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carf Textile Design and the Scarf-Making by Using Art Works of SHIN SA-IM-DANG -Focusing on Grass and Insect painting-

신사임당의 예술작품을 활용한 스카프 직물디자인 개발 및 제작 -초충도를 중심으로-

  • 정진순 (세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4.04.30
  • Accepted : 2014.07.09
  • Published : 2014.08.28

Abstract

Among artworks of Shin Sa-Im-Dang, 'grass and insect painting' was drawn the rustic materials that cannot be seen without a loving attention because they are too small and insignificant creatures. Likewise, 'grass and insect painting' is work that can feel the wonder of life, simplicity, and womanly sensitivity unique. Therefore, beauty of Korea can be found through the works. It needs to develop high value-added culture products with her works which contained this unique beauty of Korea and artistic soul. In this study, I tried to develop the scarf textile designs which had Korean sentiment with the Shin Sa-Im-Dang's 'grass and insect painting' and to make the scarves with the textile designs developed. For the purpose, theoretical examination about her art world and artworks was first performed. And then six scarf textile designs which based on them were developed using adobe illustrator 10.0, computer design program. The textile designs developed were printed on 100% silk satin using textile digital printing system. Six scarves were made with them.

신사임당의 작품 중, '초충도'는 애정 어린 관심을 갖지 않고는 볼 수 없는 미물을 화폭에 담아 생명의 경이로움과 소박미, 그리고 여성스러운 섬세함을 살린 작품이다. 그러한 그녀의 작품을 통하여 한국적 정서와 한국의 미의식을 알아 볼 수 있다. 전통문화가 정체성을 잃어가는 현대 산업사회 속에서 우리의 고유한 문화를 살린 고부가가치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박한 한국적 정서와 독창적 예술혼이 담겨 있는 신사임당의 작품을 이용하여 스카프 직물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신사임당의 예술세계와 예술작품을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고 그 중 여섯 점의 작품을 선정하여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아도브 일러스트레이터를 이용, 여섯 점의 스카프 직물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것을 디지털 프린팅 시스템을 이용하여 견100%의 새틴에 출력, 소재를 개발하고 개발된 소재를 이용하여 여섯 점의 스카프를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은주, 서지영, 임지영, "단청문양을 활용한 실크 자카드 패션 제품 개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pp.485-494, 2010.
  2. 이지은, 김혜연, "한국 사찰의 단청 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인티샤 기법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학회지, Vol.22, No.6, pp.11-16, 2009.
  3. 김월계, "단청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연구", 한복문화학회지, Vol.11, No.2, pp.91-101, 2008.
  4. 유금화, 김태연, "조선시대 궁궐 단청(丹靑)이미지를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한복문화학회지, Vol.11, No.3, p.14, 2008.
  5. 김지영, 오윤정, "전통 떡살문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Vol.19, No.5, pp.9931008, 2011.
  6. 이연주, 전통 떡살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1.
  7. 김신정, 떡살문양을 이용한 교체장신구 디자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7.
  8. 이지영, 조선시대 떡살문양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1994.
  9. 정장미, 떡살문양을 응용한 금속작품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 하승연,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전통 떡살문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1. 유현아, "한국 문양을 활용한 직물 구조 디자인 개발 : 떡살무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12, pp.190197, 2008. https://doi.org/10.5392/JKCA.2008.8.12.190
  12. 이연순, 이정은, "한국 전통 화조도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13, No.1, pp.113-123, 2011.
  13. 곽경택, 민화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한 디지털 섬유패션제품디자인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4. 김주연, 화조도 이미지를 형상화한 보석 장신구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5. 오임경, 민화의 이미지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화조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6. 송하영, "조선 민화의 연화를 활용한 드레스용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9, No.2, pp.198-207, 2013.
  17. 김정실, "한국전통꽃창살문을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Vol.39, pp.337-346, 2013.
  18. 박경혜, 조선시대 창살의 조형미를 응용한 타피스트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19. 이은정, 송미령, "조각보의 문양을 응용한 직물 디자인 개발 -CAD system에 의한 문양의 착시 효과를 중심으로-", 디자인포럼21, Vol.3, pp.1-26, 2013.
  20. 김남홍, 신사임당의 교육관과 예술관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제23권, pp.69-96, 2007.
  21. 유정은, "신사임당 '초충도'의 미의식 연구", 한문고전연구, 제23권, 단일호, 2011.
  22. 이윤미, 김영주, "신사임당 초충도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7권, 제2호, pp.135-152, 2007.
  23. 도희숙, 신사임당 초충도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4. http://blog.daum.net/krc0282/8251013
  25. http://gangneung.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_id=GC00302273
  26. http://imgv.search.daum.net/viewer/search?w=imgviewer&SearchType=total&ResultType=total&SimilarYN=total_Y&SortType=total&q=%C3%CA%C3%E6%B5%B5&sidx=1&lpp=10&uk=UtiR-G4t1I0AADBl6mYAAAHK&mk=Uwre1G4t1JEAAD9SjdgAAADh&od=Q7wYf400
  2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48049&cid=4464&categoryId=4464
  28. http://fefefefe.egloos.com/viewer/1226901
  29. http://blog.naver.com/bangel94/70190411075
  30.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5981400
  31. http://blog.naver.com/sc_971/100190926825
  32. http://blog.naver.com/yshwa/10151567779
  33. 최희숙, 조선백자에 나타난 사군자 문양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