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iness in Chungnam Regional Public Hospitals - Focused on Indoor and Healing Environment -

충남지역 지방공공의료원의 친환경성 분석 연구 - 실내환경 및 치유환경을 중심으로 -

  • 임영환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
  • 김영인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 Received : 2014.02.06
  • Accepted : 2014.03.31
  • Published : 2014.04.25

Abstract

As the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re gradually prioritized, increasing interest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are drawn. Numerous researches about healthcare building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they were mainly focused on convenience or healing condition for medical treatments. The hospitals consume energy and generate CO2 as twice as the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s do. The public regional hospitals are especially in serious conditions. They are more than 20 years old in average.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in the public regional hospitals are far behind ones in private sectors. Even though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s supporting renovation of the builidngs and enhancement of the facilities every year, it is not integrated with sustainibi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s current conditions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in envrionment-friendly standpoint, especially focused on Chungnam Province area Hospitals. Based on this analysis,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r healthcare facilities will be developed in near future.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Cynthia S. McCullough (EDT), <>, Sigma Theta Tau Intl., 2009년
  2. Robin Guenther, <>, Wiley, 2008년
  3. <> v3, USGBC, 2009년
  4. <>, BRE Global Ltd. 2013.06
  5. Ken Yeang, <>, Wiley_Academy, 2006년
  6. 최형도 외, 2012 지역거점 공공병원 운영평가 결과 보고서, 보건복지부, p.p.38-40, 2012
  7. 임영환, '지속가능한 의료시설 계획을 위한 평가방법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6권 제8호(통권262호), 2010.08
  8. 손지혜, '국내 의료시설 기본설계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유환경 개념의 반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7호(통권285호), 2012.07
  9. 임태섭, '의료시설의 친환경적 실내환경 조성을 위한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4호 통권63호, 2007.08
  10. 김길채, '지방공사 의료원의 면적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14권 2호, 2008.05
  11. 김현아, '업무용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0호(통권300호), 2013.10
  12. 김상복, '실별 기능분석을 통한 리모델링 병원의 공간변화에 관현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8권 제6호(통권 284호), 2012.06
  13. 이홍식, '국내 종합병원 병동부 복도공간의 환자 이용행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1권 3호 2005.11
  14. 이성옥,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등급 인증을 위한 평가점수 산출방법 비교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9권 제11호(통권301호) 2013.11
  15. 구성한, 'BRE의 친환경건축물 인중제도 BREEAM', 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Vol.13 No.2, p.p.65-66, 2012. 06
  16. U.S Green Building Council: www.usgbc.org
  17. BRE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www.breeam.org
  18. 녹색건축인증제(G-SEED)통합운영시스템 www.greenbuilding.re.kr