Behavior, and Individual Behavior. A Organizational Behavior questionnaire comprises five categories;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atmosphere, Environmental Compli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 decision-making. Secondly, A Group Behavior questionnaire comprises five categories; How to manage the personnel, Conflict management style, Group cohesion, Vision and Strategy, and Community-oriented & shared responsibility. Thirdly, An Individual Behavior questionnaire comprises five categories; Job Motivation, work-related factors, Trust, Vitality, and Organizational Cynicism. This author expects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adequate measuring instrument of the police organizational health diagnosis index.

조직 건강성(organizational health)이란 조직의 기능수행능력이나 최적의 기능수행 상태를 나타낸다. 조직건강은 대인관계나 집단행동과 같은 조직학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조직건강진단 지표 및 측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결찰 조직건강 진단에 관한 시론으로 국내 외 문헌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이론에 나타난 조직건강에 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하여 조직건강의 개념, 측정지표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조직 건강진단 지표를 조직행태(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분위기, 환경적합성, 변혁적 리더십,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방식), 집단행태(구성원 관리방식, 갈등관리방식, 집단결합력, 비전 및 전략, 공동체지향 및 책임공유), 개인행태(직무동기, 업무 관련요인, 신뢰, 활력, 조직냉소주의)로 구분하여 경찰 조직건강 진단지표를 설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view.php?news_id=3809&yy=2013
  2. 국민권익위원회, 2012년도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국민권익위원회, 2012.
  3. 민진, "조직건강의 개념 분석 및 재개념화", 행정논총, 제47권, 제2호, pp.31-59, 2009.
  4. 윤종건, 21세기 학교조직 경영론, 원미사, 2009.
  5. 이명재, "행정조직의 건강성 진단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 제19권, 제1호, pp.107-126, 1985.
  6. 김정은, 조직건강 측정도구의 구성타당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 S. Jarvenpaa, K. Knoll, and D. Leidner, "Is Anybody Out There? Antecedents of Trust in Global Virtual Team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No.14, pp.29-64, 1999.
  8. Schellinck, A. Douglas, and Monica Popa, "The impact of the Canadian Code of Practice for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on preference and trust," IJEB, Vol.3, No.6, pp.534-564, 2005. https://doi.org/10.1504/IJEB.2005.008535
  9.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 New York: Free Press, 1985.
  10. 양세훈, 정재한, 황성돈, "정부조직 통폐합에 따른 조직건강성 변화 및 PMI 수요측정모형", 한국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1-18, 2008.
  11. 박경원, "조직진단의 평가기준", 한국행정학회 조직학연구회(편), 정부조직진단, 2002.
  12. C. Argyris, Integrating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Wiley, 1964.
  13. P. E. Mott,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Organization, Harper & Row, 1964.
  14. T. Parsons, Structure and Process in Modern Society, Glencoe III, Free Press,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