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후기 양상도회 재료와 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erials and Method of Lyang-sang-do-heo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 조영민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투고 : 2014.02.06
  • 심사 : 2014.04.02
  • 발행 : 2014.04.25

초록

Nowadays plaster work was changed the traditional technique to use modern materials and research was lack of study. In this paper, the Lyang-sang-do-heo of the late Joseon plastering materials used in construction and a method to figure reveals. Aspects of the late Joseon Lyang-sang-do-heo cultural property construction techniques are appli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e experiment can be used as a basis and then a blend of modern plastering techniques and technological advances seem to be able to contribute. And the most important cultural property refurbishment and maintenance of traditional plastering techniques preservation, succession is thought to contribute to.

키워드

참고문헌

  1. 의궤 창경궁수리소의궤. 창덕궁수리도감의궤. 저승전의궤.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 창덕궁만수전수리도감의궤. 영녕전수개도감의궤. 집상전수개도감의궤. 남별전중건청의궤. 경덕궁수리소의궤. 종묘개수도감의궤. 진전중수도감의궤. 의소묘영건청의궤. 건원릉정자각중수도감의궤. 수은묘영건청의궤. 진전중수영건청의궤. 경모궁개건도감의궤. 문희묘영건청등록. 화성성역의궤. 인정전영건도감의궤.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서궐영건도감의궤. 창경궁영건도감의궤. 창덕궁영건도감의궤.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 인정전중수의궤. 남전증건도감의궤. 영희전영건도감의궤. 증건도감의궤. 선원전진전중건도감의궤. 중화전영건도감의궤. 경운궁중건도감의궤. 의인왕후유릉산릉도감의궤. 인조장릉산릉도감의궤. 효종영릉산릉도감의궤. [현종]숭릉산릉도감의궤. [인선왕후]산릉도감의궤. [인경왕후]산릉도감의궤. 명성왕후숭릉산릉도감의궤. [장렬왕후]산릉도감의궤. 인현왕후명릉산릉도감의궤. 숙종명릉산릉도감의궤. 경종의릉산릉도감의궤. 선의왕후의릉산릉도감의궤. 정성왕후홍릉산릉도감의궤. 인원왕후명릉산릉도감의궤. 영조원릉산릉도감의궤. 정조건릉산릉도감의궤. 정순왕후원릉산릉도감의궤. 순조인릉산릉도감의궤. 효현왕후경릉산릉도감의궤. 익종수릉산릉도감의궤. 헌종경릉산릉도감의궤.효현왕후경릉산릉도감의궤. 익종수릉산릉도감의궤. 헌종경릉산릉도감의궤. 순조인릉천봉도감의궤. 순원왕후인릉산릉도감의궤. 철종예릉산릉도감의궤. 철인왕후예릉산릉도감의궤.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 명성황후홍릉산릉도감의궤. 효정왕후경릉산릉도감의궤.
  2. 박제가, 안대회 엮, 북학의(北學議), 돌베개, 2012.
  3. 서유구, 안대회 엮, 산수간에 집을 짓고, 돌베개, 2005.
  4. 최주(엮), 천공개물(天工開物), 전통문화사, 1997.
  5.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2010, 동녘.
  6. 박호석, 안승모, 한국의 농기구, 어문각, 2001.
  7. 문화재청,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 2013.
  8. 정정남, 이혜원, 의궤에 기록된 건축용어 연구, 화성학연구 제2호, 2006.
  9. 이권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회미장재와 공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009.
  10. 심효영, 최태호, 정선화, 유지(油紙) 관련 고문헌 고찰-조선시대 문헌을 중심으로-, 문화재 46권 3호, 2013.
  11.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2007.
  12. 김덕진, 영조대 정례서 편찬의 재정사적 의의, 장서각 제27집, 2012.
  13. 고문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임원십육지, 산림경제, 세종실록지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